위기임산부 · 소득단절 가구 등 맞춤형 출산 · 양육지원 제언

담당부서 : 기획재정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8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02

방기선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3.7.26() 10:00 정부서울청사에서 저출산 대응정책 의견수렴을 위한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

 

  * (정부기재부 1차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이하 ’저고위‘상임위원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

 

    (민간) 연세대 양재진 교수, 한양대 이삼식 교수, 보사연 이상림 박사, 
기획재정부 2030 자문단, 기획재정부 근무 청년인턴

 

  오늘 간담회는 심각한 인구위기 대응을 위해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창의적·획기적 정책전환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기획재정부 1차관이 범정부 인구정책기획단 공동단장인 저고위 상임위원과 함께 민간 전문가와 청년층 의견 제언 듣기 위해 마련됐다.

 

  방 차관은 “그간의 저출산 대응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여 ‘선택과 집중하고 획기적 정책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며“이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 전문가 지혜를 구하고정책수요자인 청년세대 목소리 듣고 정책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금일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국가의 효과적 정책 개입을 통해 선진국 사례처럼 출산율 반등이 가능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구체적으로 위기임산부 안전한 출산 지원기업 일가정양립 공시나 정보공개 확대 등을 제안했다.

 

  아울러 간담회에 참석한 기획재정부 2030 자문단, 청년인턴과의 토론 시간을 갖고 저출산 문제와 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청년층 진솔한 생각과 의견을 청취했다.

 

  간담회에서 논의 의견과 제안은 범부처 인구정책기획단 내 분야별 작업반을 통해 관계부처 협의?구체화해 금년 하반기 중 『4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수정안 마련 시 반영할 계획이다.

?

(기획재정부, 2023.07.2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2425&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startDate=2023-07-25&endDate=2023-07-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15 여름철 국립공원 물놀이, “허용된 안전한 구역에서만 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5
814 2023년 주요 20개국(G20) 환경·기후장관 회의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29
813 파리협정 전지구적 이행점검을 위한 국제 학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41
812 산양 등 멸종위기 19종 동결보존 기술 개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1
811 녹색산업 창업가와 기업인 교류의 장… 새싹기업(스타트업) 동창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9
810 온실가스 분해 능력 뛰어난 미생물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4
809 배터리 산업 탄소경쟁력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57
808 전기화물차 보조금 예산안은 현재 논의 중인 단계로 보도내용은 사실과 다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0
807 2022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전년보다 3.5% 감소한 6억 5,450만톤 예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8
806 비사업용 경·소형 화물차 배출가스 첫 정밀검사 시기, 차 출고 후 3년에서 4년부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9
805 민간투자 유치설명회 개최…700억 원 이상 투자유치 목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3
804 남해안 등 하구습지에서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 집단 서식지 60곳 확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64
803 국민의 환경정책을 제안받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26
802 건강영향조사 지역주민의 체내 중금속 노출검사와 건강상담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49
801 환경부, 지자체·시민사회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0
800 가습기살균제 구제급여 지급 대상자 추가??? 총 5,041명(누계) 인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32
799 미호강 하천정비사업에 ‘미호강 준설’ 반영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39
798 환경부, 이념적 4대강 논쟁 종식, 국민 안전 최우선 하천 정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19
797 비무장지대 일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속가능발전 본보기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34
796 50년 단절된 금북정맥 생태축 연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