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4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22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8월 16(서울청사에서 제7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Study Korea 300K Project)‘중등직업교육 발전 방안’‘다자녀 가구 지원정책 추진 현황 및 개선 방향’ 및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 개최 계획’을 발표한다.

<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Study Korea 300K Project) >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Study Korea 300K Project)’은 ‘외국인 유학생 30만 명 유치를 통한 세계 10대 유학강국 도약’을 목표로 유학생 유치부터 학업 이후 국내에서의 진로 설계 등에 이르는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담았다. 교육부는 동 방안을 통해 지역 특화산업첨단·신산업 등 맞춤형 인재를 유치하는 동시에, 한국어교육 및 학생·교사의 국제교류 등을 통해 한국 유학에 대한 수요를 적극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 별도 보도자료 배포(교육부, 8월 16일)

< 중등직업교육 발전 방안 >

  ‘중등직업교육 발전 방안’은 학령인구 감소와 산업구조 및 일자리 변화 등 사회·경제 변화에 대응하여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특성화고 등 직업계고의 경쟁력 강화를 유도하고직업계고 학생들이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기술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교육부는 교육 현장 및 산업계가 원하는 학교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고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양질의 실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산학협력을 고도화하는 등 8개 핵심과제를 설정하고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동 방안은 사회관계장관회의 심의를 거쳐 8월 중 발표·시행될 예정이다.

 

    ※ 중등직업교육 발전 방안 별도 보도자료 배포(교육부, 8월 23일)

< 다자녀 가구 지원정책 추진 현황 및 개선 방향 >

  ‘다자녀 가구 지원정책 추진 현황 및 개선 방향’은 다자녀 가구의 양육 부담 실질적으로 낮추고, 다자녀 가구 축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이 참여하여 범정부 차원에서 검토·추진할 예정이다.

    *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 중 2자녀 이상 가구의 비중: (2017) 60.5% → (2022) 57.6%

1 다자녀 혜택 기준을 3자녀에서 2자녀로 완화한다.

  정부는 공공분양주택 다자녀 특공 기준(국토부)을 올해 말까지 2자녀로 완화하고, 민영주택의 특공 기준 완화도 검토할 예정이다. 그간 3자녀 가구에만 제공되던 자동차 취득세 면제·감면 혜택(행안부)이 2자녀 가구까지 제공될 수 있도록 일몰 기한(2024년)에 맞추어 지방세특례제한법을 정비한다.

  다자녀 우대카드 기준으로 이용요금 할인을 제공(문체부)하던 국립 문화시설(국립극장, 박물관 등)도 다자녀 혜택 기준을 2자녀로 통일하고, 증빙 서류로 가족관계증명서 등을 허용할 예정이다. 전시 관람 시 영유아 동반자가 우선 입장할 수 있는 신속 처리제(패스트트랙) 운영도 검토한다.

  부산광역시와 대구광역시의 조례 개정*을 통해 내년까지 모든 광역지방자치단체의 다자녀 기준을 2자녀로 통일하고, 기초지자체 차원의 다자녀 기준과 다자녀 우대카드 발급 기준도 단계적으로 완화할 계획이다.

    * (부산) 2023년 10월 시행, (대구) 2024년 1월 시행 예정

 

2 다자녀 가구 양육·교육 지원을 확대한다.

  초등돌봄교실(교육부) 지원 대상으로 다자녀 가구를 포함*하고, 아이돌봄서비스(여가부) 본인부담금을 자녀 수에 따라 추가 할인하는 등 다자녀 가구의 아이 양육 부담을 경감한다.

    * 관련 내용을 ?2024년 초등돌봄교실 길라잡이? 개정 시 반영(2023년 하반기)

  3자녀 이상 가구의 셋째 자녀부터 주로 지원하던 초중고 교육비도 2자녀 가구 혹은 첫째 자녀부터 지원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주민의 실제 수요를 고려한 다자녀 지원 항목 확대** 등 지역 차원의 다자녀 지원 정책을 강화한다.

    * (2자녀 가구 지원제주경북전남대전(2024~), 경남(2025~), 강원(2025~)
(첫째부터 지원) 전남, 울산(2024년~), 강원(2025년~)

   ** (대전온라인 시민 정책 제안 공론장을 통한 주민 수요 파악 및 업체별 업무협약 추진(8~)

<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 개최 계획 >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과 공동으로 8월 28일부터 9월 1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을 개최한다.

  유엔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가 심화*되어 기후적응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세계 각국의 기후변화 적응 대책과 이행 경험 공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행사는 특히,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적응 논의를 한 단계 진전시키는 것을 목표로‘적응의 새로운 시대 적응의 확대와 변혁(A New Era for Adaptation : Scaling Up and Transformation in Adaptation)이라는 주제로 개최될 예정이다.

    * 미국 캘리포니아 데스밸리(지난 7월 16일 섭씨 54도 기록), 인도(한 달 넘게 폭우가 계속되어 100여 명 이상 사망)

  세부 행사로 △유엔기후변화협약 주관의 아·태 국가 적응계획(NAP)* 국제포럼 및 적응비전 토론회(포럼)△유엔환경계획 주관의 아·태 적응네트워크(APAN)** 포럼 등이 진행될 예정이며, 고위급 대화에는 마지드 알 수와이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사무총장각국의 장관급 이상 각료 등이 참석하여 적응확대와 변혁을 위한 국제사회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 (NAP) National Adaptation Plan : 국가 적응계획

   ** (APAN) Asia Pacific Adaptation Network : 아·태 적응 네트워크

  환경부는 이번 적응주간에서의 논의 결과를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2023년 11) 예정인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 공유하여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적응의제 진전에 활용할 계획이다.


(환경부, 2023.08.1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5538&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8-14&endDate=2023-08-2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129 어린이와 함께하는 ‘동물사랑배움학교’!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1 293
1128 “건설경기 어렵다고 안전관리 후순위로 밀려서는 안돼”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0 245
1127 장애인 체육선수 취업을 위한 3자 협약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0 266
1126 (동정) 기후변화가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0 309
1125 폴리텍 디지털·저탄소 인력 양성 속도 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0 301
1124 연동제 시행에 앞서 자율참여 기업과의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2 381
1123 철강 분야 자동화·안전 관리에 이음5G 도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2 294
1122 기업의 시험인증 애로해소, 현장에서 답을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2 374
1121 “여성의 경력을 잇다. 나의 성장이 있다” 경력단절예방 실천다짐 및 유공자 포상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2 378
1120 서호주 총리와 에너지공급망 협력 강화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2 413
1119 한-인도네시아, 전기차 생태계, 신산업 양해각서 2건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2 363
1118 새로운 위험에 대비, 지하 50m 터널에서 고속철도 사고 대응 훈련 최초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2 297
1117 고래 보호에 협력하기 위해 전세계 전문가 한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1 312
1116 창업주가 근로자 16명 폭행, 더케이텍(주) 폭행·직장 내 괴롭힘 등 위법행위 엄단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1 310
1115 기술과 노동의 상생적 발전을 위한 일터혁신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1 309
1114 지역 농·수협, 직장 내 괴롭힘 등 기획감독 결과 763건 법 위반, 38억 임금체불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1 407
1113 지역 인력양성 거버넌스, 17개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10주년 기념행사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1 404
1112 한-호주, 녹색해운항로 구축 제안 등 해운·해사분야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9-11 383
1111 직원들과 소통으로 변화와 쇄신의 조직문화 분위기 조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20
1110 대기업·공공기관 등 특허 593건 무료 나눔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