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 등 하구습지에서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 집단 서식지 60곳 확인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7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04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조도순)은 2021년부터 2022년까지 하구 

생태계 조사를 통해 남해안, 동해안, 제주도 등 이들 일대의 하구습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기수갈고둥의 집단 서식지 60곳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기수갈고둥 서식지 60곳은 동해, 영덕, 창원, 거제, 통영, 고성, 사천, 남해, 

하동, 제주 등 10개 행정구역에 걸쳐 분포했으며, 총 5,906개체의 서식이 

확인됐다.

?

  기수갈고둥은 일정한 유속과 수심이 유지되는 기수역(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에서 큰 돌이나 자갈에 붙어 산다. 서식 조건이 까다롭고 해안선이 개발

되면서 멸종위기에 몰렸다. 하구습지에서 기수갈고둥이 집단서식하는 것은 

자갈의 비율이 높아 부착조류와 같은 먹이원이 풍부하며 은신할 수 있는 

장소도 많아서 좋은 서식 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기수갈고둥은 국내에서 경상남도, 전라남도 및 제주도 등지의 해안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번 하구 생태계 조사에서도 강원도 동해시부터 

제주도까지 서식이 확인됐다. 특히, 창원시부터 하동군에 걸쳐 경상남도 남해안 

권역에 위치한 하구습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행정구역별로 경상남도 고성군에 위치한 하구습지 13곳에서 1,656개체

(28.0%)로 가장 많았으며, 거제(10곳) 1,454개체(24.6%), 사천(9곳) 837개체

(14.2%) 등의 순으로 기수갈고둥이 집중 분포했다.

?

 습지별로는 오방천하구습지(고성) 486개체(8.2%), 고현천하구습지(거제) 

292개체(4.9%), 오수천하구습지(거제) 281개체(4.8%) 등의 순으로 많았다. 

?

?

해당습지에서 기수갈고둥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중 우점종으로 확인됐다.

?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2025년까지 남해안 일부와 서해안에 위치한 하구

습지를 대상으로 하구 생태계 현장 조사를 완료할 예정으로 기수갈고둥의 

전국적인 분포자료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멸종위기 

습지생물의 서식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체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붙임 1. 기수갈고둥 특성 및 분포현황.

2. 기수갈고둥 서식이 확인된 하구습지 목록.

3. 전문용어 설명. 끝.

?

(환경부, 2023.07.2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2024&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19&startDate=2023-07-17&endDate=2023-07-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83 환경부 장관, 제주에서 집중호우 대처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62
782 화학규제가 기업의 투자를 막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2
781 굴뚝 대기오염물질 측정, 현장 고충 해결을 위해 힘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7
780 환경부 장관, 야간 호우 대처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6
779 “산업단지 용수공급 쉬워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61
778 민관 협업으로 미세조류 활용한 탄소저감 신기술 실증화시설 결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17
777 제2기 유역물관리위원회 출범, 유역 중심 통합물관리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73
776 집중호우 대비, 다목적댐 수위조절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76
775 전기차 충전산업 해외시장 진출 경쟁력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6
774 국립공원 안전사고 예방, 샛길 출입 등 집중 단속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32
773 환경부-철강업계, 유럽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72
772 "이권 카르텔 극도로 경계해야" 환경부 레드팀 1차회의 열어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66
771 식물 탄저병 방제하는 담수 세균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78
770 27개국 공무원 대상, 온실가스 전문가 교육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94
769 어려운 화학안전관리, 다양한 지원사업으로 도움받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5
768 우리나라 최초로 눈 없는 신종 거미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95
767 지구를 지키는 친환경 여름 여행 '소담휴'로 떠나보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45
766 기업투자를 저해하는 환경규제 신속 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22
765 한국-인도네시아, 녹색 기반시설 개발 협력 공동위원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91
764 낙동강 수계 공유지 보관 퇴비 강력 조치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