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공정위, 콘텐츠 분야 불공정 거래 관행 개선 위해 힘 합친다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8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02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박보균 장관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 한기정 위원장은 7월 20(오후 4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간담회를 열고 콘텐츠 분야의 불공정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양 부처의 소통과 협업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박 장관과 한 위원장은 우리 경제의 핵심 산업 중 하나로 자리 잡은 콘텐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공정한 거래 관행이 뒷받침되어야 하고이를 위해서는 양 부처 간 협력이 필수적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번 간담회를 마련했다앞으로 두 부처는 콘텐츠 분야의 불공정 관행을 근절하기 위한 핵심 업무를 추진함에 있어 소통과 협업을 확대하고, 추가적인 협력 사항도 계속 발굴,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문체부, 공정위와 협업 확대해 콘텐츠 분야 공정거래 기반 조성

 

  먼저 박보균 장관은 콘텐츠 분야 공정거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공정위와의 협력을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면서, 특히 대중문화예술산업 태조사 등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할 때 업계 내 불공정 관행에 관한 설문 문항을 확충하고, 만화 분야 표준계약서 ·개정 시 의견수렴 과정에 양 처가 공동 참여하는 등의 구체적인 협업 사례를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아울러 방송프로그램 외주제작 거래 과정에서 나타나는 불공정 사례도 살펴보고이를 개선하기 위한 부처 간 협업 사항도 논의해나갈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문체부 핵심 추진 법안인 ?문화산업의 공정한 유통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위해 서로 협력하는 한편법안 통과 시에는 정보수집 강화 및 유기적 사건처리 체계 구축을 위해 양 부처 간 업무협약(MOU) 체결을 추진하기로 했다. 해당 제정안은 윤석열 정부 콘텐츠 정책의 핵심과제*이자 국정과제(58-1, 콘텐츠 장르별 공정환경 조성)로서 산업진흥부처인 문체부와 규제부처인 공정위 간 협력으로 더욱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문화산업의 공정한 유통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주요 내용

 ㅇ (금지행위) 문화산업 내 대표적인 불공정행위 10가지 유형을 금지행위로 명시

   - (일반적 불공정행위) 제작행위 방해문화상품 수령 거부납품 후 재작업 요구기술자료 정보제공 강요, 비용 전가자기 계열회사 상품과의 차별 취급특정 결제방식 강요현저히 낮은 대가 책정

   - (문화산업 내 특수한 불공정행위) 문화상품 사재기, 지식재산권 양도 강제 행위

 ㅇ (시정명령) 금지행위 위반 시 시정명령 권한 규정

   - 문화산업 내 특수한 불공정행위 위반 시 문체부 장관 직접 조치

   - 일반적 불공정행위 위반 시 공정위에 우선 조치 요청

 

 공정위, 콘텐츠 분야 경쟁제한 행위 및 불공정행위 집중 점검 추진

 

  한기정 위원장은 콘텐츠 분야 불공정 관행 근절은 공정위 핵심 업무 중 하나라고 밝히면서이를 위해 콘텐츠 유통-제작사의 저작물 유통 및 저작권 행사 등과 관련된 불공정행위뿐만 아니라 불공정 약관부당한 하도급 행위에 이르기까지 다각도로 대응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한 위원장은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공정위가 지난 4월부터 만화?웹툰?웹소설과 관련해 콘텐츠 제작사와 출판사플랫폼 등 20여 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불공정약관 실태점검에 착수했고지난 6월부터는 10여 개 게임사와 음악사를 대상으로 외주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공정 하도급 행위에 대한 직권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내 음악 저작권 위탁관리 시장에서 경쟁사업자의 저작권 사용료 징수를 방해한 사건의 위원회 심의 결과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문체부와 공정위, 건전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속 협력

 

  박보균 장관과 한기정 위원장은 우리 콘텐츠 산업에 건전한 거래 관행이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업계 전반, 더 나아가 사회 전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하고, 이번 간담회가 양 부처 간의 실질적이고도 지속적인 협력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

(문화체육관광부, 2023.07.2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1611&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14,A00009&startDate=2023-07-19&endDate=2023-07-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15 여름철 국립공원 물놀이, “허용된 안전한 구역에서만 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5
814 2023년 주요 20개국(G20) 환경·기후장관 회의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29
813 파리협정 전지구적 이행점검을 위한 국제 학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41
812 산양 등 멸종위기 19종 동결보존 기술 개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1
811 녹색산업 창업가와 기업인 교류의 장… 새싹기업(스타트업) 동창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9
810 온실가스 분해 능력 뛰어난 미생물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4
809 배터리 산업 탄소경쟁력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57
808 전기화물차 보조금 예산안은 현재 논의 중인 단계로 보도내용은 사실과 다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9
807 2022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전년보다 3.5% 감소한 6억 5,450만톤 예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7
806 비사업용 경·소형 화물차 배출가스 첫 정밀검사 시기, 차 출고 후 3년에서 4년부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9
805 민간투자 유치설명회 개최…700억 원 이상 투자유치 목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3
804 남해안 등 하구습지에서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 집단 서식지 60곳 확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63
803 국민의 환경정책을 제안받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26
802 건강영향조사 지역주민의 체내 중금속 노출검사와 건강상담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49
801 환경부, 지자체·시민사회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69
800 가습기살균제 구제급여 지급 대상자 추가??? 총 5,041명(누계) 인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32
799 미호강 하천정비사업에 ‘미호강 준설’ 반영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39
798 환경부, 이념적 4대강 논쟁 종식, 국민 안전 최우선 하천 정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19
797 비무장지대 일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속가능발전 본보기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34
796 50년 단절된 금북정맥 생태축 연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