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에서 이동약자를 위한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대상 수상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1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22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이하 공진원)과 함께 정부혁신 계획 사업인 ‘2023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을 공모한 결과,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설치사업’을 대상(국무총리상)으로 선정했다.

 

  2008년에 시작해 올해로 16회를 맞이한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은 사업부문과 연구부문지자체부문(신설)으로 나누어 공모했다▲ 사업 부문에서는 대상(국무총리상) 1최우수상(문체부 장관상) 1우수상(공진원 원장상) 6입선(공진원 원장상) 3▲ 연구 부문에서는 최우수상(문체부 장관상) 1점, 특별상(빅터 마골린상*) 1점, 우수상(공진원 원장상) 1점, ▲ 지자체 부문에서는 최우수상(문체부 장관상) 1점을 선정해 총 15점을 시상한.

  * (빅터 마골린(Victor Margolin, 1941?2019 미국)은 세계적인 디자인계의 석학이자2015 국제디자인총회(International Design Congress, Gwangju, Korea) 기조 연사 참여 계기로 한국 디자인의 발전과 공공디자인 분야의 학술연구 증진을 위해 후원금을 기부함.

 

 서대문구청사회문제 해결 디자인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설치사업’ 대상 수상

 

  대상(국무총리상)을 받은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설치사업’[서대문구청㈜건축사사무소 유니트유에이최정우(울산대학교)]은 교통약자를 함한 모든 사람의 보행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했. 외관 디자인은 물론 유지관리 등 운영 측면에서도 높은 주민 만족도와 이용률을 보이며 도시적 사회문제를 해결한 공공디자인 우수사례로 평가받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성별연령국적 또는 장애의 유무 등과 관계없이 모든 국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회 및 생활환경을 계획·조성·운영 또는 관리하는 것을 말함

 

  사업부문 최우수상은 ‘농산어촌지역 주민들의 보편적인 삶 보장 프로젝트(PROJECT)(한국농어촌공사)에 수여한다우수상은 ▲ 광주양동초 학생중심 공간혁신(광주광역시교육청 외 3)과 ▲ 상담공간편 스트레스 해소 디자인(서울시청 외 1곳), ▲ 도심 속 안전한 카페 정류장 성동형 스마트쉼터(성동구청 외 1곳), ▲ 승강장 안전문 역명 부착(대구교통공사), ▲ 조리읍 행정복지센터 문화광장(파주시청 외 1), ▲ 모두의 드리블(디마이너스원 외 2)이 받는다선은 ▲ 원주 마을 미술 프로젝트(원주문화재단 외 1곳), ▲ 우리 동네 유휴공간 프로젝트(아모레퍼시픽 외 1), ▲ 프로젝트(Project) 100 : 대백화점 독립 자원순환 시스템(현대백화점 외 1곳)이 수상한다.

 

 우수상 ‘승강장 안전문 역명 부착’(대구교통공사), 민원 해결 사례

 

  특히 우수상을 받은 ‘승강장 안전문 역명 부착’(대구교통공사)은 대구 하철 내 승강장 안전문이 지하철 역명을 가린다는 민원을 해결한 사례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지하철 이용객이라면 탑승 중에 현재 역명을 르고 쉽게 인지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한두 번쯤 있기 마련인데, 이를 반영하듯 국민참여 심사(온라인)에서 실생활에서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으로 많은 득표를 받았고정차역 안내 방송을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기도 했다.

 

  연구부문 최우수상은 「공공미술 프로젝트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김상아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에 수여한다이 연구는 공미술 프로젝트의 사회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요소를 도출하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제도적 기반과 방향성을 보여준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별상은 「협력형 공공디자인사업을 위한 네트워크 거버넌스 모델 연구」(이주호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 우수상은 「범죄예방디자인 시범사업의 효과 및 주민 만족도 연구」(강석진경상국립대학교)가 수상한다.

 

  올해 신설한 지자체 부문에서는 인천광역시가 최우수상을 받는다. 인천광역시는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2018~2022년)이 시행된 지난 5년간 지역 공공디자인 발전을 위해 공공디자인 조례 제정 및 진흥계획 수립, 디자인 전문직 채용 등 인력구조 형성, 관련 사업·교육 시행 및 예산확보 등에 다방면으로 힘써 우수한 점수를 획득했다.

 

 

  시상식은 10월 27일(금) 언더스탠드에비뉴 아트스탠드(서울 성수동)에서 열리며수상작도 함께 전시한다자세한 사항은 공진원 누리집(www.kcdf.or.kr) 또는 공공디자인 종합정보시스템(www.publicdesign.kr)에서 향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2023.08.2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6080&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8-21&endDate=2023-08-2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949 박보균 장관, “영화 박스오피스 신뢰 회복 위해 영화계의 자정 노력, 영진위의 조속한 대책 마련” 강조 […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299
948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제3차 고위관리회의(SOM3) 결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25
947 묻지마 범죄에 범정부 총력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20
946 “뜨거운 여름날의 투자 열기(熱氣)” 보건복지부, 바이오헬스 창업기업의 교류의 장으로 K-BIC 벤처카페 첫…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63
945 초고령사회 대비 장기요양서비스 확충과 품질관리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450
944 보건복지부, 강화된 유럽의료기기 인증기준 대응 위한 포괄적 지원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24
943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 민관 협력으로 개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16
942 ‘검정고무신’ 저작자 등록 직권말소로 창작자 권리 보호 강화 계기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15
941 대한민국 정부, 하와이주 마우이섬 산불 대응을 위한 긴급 구호 물품 전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11
940 국립공원 생태체험, 장애인도 불편함 없이 즐겨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34
939 의사인력 확충 등 필수지역의료 강화를 위한 사회적 논의 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50
938 플라스틱 이제는 안녕…다회용품 사용 범국민 실천 확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03
937 2023년 출생(1.1.~5.31.) 임시신생아번호 아동 144명 조사 결과 121명 생존 확인, 7명 사망…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45
936 제7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35
935 (설명) 폐의류 재활용은 환경오염방지시설 설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52
934 최신 헬스케어 재활·보조기기 기술 및 서비스 방향 논의를 위한 소통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53
933 ‘2023년 고령자 인지건강(치매) 실태조사’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2 335
932 환경부, 물관리조직 대폭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60
931 국가물관리위원회, 기후위기 시대의 물 재해 대응을 위한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13
930 문체부, 1인·중소출판사의 열악한 환경 개선, 지원에 전면적으로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