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게임도 하고 그림도 그린다.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0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02

<요약본>

 

 

  국립재활원(원장 강윤규)은 노인?장애인 보조기기연구개발사업단에서 개발된 게임 보조기기와 그림그리기 보조기기에 대해 기술이전을 진행한다. 그동안 개발된 보조기기들의 오픈소스가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에 공개되고 있지만,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하는 것이 어려워 꾸준히 제작을 요청하여 왔다. 국립재활원은 기술이전을 통해 제작과 보급이 가능하도록 제품화 산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게임 보조기기는 장애인들의 게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기기로서, 장애로 인한 신체 조건에 맞추어 설치 가능하고 게임을 할 수 있게 돕는다. 휠체어에 부착 가능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는 그림도구들을 부착한 휠체어를 탄 채 그림을 그릴 수 있어 장애인들의 여가 활동이나 문화?예술 활동의 폭을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이전하여 오픈소스 보조기기 제작?판매에 참여하는 2개 민간업체는 ㈜한국파릇하우스와 ㈜아이에스티솔루션이다. 게임보조기기는 게임 컨트롤러 전문 제작판매업체인 ㈜아이에스티솔루션을 통해 맞춤형 주문제작이 가능하고, 그림그리기 보조기기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참여하는 예술 활동과 교육 기관인 ㈜한국파릇하우스를 통해 구입할 수 있게 된다.

 

 

 

<상세본>

  국립재활원(원장 강윤규)은 노인?장애인 보조기기개발연구사업단의 열린플랫폼에서 개발된 장애인 게임 접근성 향상을 위한 게임 컨트롤러 장치(이하 ’게임 보조기기’)와 휠체어 부착 가능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이하 ‘그림그리기 보조기기’)가 기술이전으로 제품화?산업화되어 장애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에 장애인들의 여가 생활 관련 보조기기 개발수요가 많이 신청되었다. 게임 컨트롤러는 대부분 비장애인용으로 많은 중증장애인들이 게임 정보와 보조기기 개발을 요구(2021년 수요 공모 선정)하였다. 이에 중증장애인이 다양한 게임기(콘솔 게임들)를 사용하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게임 설정 안내서* 『누구나 게임을 할 수 있다』를 발간(2021년)하였고 장애인에게 맞추어 설치할 수 있는 『게임 접근성 컨트롤러*』를 개발(2021년)하였다. 장애인의 게임 접근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며 2023년 국립현대미술관 전시『게임사회』에서 게임 보조기기를 전시하였고, 카카오게임즈에서 게임 보조기기 지원사업으로 게임 보조기기들을 보급하고 있다.

 

 ※  보조기기 열린플랫폼: 보건복지구 연구개발(R&D)사업인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20∼’23)』의 일환으로 구축되어, 보조기기 연구개발 수요 발굴부터 개발성과 공유, 상용화를 돕기 위한 플랫폼

 ※ 누구나 게임을 할 수 있다』: 2022년 국립재활원 발간서, 장애인의 게임 보조기기 개발 및 활용 매뉴얼

 ※ 게임 접근성 컨트롤러』: 2021년 국립재활원 개발 및 특허출원

 

  『휠체어 부착 가능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는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문화?예술 활동으로 휠체어를 타고 그림그리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발(2021년)되었다. 물감과 붓이 장착된 보조기기를 휠체어에 부착하고 종이 위에 그림을 그릴 수 있어, 단순한 그림그리기 활동을 넘어서 역동적인 퍼포먼스로 활용 가능하며 휠체어를 이용한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의 여가활동의 폭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휠체어 부착 가능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2021년 국립재활원 개발 및 특허출원

  사용자가 보조기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를 열린플랫폼에 공개하였고, 게임 보조기기와 그림그리기 보조기기 관련 업체에서 기술이전을 요청해와 두 업체와 기술이전을 추진하였다. 이를 통해 게임 보조기기와 그림그리기 보조기기가 필요한 사용자들은 직접 제작하는 어려움 없이 원활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이전으로 게임 보조기기와 그림그리기 보조기기의 오픈소스 제작?판매에 참여하는 2개 전문업체는 ㈜한국파릇하우스와 ㈜아이에스티솔루션이다. 게임 보조기기는 게임 컨트롤러 전문 제작판매업체인 ㈜아이에스티솔루션을 통해 맞춤형 주문제작이 가능하다. 그림그리기 보조기기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참여하는 예술 활동과 교육 기관인 ㈜한국파릇하우스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국립재활원 강윤규 원장은 “노인?장애인 보조기기연구개발사업단의 열린플랫폼을 통해 그동안 국내에 없었던 다양한 보조기기를 개발하고 보급하였다”라며, “이를 통해 사회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의 여가?문화?교육이나 일상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이 개선되어 평등한 삶을 누리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붙임 > 1. 게임 접근성 컨트롤러
2. 휠체어를 이용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

?

?

(보건복지부, 2023.07.3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3212&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12&startDate=2023-07-01&endDate=2023-07-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35 지역특화 치매서비스를 추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71
734 발 보조기 급여화로 장애아동의 경제적 부담 낮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56
733 장?차관급 공무원, 취약계층 지원 솔선수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37
732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자문단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64
731 보건복지부 장관, 장애인 거주시설 폭우·폭염 대응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7
730 ‘집중호우 피해지역 노인일자리’ 현장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24
729 보건복지부 제2차관, 집중호우·폭염·화재 대비 요양병원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59
728 보건복지부, 폭우·폭염 대응 상황점검 위해 남대문 쪽방촌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5
727 자립준비청년 장학금 및 취업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8
726 위기임산부 지원을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79
725 시간제보육 통합반 2차 시범사업으로 서비스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9
724 소아암 환자가 거주지 인근 병원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소아암 진료체계 구축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3
723 보건복지부, 필수의료 정상화 위한 마취통증 의료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16
722 집중호우 피해주민의 조기 일상회복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9
721 한중일 3국이 모여 인구문제 해결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06
720 지역완결 필수의료 전달체계 혁신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85
719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시범사업 현장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64
718 집중호우 피해 주민에 긴급복지 및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5
717 제1차 사회적 고립 및 고독사 예방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39
716 2자녀 가구 영유아도 연령제한 없이 어린이집 이용 우선순위 부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