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가마우지, 유해야생동물 지정 추진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1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04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민물가마우지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 중으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민물가마우지는 주로 물고기를 먹이로 삼는 겨울철새였으나기후변화 등으로 2000년대 이후 일부 개체들이 텃새화되기 시작했다텃새화된 민물가마우지 번식지 둥지수는 2018년 3,783개에서 2023년 상반기 5,857개로 1.5배 이상 증가했다.

  

  민물가마우지의 개체수 증가와 함께 올해 청주시평창군 등 28개 지자체에서 양식장, 낚시터내수면 어로어업에 대한 58개 수역의 피해를 보고했으며일부 지자체에서는 피해 예방을 위해 유해야생동물 지정을 건의했다.

 

  환경부에서는 민물가마우지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난해 7월 우선 비살상적 관리 방법인 민물가마우지 번식지 관리지침을 지자체에 배포하고 올 상반기까지 번식지피해 상황을 조사한 바 있다.

 

  환경부는 그간 조사 결과와 전문가 간담회 등을 거쳐 개체수의 증가를 비롯해 양식장낚시터내수면 어로어업에 대한 피해 예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민물가마우지의 유해야생동물 지정 추진을 결정했다.

 

  아울러환경부는 큰부리까마귀로 인한 과수정전 등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큰부리까마귀에 대해 유해야생동물 지정을 추진하기로 했다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까마귀류는 까마귀갈까마귀떼까마귀큰부리까마귀이며현재는 까마귀갈까마귀떼까마귀만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되어 있.

 

 

  민물가마우지와 큰부리까마귀가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되면 피해지역 주민 등은 지자체로부터 포획허가 등을 통해 개체수를 조절할 수 있다.

 

  김종률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민물가마우지 등에 대한 유해야생동물 정은 양식장 등 재산상 피해를 줄이기 위해 추진되는 것으로향후 민물마우지 등 야생동물 서식현황 조사연구를 통해 생태 건강성과 함께 국민이 체감하는 자연보전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1. 민물가마우지 생태 특성.

      2. 큰부리까마귀 생태 특성.

      3. 민물가마우지 집단 번식지 현황.

      4. 민물가마우지로 인한 피해지역(사례).

      5. 유해야생동물 지정현황.  끝.


(환경부, 2023.07.3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3079&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19&startDate=2023-07-17&endDate=2023-07-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95 최근 중국에서 생산한 테슬라 모델Y에 대한 전기차보조금은 아직 확정되지 않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33
794 민간 자동차검사소 부실검사 지속 점검… 불법행위 16곳 적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20
793 ‘플라스틱 없는 내일’ 실천… 환경방학 선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18
792 민간 자동차검사소 부실검사 지속 점검… 불법행위 16곳 적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57
791 환경부 장관, 전국 하천·댐 상황 긴급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01
790 환경영향평가 불편사항, 현장 목소리 들어 걷어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54
789 중남부지역 집중호우 환경부 총력 대응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54
788 라오스에도 한국 녹색산업 생태계 외연 확장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4
787 인공증식 2세대 저어새, 자연의 품으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44
786 화학사고 건강영향조사 국내 경험, 서태평양 지역에 알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72
785 국민과 함께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연구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97
784 환경부 장관 “우리 기업 투자·경쟁력 방해하는 환경규제 과감히 혁신”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72
783 환경부 장관, 제주에서 집중호우 대처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59
782 화학규제가 기업의 투자를 막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79
781 굴뚝 대기오염물질 측정, 현장 고충 해결을 위해 힘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0
780 환경부 장관, 야간 호우 대처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85
779 “산업단지 용수공급 쉬워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60
778 민관 협업으로 미세조류 활용한 탄소저감 신기술 실증화시설 결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416
777 제2기 유역물관리위원회 출범, 유역 중심 통합물관리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72
776 집중호우 대비, 다목적댐 수위조절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3 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