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한-아세안 환경·기후변화 대화 개최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4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21

윤현수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은 8.2.() 14:00~16:00(서울 시간인도네시아 보고르에서 개최된 「제3차 한-아세안 환경?기후변화 대화」에 공동의장* 자격으로 화상 참석하여아세안 환경 고위급 대표(ASOEN)들과 한-아세안 양측 간 환경 및 기후변화 대응 분야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 르 응옥 뚜안(Le Ngog Tuan) 한-아세안 대화 관계 조정관(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 국제협력국장)과 공동 의장으로 회의 주재

 

   ※ 의제 (환경 협력) △대기오염△산림△해양 환경△순환경제△그린 ODA 등 (기후변화 대응) △파리협정 이행△한-아세안 메탄행동 파트너십(PARMA), 아세안 기후변화센터(ACCC) 협력-아세안 탄소중립 및 녹색성장협력 등

 

  양측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 등 이상 기후 현상 및 자연 재해가 아시아 지역을 비롯한 전 세계에 심각한 피해를 미치고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하고환경 보호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을 확대·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특히아세안측은 올해 7월 공식 출범한 한-아세안 메탄 행동 파트너십* 을 환영하며이를 기반으로 메탄 감축을 위한 양측 간 협력을 확대하기로 하였다.

 

   * Partnership for ASEAN-ROK Methane Action (PARMA): 아시아 지역의 메탄 감축을 위한 협력 이니셔티브로-아세안 외교장관회의(23.7.13.) 계기 출범

 

  우리측은 2050 탄소중립 실현 및 녹색전환(green transition)을 위한 우리 정부의 환경·기후변화 정책을 소개하고, 특히 지난 4월 발표된 한-아세안 연대구상(Korea-ASEAN Solidarity Initiative: KASI) 이행 계획에 따라 환경·기후변화 분야에서의 한-아세안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양자 기후변화협력협정 체결, 그린 ODA 확대, 메탄 행동 파트너십, REDD+ 사업 확대, 대기오염 대응 협력 사업 등 다양한 협력 노력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아세안측의 관심을 환기하였다.

 

   ※ REDD+ : 파리협정 제5조에서 명시한 산림을 통한 탄소배출 저감 활동(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and the role of conservation, sustainable management of forests, and enhancement of forest carbon stocks in developing countries)

 

  아세안측은 한-아세안 협력 사업그린 ODA 등을 통해 한국이 아세안 회원국들의 환경 문제 및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음을 평가하고한국 측의 지원이 더욱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특히현재 추진 중인 한-아세안 대기 오염 대응 사업산림 협력 사업해양 쓰레기 협력 사업 등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향후 추진 예정인 아세안 기후변화센터(ACCC)를 통한 협력 및 한-아세안 메탄행동 파트너십 하 메탄감축 사업 등에 대한 기대를 표명하였다.

 

  2021년 9월 제1차 대화에 이어 올해로 3년 차를 맞이한 금번 제3차 한-아세안 환경·기후변화대화는 우리 인도-태평양 정책의 중요한 파트너인 아세안과의 환경·기후변화 협력 기반 확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붙 임 :  제3차 한-아세안 환경?기후변화 대화 개최 사진.  끝.


(외교부, 2023.08.0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3880&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8-01&endDate=2023-08-06&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22 민물가마우지, 유해야생동물 지정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20
821 순환경제사회 전환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7
820 싱가포르와 정지궤도 환경위성 공동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8
819 다회용기 안심하고 쓰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71
818 방역용 소독제 공기 소독 근절 및 안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9
817 홍수 등 물 재난 대응 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9
816 전기차 저온 1회충전 주행거리는 전기차 원동기실 안쪽 벽에서 확인 가능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6
815 여름철 국립공원 물놀이, “허용된 안전한 구역에서만 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8
814 2023년 주요 20개국(G20) 환경·기후장관 회의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3
813 파리협정 전지구적 이행점검을 위한 국제 학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46
812 산양 등 멸종위기 19종 동결보존 기술 개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4
811 녹색산업 창업가와 기업인 교류의 장… 새싹기업(스타트업) 동창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2
810 온실가스 분해 능력 뛰어난 미생물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8
809 배터리 산업 탄소경쟁력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61
808 전기화물차 보조금 예산안은 현재 논의 중인 단계로 보도내용은 사실과 다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3
807 2022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전년보다 3.5% 감소한 6억 5,450만톤 예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9
806 비사업용 경·소형 화물차 배출가스 첫 정밀검사 시기, 차 출고 후 3년에서 4년부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7
805 민간투자 유치설명회 개최…700억 원 이상 투자유치 목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2
804 남해안 등 하구습지에서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 집단 서식지 60곳 확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0
803 국민의 환경정책을 제안받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