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으로부터 안전하게, 기후위기 취약계층 지원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1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03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기후위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폭염 대응 물품 지원과 폭염 행동 요령을 안내하고지자체의 폭염 대응 추진상황을 점검한다고 밝혔다.

 * 기후요인(폭염, 홍수 등) 측면의 위험노출이 크고, 사회·경제적 보호가 필요한 홀몸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저소득 가구 등

 

  환경부는 시민단체(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및 기업*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협력하여 생활 속에서 폭염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기후변화 진단상담사(컨설턴트)와 함께 △더운 시간대(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에 휴식하기△물을 자주 마시기 등 폭염 행동 요령을 안내한다.

 * 우리은행(부채),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생수), BGF리테일(여름용 이불), 그린웨이브(양우산), ㈜리코(업사이클링 분리수거함), LG헬로비전(오미자 원액), 빙그레(아이스크림)

 

  아울러 전국 취약가구 2,100여 곳과 경로당 등 취약계층 이용시설 50여 곳을 대상으로 친환경 소재의 여름용 이불부채도라지차 등 폭염대응 물품을 지원한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부(기후적응과직원들은 7월 5일 오후 충남 천안시 일대의 취약가구를 방문하여 폭염대응 물품을 전달하고무더위쉼터로 지정된 경로당을 방문하는 등 폭염 대응 시설현황을 점검한다.

 

  김지수 환경부 기후적응과장은 “기후변화 영향은 사회적·경제적 약자에게 더 큰 피해를 가져온다”라면서, “기후 불평등 완화를 위해 기후위기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현장방문 계획.

     2. 취약계층 폭염대응 물품지원 추진계획.

     3. 폭염행동 요령.  끝.


(환경부, 2023.07.05)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8874&pageIndex=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19&startDate=2023-07-01&endDate=2023-07-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35 지역특화 치매서비스를 추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72
734 발 보조기 급여화로 장애아동의 경제적 부담 낮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57
733 장?차관급 공무원, 취약계층 지원 솔선수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38
732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자문단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65
731 보건복지부 장관, 장애인 거주시설 폭우·폭염 대응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8
730 ‘집중호우 피해지역 노인일자리’ 현장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25
729 보건복지부 제2차관, 집중호우·폭염·화재 대비 요양병원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60
728 보건복지부, 폭우·폭염 대응 상황점검 위해 남대문 쪽방촌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7
727 자립준비청년 장학금 및 취업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9
726 위기임산부 지원을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80
725 시간제보육 통합반 2차 시범사업으로 서비스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00
724 소아암 환자가 거주지 인근 병원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소아암 진료체계 구축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5
723 보건복지부, 필수의료 정상화 위한 마취통증 의료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17
722 집중호우 피해주민의 조기 일상회복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50
721 한중일 3국이 모여 인구문제 해결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07
720 지역완결 필수의료 전달체계 혁신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86
719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시범사업 현장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65
718 집중호우 피해 주민에 긴급복지 및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6
717 제1차 사회적 고립 및 고독사 예방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0
716 2자녀 가구 영유아도 연령제한 없이 어린이집 이용 우선순위 부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