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메콩 차세대간 상호교류를 통해 한-메콩 미래 협력 발전을 위한 지혜를 교환하다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7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21

외교부는 8.1.()-4.() 4일간 한국과 메콩지역 5개 국가* 출신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한-메콩 유스그룹(Youth Group)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

 

  이번 행사는 한국과 메콩지역 5개국의 미래세대간 상호 이해 제고와 교류 협력을 증진하는 한편우리의 인태전략 및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 등 외교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되었다올해는 전년 대비 규모를 더욱 확대(3일→4일 / 12명→30)하였으며특히 지난해보다 두배 이상 규모인 402명이 신청하는 등 한-메콩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이 확인되었다.

 

  참가자들은 이번 워크숍 기간 중 한국수자원공사, 서울시 교통정보센터(TOPIS) 등을 견학하고, 현재 한-메콩 협력기금(MKCF)* 사업과 관련된 한-메콩 물관리공동연구센터 및 서울대 등 다양한 기관의 전문가 강연을 청취으로써 한-메콩 미래 협력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 -메콩 협력을 강화하고메콩 5개국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통한 개발격차 완화 및 연계성 증진에 기여하고자 2012년 신설된 기금으로서우리 정부는 `13-`22년 간 총 1,945만불 공여(41개 협력사업 선정)

 

     - (-메콩 물관리공동연구센터메콩 지역 수자원 데이터 활용 플랫폼 원형개발 및 역량 강화 사업(제3차 사업) / (서울대) 농촌 의료시설 대상 빗물 식수화 시설 보급 사업(제5차 사업)

 

 

  행사 마지막 날 개최된 모의 한-메콩 협력기금(MKCF) 사업제안서 발표회에서 참가자들은 5개팀으로 나뉘어 △메콩 혁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녹색 기업가 정신 촉진 사업 △메콩강 삼각주 지역 청년들의 인식개선과 참여를 위한 가상 포럼 연계 비상저수 시스템 구축 사업 △메콩 TVET 훈련생 사업 △스마트 메콩강 기반 생태관광 어플리케이션 사업 △수확 후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포괄적 지원 사업에 대해 발표하였으며이후 심사를 거쳐‘△수확 후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포괄적인 지원 사업’이 최우수 사업으로 선정되었다.

 

   * 실제 한-메콩 협력기금 사업 선정 과정과 동일하게 7개 우선협력분야(△문화·관광 △인적자원개발 △농촌개발 △인프라 △정보통신기술(ICT) △환경 △비전통안보에서 사업 내용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진행

 

  이번 행사는 향후 한-메콩 협력을 이끌어나갈 차세대 리더들이 직접 교류하는 장을 마련함으로써 한-메콩 미래 협력방안과 관련된 참신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좋은 기회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아울러 이를 통해  한-메콩 협력에 대한 민간부문의 관심을 확대하고차세대 친한 인사 네트워크 저변 확대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붙임: 행사 사진.  끝.


(외교부, 2023.08.0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4056&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8-01&endDate=2023-08-06&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22 민물가마우지, 유해야생동물 지정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20
821 순환경제사회 전환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7
820 싱가포르와 정지궤도 환경위성 공동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8
819 다회용기 안심하고 쓰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72
818 방역용 소독제 공기 소독 근절 및 안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9
817 홍수 등 물 재난 대응 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9
816 전기차 저온 1회충전 주행거리는 전기차 원동기실 안쪽 벽에서 확인 가능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6
815 여름철 국립공원 물놀이, “허용된 안전한 구역에서만 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8
814 2023년 주요 20개국(G20) 환경·기후장관 회의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3
813 파리협정 전지구적 이행점검을 위한 국제 학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46
812 산양 등 멸종위기 19종 동결보존 기술 개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4
811 녹색산업 창업가와 기업인 교류의 장… 새싹기업(스타트업) 동창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2
810 온실가스 분해 능력 뛰어난 미생물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8
809 배터리 산업 탄소경쟁력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61
808 전기화물차 보조금 예산안은 현재 논의 중인 단계로 보도내용은 사실과 다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3
807 2022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전년보다 3.5% 감소한 6억 5,450만톤 예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9
806 비사업용 경·소형 화물차 배출가스 첫 정밀검사 시기, 차 출고 후 3년에서 4년부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7
805 민간투자 유치설명회 개최…700억 원 이상 투자유치 목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2
804 남해안 등 하구습지에서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 집단 서식지 60곳 확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0
803 국민의 환경정책을 제안받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