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이 모여 인구문제 해결방안 모색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1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02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19일(수)부터 7월 20일(목)까지 이틀간 한중일 3 인구정책 추진 현황과 경험을 공유하는 「제11회 한중일 인구정책 포럼」 개최한다이 포럼은 2010년부터 매년 3국이 돌아가며 개최 왔으나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2019년과 2020년에는 미개최되었고2021년과 2022년에는 화상회의로 개최되어올해 5년 만에 3국이 한자리에 모이게 되었다.

 

   이날 포럼에는 보건복지부를 비롯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인구정책 전문가들이 참석한다중국에서는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첸 궈롄 노인건강국 부국장과 중국인구발전연구소(CPDRC) 연구자 등이 참석하고, 일본에서는 동가정청 아사노 아츠유키 심의관과 후생노동성 사이수 토모유키 대신관방심의관 등이 참석한다.

 

  특별히 올해는 일본 후생노동성의 아제모토 쇼고 대신정무관이 참석하여 축사를 하였고, 오후에는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과 양자면담을 진행한다이날 면담에서 한국과 일본은 향후 치매 예방과 장기요양제도에 대한 소통과 정보 교류를 확대하기로 합의할 예정이다. 아제모토 쇼고 대신정무관은 이어지는 공식 만찬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한편이날 포럼 1부 발제 시간에는‘저출산 정책의 컨트롤타워와 효과성 평가 및 환류’에 대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소영 박사가 좌장을 맡아한중일 3국이 각국의 현황과 계획에 대하여 발표한 뒤 토론을 진행한다.

 

  다음날 개최될 2부 발제 시간에는 ‘활기찬 노후 생활을 위한 일자리건강관리 지원’에 대해 백석대학교 서동민 교수가 좌장을 맡아, 3국이 각국의 정책 경험을 공유하고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최종균 인구정책실장은 이날 포럼에서“2010년부터 이루어진 한중일 3국의 인구정책 교류가 코로나19 등의 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어 왔다는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저출산·고령화는 한중일뿐 아니라 전 세계가 공통으로 직면한 문제이다. 3국이 함께 인구정책 경험을 공유하고 토론하면서보다 발전된 정책을 추진하고 전세계 인구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붙임> 한중일 인구정책 포럼 개요

?

(보건복지부, 2023.07.1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1349&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12&startDate=2023-07-01&endDate=2023-07-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660 이정식장관, 물류센터 폭염대응상황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50
659 (동정) 친환경 선박 연료 공급망 구축을 위한 해운항만분야 대응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11
658 갈등 예방과 고충해소를 위해 노조 대표들과 소통의 기회 가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70
657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8개월... 이행상황 점검, 성과도출에 역량 결집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25
656 2023년 해사안전 우수사업자 공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34
655 제51호 에이(A)-벤처스로 루츠랩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48
654 제51호 에이(A)-벤처스로 루츠랩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1,651
653 농어업 분야의 환경·사회·투명 경영, 탄소중립! 한국농수산대학교 발전재단이 앞장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16
652 농식품부,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로 기후위기 적극 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59
651 집중호우 끝나고 폭염 온다. 이성희 차관, 건설현장 폭염 예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99
650 부산항 신항 건설 현장과 낙동강하구 해양쓰레기 수거 현장을 찾아 집중호우 대응상황 직접 챙겨 비회원 2023-08-01 509
649 「기후위기 대응 수해방지 범정부 특별팀(TF)」 발족 및 1차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523
648 수소경제 국민 참여 캠페인, 제5회 수소에너지 바로알기 공모전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14
647 변화하는 관광·레저 시설, 미래 안전관리를 위한 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33
646 알고케어-롯데헬스케어, 대·중소기업 상생 위해 뜻 모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86
645 신재생E보급지원(건물지원)사업의 설비는 대부분 정상 가동중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11
644 산업시설, 보험제도 연계 등을 통해 민간 자율형 안전관리체계로 전환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52
643 유럽연합(EU) 신통상규제에 대한 우리 기업 대응 역량 강화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26
642 에너지신산업 수출 '30년 2배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29
641 여름철 집중호우 관련 광산안전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