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에서 이동약자를 위한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대상 수상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2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22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이하 공진원)과 함께 정부혁신 계획 사업인 ‘2023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을 공모한 결과,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설치사업’을 대상(국무총리상)으로 선정했다.

 

  2008년에 시작해 올해로 16회를 맞이한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은 사업부문과 연구부문지자체부문(신설)으로 나누어 공모했다▲ 사업 부문에서는 대상(국무총리상) 1최우수상(문체부 장관상) 1우수상(공진원 원장상) 6입선(공진원 원장상) 3▲ 연구 부문에서는 최우수상(문체부 장관상) 1점, 특별상(빅터 마골린상*) 1점, 우수상(공진원 원장상) 1점, ▲ 지자체 부문에서는 최우수상(문체부 장관상) 1점을 선정해 총 15점을 시상한.

  * (빅터 마골린(Victor Margolin, 1941?2019 미국)은 세계적인 디자인계의 석학이자2015 국제디자인총회(International Design Congress, Gwangju, Korea) 기조 연사 참여 계기로 한국 디자인의 발전과 공공디자인 분야의 학술연구 증진을 위해 후원금을 기부함.

 

 서대문구청사회문제 해결 디자인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설치사업’ 대상 수상

 

  대상(국무총리상)을 받은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설치사업’[서대문구청㈜건축사사무소 유니트유에이최정우(울산대학교)]은 교통약자를 함한 모든 사람의 보행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했. 외관 디자인은 물론 유지관리 등 운영 측면에서도 높은 주민 만족도와 이용률을 보이며 도시적 사회문제를 해결한 공공디자인 우수사례로 평가받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성별연령국적 또는 장애의 유무 등과 관계없이 모든 국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회 및 생활환경을 계획·조성·운영 또는 관리하는 것을 말함

 

  사업부문 최우수상은 ‘농산어촌지역 주민들의 보편적인 삶 보장 프로젝트(PROJECT)(한국농어촌공사)에 수여한다우수상은 ▲ 광주양동초 학생중심 공간혁신(광주광역시교육청 외 3)과 ▲ 상담공간편 스트레스 해소 디자인(서울시청 외 1곳), ▲ 도심 속 안전한 카페 정류장 성동형 스마트쉼터(성동구청 외 1곳), ▲ 승강장 안전문 역명 부착(대구교통공사), ▲ 조리읍 행정복지센터 문화광장(파주시청 외 1), ▲ 모두의 드리블(디마이너스원 외 2)이 받는다선은 ▲ 원주 마을 미술 프로젝트(원주문화재단 외 1곳), ▲ 우리 동네 유휴공간 프로젝트(아모레퍼시픽 외 1), ▲ 프로젝트(Project) 100 : 대백화점 독립 자원순환 시스템(현대백화점 외 1곳)이 수상한다.

 

 우수상 ‘승강장 안전문 역명 부착’(대구교통공사), 민원 해결 사례

 

  특히 우수상을 받은 ‘승강장 안전문 역명 부착’(대구교통공사)은 대구 하철 내 승강장 안전문이 지하철 역명을 가린다는 민원을 해결한 사례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지하철 이용객이라면 탑승 중에 현재 역명을 르고 쉽게 인지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한두 번쯤 있기 마련인데, 이를 반영하듯 국민참여 심사(온라인)에서 실생활에서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으로 많은 득표를 받았고정차역 안내 방송을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기도 했다.

 

  연구부문 최우수상은 「공공미술 프로젝트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김상아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에 수여한다이 연구는 공미술 프로젝트의 사회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요소를 도출하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제도적 기반과 방향성을 보여준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별상은 「협력형 공공디자인사업을 위한 네트워크 거버넌스 모델 연구」(이주호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 우수상은 「범죄예방디자인 시범사업의 효과 및 주민 만족도 연구」(강석진경상국립대학교)가 수상한다.

 

  올해 신설한 지자체 부문에서는 인천광역시가 최우수상을 받는다. 인천광역시는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2018~2022년)이 시행된 지난 5년간 지역 공공디자인 발전을 위해 공공디자인 조례 제정 및 진흥계획 수립, 디자인 전문직 채용 등 인력구조 형성, 관련 사업·교육 시행 및 예산확보 등에 다방면으로 힘써 우수한 점수를 획득했다.

 

 

  시상식은 10월 27일(금) 언더스탠드에비뉴 아트스탠드(서울 성수동)에서 열리며수상작도 함께 전시한다자세한 사항은 공진원 누리집(www.kcdf.or.kr) 또는 공공디자인 종합정보시스템(www.publicdesign.kr)에서 향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2023.08.2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6080&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8-21&endDate=2023-08-2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075 제4차 사회적기업 기본계획(’23~’27)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74
1074 외국인근로자 고용 한도 확대 등 ‘외국인력 고용 관련 규제개혁 방안’ 현장 의견 청취, 산업안전·보건 철저 …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51
1073 조선산업 현장애로 해소 속도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55
1072 한-아르헨티나 경제?통상협력 강화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52
1071 케이(K)-디자인으로 사회문제 해결, 넛지디자인 첫발 내딛어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72
1070 8.30일부터 황금녘 동행축제 본격 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65
1069 새일여성인턴 사업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에 도전해보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532
1068 성별영향평가를 통한 일·생활 균형 등 제도개선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69
1067 재생에너지도 가격순으로 급전순위 정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24
1066 2023년 제16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개최(8.31.)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60
1065 규제뽀개기 제3탄 이동 수단(모빌리티) 분야 제도의 바람직한 방향, 모의재판으로 밝힌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37
1064 전문가 중심의 “필수?지역의료 강화를 위한 의사인력 확충 정책” 논의 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49
1063 환경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와 전기차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련 업계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34
1062 제3자간 전력거래계약(제3자PPA) 지침 개정으로 재생에너지 전력거래 편의성 제고 기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504
1061 2023년 제1회 아동권리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299
1060 환경부 차관 “무공해차는 환경과 산업의 상생 전략, 기술개발 속도 내달라”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28
1059 국립공원 탄소중립형 야영장, 북한산에 최초로 들어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24
1058 반짝이는 녹색창업의 경연, 2023 환경창업대전 개최- 환경부차관, “세상을 바꾸는 도전을 응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278
1057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의원급 첫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285
1056 청와대에서 국내 최대 ‘장애인 문화예술축제’ 열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