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위험 기계·장비 표준 작업계획서 배포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5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22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50억원 이상 건설공사에서 기계·장비에 의한 사망사고가 증가세인 점을 고려, 사망사고 다수 발생 기계·장비 6종에 대한 ?작업계획서 표준안?을 제작하여 배포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50억원 이상 건설공사에서 발생한 사망사고 161건(172명) 44%인 71건(74명)이 기계?장비에 의해 발생했으며, 위험요인별로는 이동식크레인(15건), 굴착기(13건), 고소작업대(13건), 트럭(5건), 콘크리트펌프카(3건), 항타기(2건)에 의한 사고가 70% 이상이었고, 기계·장비의 이동(부딪힘·끼임), 중량물 인양(맞음), 작업자 탑승(떨어짐), 하역운반(부딪힘·맞음) 중에 사고가 많았다(참고1).

 

사업주는 주요 기계?장비를 사용하여 작업할 때, 재해유형과 안전조치를 담은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준수해야 하나(안전보건규칙 제38조), 그동안 표준 양식이 없어 행정적?재정적 역량이 부족한 중소?중견 건설사는 어려움을 겪었다.

 

작업계획서 표준안 제작은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서 밝힌 ‘자기규율 예방체계’ 확립,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 특별관리’의 후속 조치이다.

* (추락) 비계·지붕·사다리·고소작업대, (끼임) 방호장치·작업 중 운전정지, (부딪힘) 혼재작업·충돌방지조치

 

현장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작업계획서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①사고사례 분석결과에 따른 대표 재해유형안전조치를 담았으며, ②작업 전에 관리자가 확인해야 하는 작업안전 점검표*와 ③작업 전 안전점검회의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핵심안전수칙**을 수록하여 기업들의 안전관리 활동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작했다.

* (참고4) 작업안전 점검표 앞면(15p), ** (참고4) 작업안전 점검표 뒷면(16p)

 

류경희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기계·장비 사용 중 일어날 수 있는 사고의 핵심 위험요인을 고려하여 미리 작업계획서를 만들고, 이를 기준으로 작업하는 것만으로도 대부분의 중대재해를 막을 수 있다.”라고 언급하며, “현장에서 표준 작업계획서를 잘 활용하여 재해 없는 건설현장을 만들어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 『건설현장 위험 기계·장비 표준 작업계획서』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 ‘정책자료실’에서 확인 가능

   

?

붙임 1. 사망사고 유형별 주요 사례
2. 사망사고 다수 발생 기계·장비(6종) 핵심 안전수칙
3. 기계·장비 유형별 공통 안전조치
4. 굴착기 작업계획서 표준안(서식)

?


(고용노동부, 2023.08.18)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5883&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01,A00023&startDate=2022-08-22&endDate=2023-08-22&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095 국내 최초의 성과공유 협력체계로 탄소중립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20
1094 하반기에는 교통약자·취약분야의 교통안전 중점적으로 챙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12
1093 "일상점검으로 연구실 안전 UP"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38
1092 모바일 기반 디지털 웰니스 콘텐츠로 군 장병 마음건강 돌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64
1091 전국 어린이 물놀이시설 안전점검으로 330건의 어린이안전 위험요인 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07
1090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폭염 취약계층 보호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31
1089 방위사업청과 '방산분야 상생협력 활성화'에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22
1088 중대재해가 급증하고 있는 50~800억 원 건설 현장 집중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03
1087 폴리텍대,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 참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19
1086 「2023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인증식 및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수여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8
1085 「농촌경제사회서비스법」 제정 관련 권역별 설명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17
1084 고용노동부, 최근 중대재해 증가에 따른 일제 「긴급 안전보건교육」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7
1083 (참고)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영 및 노동조합 운영비원조 현황 실태조사 결과 발표 관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53
1082 근로시간면제 한도 위반 63개소(13.1%) 다수의 위법·부당사례 확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5
1081 추석 명절 앞두고 항만건설현장 대금 및 노임 지급 실태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11
1080 ‘미(美)아름다운 래(來)돌아오는 농촌’을 위한 재생 아이디어 발굴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4
1079 산업안전보건본부장, 대형 건설사의 적극적인 안전관리 역할 재차 당부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31
1078 근로복지공단, 직장어린이집 ESG 확산 위해 유니세프와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89
1077 농식품부, 소비자단체와 정책협의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3
1076 ‘중대재해 사이렌’의 모든 자료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홈페이지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