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암 환자가 거주지 인근 병원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소아암 진료체계 구축방안’ 마련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8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02

<요약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올해 초 발표한「필수의료 지원대책(23.1.31)」 및「소아의료체계 개선대책(23.2.22)」에 포함된'소아암 진료체계 구축'을 위해 서울을 제외한 전국 5개 권역에 소아암 거점병원을 육성한다고 밝혔다. 

 

 거점병원은 충청권역(대전?충남?충북?세종) 충남대병원호남권역(광주?남?전북?제주) 화순전남대병원경북권역(대구?경북) 칠곡경북대병원경남권역(부산?울산?경남) 양산부산대병원경기권역(경기?강원) 국립암센터이다.

 

  지역암센터 및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 등 기존에 정부가 지정한 공공의료 수행기관 중에서 소아암 진료를 위한 핵심기능*이 아직 유지되고 있는 병원으로 특정하였으며, 지역과 병원에 적합하면서 실행 가능한 진료모형을 개발하였다.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보유조혈모세포 이식 가능외래?입원 및 응급진료 기능 유지 등

 

  소아과 전문인력이 급속히 감소되고 있는 상황에서중증질환인 소아암 분야는 인력난이 더욱 심각해짐에 따라 거점병원은 소아혈액종양 전문의를 중심으로 탁의 신규채용타분과 소아과 전문의와 협력지역 내 타 병원 소속 전문의의 진료 참여 등 별 의료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소아암 전담진료팀을 구성?운영한다.

 

 이를 통해 지역 내 거점병원에서 진단부터 항암치료조혈모세포이식 및 후속 진료까지 완결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소아암은 인구 감소에 따라 적정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필수의료 분야이다소아암은 진단 후 1~2년 동안 집중치료가 필요함에 따라 환자와 가족이 불편함이 없도록 진료체계가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하며 “이를 위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조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상세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올해 초 발표한「필수의료 지원대책(23.1.31)」 및「소아의료체계 개선대책(23.2.22)」에 포함된'소아암 진료체계 구축'을 위해 서울을 제외한 전국 5개 권역에 소아암 거점병원을 육성한다고 밝혔다.

 

  거점병원은 충청권역(대전?충남?충북?세종) 충남대병원호남권역(광주?전남?전북?제주) 화순전남대병원경북권역(대구?경북) 칠곡경북대병원경남권역(부산?울산?경남) 양산부산대병원경기권역(경기?강원) 국립암센터이다.

 

 지역암센터 및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 등 기존에 정부가 지정한 공공의료 수행기관 소아암 진료를 위한 핵심기능*이 아직 유지되고 있는 병원으로 특정였으며지역과 병원에 적합하면서 실행 가능한 진료모형을 개발하였다.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보유조혈모세포 이식 가능외래?입원 및 응급진료 기능 유지 등

 

  소아암은 백혈병 등 혈액암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한 해 1,300명 정도가 신규 발생하고 있다.

 

  소아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86.3%로 전체암(71.5%)보다 높아 소아암 환자는 적절한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다만진단 후 완치까지 1~2년간 집중 치료가 필요함에 따라 학교생활의 공백 등으로 아동의 정서적 발달에 어려움이 있기도 하다.

 일반인과 비교하여 암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

 

  이러한 소아암 진료를 위해 수련을 마친 세부전문의(소아혈액종양 전문의)는 전국적으로 총 69명에 불과하다소아과 전문인력*이 급속히 감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증질환이며 노동집약적인 소아암 분야는 인력난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소아과 전공의 확보율(20년 68.2% → ’22년 27.5%)

  

  이에 따라 거점병원은 소아혈액종양 전문의를 중심으로 병동 촉탁의를 신규채용(2~3)하고 소아감염 및 소아내분비 등 타분과 소아과 전문의와 협력지역 내 타 병원 소속 전문의의 진료 참여 등 지역별 의료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소아암 전담진료팀을 구성?운영한다.

 

 

 거점병원별 전문인력 활용모형은 다음과 같다.

 

① 병원 내 전담팀 구성 진료체계

 

 소아혈액종양 전문의와 입원전담의 또는 촉탁의타분과 소아과 전문의가 협력하는 모형으로 거점병원 중 화순전남대양산부산대충남대병원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병원은 올해 말 수련이 종료되는 전공의를 촉탁의로 채용하고현재 근무 중인 입원전담의 또는 촉탁의 등을 진료전담팀으로 합류시켜 전문인력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한다.

 

 이러한 전문인력 보강을 통해 소아혈액종양 전문의는 외래진료와 조혈모세포 이식에 집중하고신규 또는 지원인력을 병동과 중환자실응급실에 배치하여 소아암 환자에게 안정적인 진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② 지역 개방형 진료체계

 

 칠곡경북대병원의 경우 지역 내 대학병원*이 다수 분포한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대학병원 소속 소아혈액종양 전문의와 지역 병?의원에 근무 중인 소아암 치료경력이 있는 전문의가 거점병원의 진료에 참여하는 방형 인력 활용 모형이다.

  영남대병원계명대 동산병원 등

 

 소아혈액종양 세부전문의로 진료팀을 구성하여 지역환자의 수도권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③ 취약지 지원체계

 강원도 지역은 소아암 진료를 위한 세부 전문의가 없는 취약지국립암센터 소속 소아암 전문의가 강원도 내 대학병원에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소아암 외래진료를 지원한다원도 내 대학병원은 타 지역에서 항암치료 및 퇴원한 지역 소아암 환자에 대하여 사후관리 및 후속진료를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게 된다.

  

 

거점병원별 맞춤형 전문인력 활용모형을 통해 지역 내 거점병원에서 진단부터 항암치료조혈모세포이식 및 후속진료까지 완결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다만지역 거점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고난이도 중증 외과 수술* 양성자치료기 등 첨단장비를 통한 항암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수술팀을 갖춘 수도권 병원이나 양성자치료기 보유 병원인 국립암센터에서 치료한 후, 지역 거점병원으로 회송하여 항암 등 후속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연계 체계를 구축한다.

  수술전 혈관색전술이 선행되어야하는 뇌종양후복막 및 골반 종양수술후 신장투석에크모 등 중환자실 치료 등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소아암은 인구 감소에 따라 적정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필수의료 분야이다소아암은 진단 후 1~2년 동안 집중치료가 필요함을 고려하여 환자와 가족이 불편함이 없도록 진료체계가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라고 말하며 “이를 위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조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

(보건복지부, 2023.07.2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1504&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12&startDate=2023-07-01&endDate=2023-07-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71 식물 탄저병 방제하는 담수 세균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67
770 27개국 공무원 대상, 온실가스 전문가 교육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4
769 어려운 화학안전관리, 다양한 지원사업으로 도움받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75
768 우리나라 최초로 눈 없는 신종 거미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4
767 지구를 지키는 친환경 여름 여행 '소담휴'로 떠나보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33
766 기업투자를 저해하는 환경규제 신속 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11
765 한국-인도네시아, 녹색 기반시설 개발 협력 공동위원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0
764 낙동강 수계 공유지 보관 퇴비 강력 조치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6
763 폭염으로부터 안전하게, 기후위기 취약계층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00
762 집중호우 예보에 따른 인명피해 대비 긴급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32
761 거문도에 국립공원 해양 기후변화 연구시설 개소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07
760 도시생태복원사업 내실화 및 효율성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510
759 환경부 차관, 취임 당일 홍수예방 현장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55
758 수소 통학버스, 최초로 인천시에서 달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16
757 사회복지시설에 충전시설 240기와 전기차 120대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93
756 국가환경시료은행 관리체계 구축…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28
755 유럽연합 불승인 살충제 물질 알레트린, 안전성 재검증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17
754 2023 대한민국 물산업 혁신 창업대전 공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2
753 토양·지하수 어린이 여름캠프 참가자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56
752 먹는물 조류독소 및 깔따구 관련 수질감시항목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