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유엔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 개최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3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29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2023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을 8월 28일부터 9월 1일까지 송도컨벤시아(인천 연수구 소재)에서 개최한.

 

  이번 행사는 환경부가 주최하고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유엔환경계획(UNEP), 인천광역시, 한국환경연구원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가 공동 주관하는 국제적인 토론회(포럼)2019년 유엔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2019년 4월 8~12)’에 이어 2회 연속으로 인천 송도에서 열리는 것이며, 국제사회에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구체적인 논의를 우리나라가 주도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유엔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가 심화되어 기후위기 적응*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세계 각국의 기후변화 적응대책과 이행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 (기후위기 적응) 기후위기로 인한 취약성을 줄이고, 건강피해와 자연재해에 대한 적응역량과 회복력을 높이는 모든 활동

 

  이번 행사는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적응 논의를 한 단계 진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적응의 새로운 시대적응의 확대와 변혁(A New Era for Adaptation: Scaling Up and Transformation in Adaptation)’이라는 주제로 개최된다.

 

 

  마지드 알 수와이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28) 사무총장 겸 특별대표, 해리 브루스 유엔기후변화협약 부속 과학기술자문기구(SBSTA) 의장나빌 무니르 유엔기후변화협약 부속 이행기구(SBI) 의장잉거 안데르센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마팔다 두아르테 녹색기후기금(GCF) 사무총장 등 700여 명의 적응 관련 국제 전문가와 국제기구 인사들이 참가할 예정이다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장 등 국내 참가자까지 포함할 경우 이번 행사에는 최대 1,000여 명이 참여한다.

 

 본 행사로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주관하는 아·태 국가 적응계획(NAP)* 토론회(포럼), 적응비전 토론회(포럼및 적응위원회 연찬회(워크숍), △유엔환경계(UNEP) 주관의 제8회 아·태 적응 네트워크(APAN)** 토론회(포럼)가 진행된다.

   * (NAP) National Adaptation Plan: 국가 적응계획

  ** (APAN) Asia Pacific Adaptation Network: 아·태 적응 네트워크

 

< UNFCCC 및 UNEP 주관 국제포럼 >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유엔환경계획(UNEP)

아·태 국가 적응 계획

? 적응비전 포럼

적응위원회 워크숍

아·태 적응네트워크

아시아·태평양 국가 적응 계획 수립·이행 지원을 위한 정책결정자 대상 국제포럼으로 수립·이행 점검 전반의 제도·정책 사항 논의

UNFCCC 차원의 적응 비전 수립을 위한 경로(식량 생산 등)를 설정하기 위한 포럼으로, 기후위기 회복 탄력성 및 지속가능한 사회 건설을 위한 비전과 구체적 방안 논의

UNFCCC에서 적응을 총괄하는 적응위원회가 아태지역 정책결정자를 대상으로 개최하는 워크숍으로, 국경을 넘어선 적응을 위한 협력 강화 방안 모색

적응 관련 다양한 이해관계자를(정책결정자시민단체만간전문가 등대상으로 하는 포럼으로,  적응 거버넌스과학기술재원 등 적응에 대한 폭넓은 주제 논의 예정

 

 유엔기후변화협약이 주관하는 토론회 중에서 아·태 국가 적응계획 토론회는 3 총회 및 12개 분과로 나눠 진행되며, 200여 명의 전문가가 참여할 예정이다.

 

 논의될 주요 내용으로는 국가 적응계획 수립·이행점검 전반의 제도·정책 사항에 대한 진전 방안이며중장기적 문제해결과 이를 위한 이행절차(프로그램) 개발 및 수립과 관련된 사항이다.

 

 

 유엔환경계획이 주관하는 아·태 적응 네트워크(APAN) 토론회는 5개 총회, 20개 분과로 나눠 진행한다. 500여 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식량공급체계 협치(거버넌스), 지역적 협력적응과학기술적응재원 등 폭넓은 주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글로벌 적응 대화(Global Adaptation Dialogue)’에서는 마팔다 두아르테 녹색기후기금(GCF) 사무총장 등 기후변화 적응 분야 국제 전문가 5* 연단에 올라전 지구적 적응 능력의 향상을 위한 그간의 노력과 향후 과제를 집중 토론한다 행사에는 마지드 알 수와이디 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사무총장 겸 특별대표가 직접 참석하여 기조연설을 하고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도 영상으로 축사를 전달할 예정이다.

  * 마팔다 두아르테 녹색기후기금(GCF) 사무총장해리 브루스 유엔기후변화협약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SBSTA) 의장나빌 무니르 유엔기후변화협약 이행부속기구(SBI) 의장 겸 주한 파키스탄 대사캐서린 레이퍼 주한 호주대사락스미 드완티 인도네시아 환경 산림부 국장

 

 이번 글로벌 적응 대화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28) 개최(아랍에미리트)를 석 달 앞둔 시점에서 열리는 만큼 기후변화협약의 과학과 기술을 총괄하는 ‘과학기술부속자문기구(SBSTA)’ 의장(해리 브루) 정책을 총괄하는 ‘이행부속기구(SBI)’ 의장(나빌 무니르)이 모두 토론 참여자로 참석하여 ‘전 지구적 적응목표(GGA: Global Goal on Adaptation) 체제(프레임워크)’의 진전 방향에 대한 논의를 우리나라에서 미리 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그 외 부대행사로 기후위기 시대 지역 차원의 적응을 위한 지방정부의 적응 선언식, 국민 대상 적응 그림 공모전 수상작 전시, 공공·민간 부문 적응 전시관*탄소중립 회의 등 다양한 국내행사도 함께 열릴 예정이다.

  * 한국환경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기술원, 국제기구, 민간기업 등 24개 기관·업체(26개 전시관)

 

  환경부는 이번 글로벌 적응 대화를 포함한 적응주간 논의 결과를 종합하여 올해 11월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리는 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28)에 공유하고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적응 의제 진전에 활용할 계획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이번 적응주간의 주제인 ‘적응의 새로운 시대’에 맞춰 세계 각국이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 지구적 적응 목표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면서“모든 적응 주체와의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주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밝혔다.

 

붙임  1.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 개요.

      2.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 포스터.  끝.


(환경부, 2023.08.27)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6958&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8-26&endDate=2023-08-28&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922 박진 외교부장관, 잠비아 히칠레마 대통령 면담 (8.11)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50
921 박진 외교부 장관, 아프리카 현지에서 니제르 체류 우리국민 안전점검 대책회의 주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58
920 2023년도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정책협의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39
919 권역별 고령친화산업혁신센터 2개소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53
918 보건복지부장관, 제6호 태풍 ‘카눈’ 영향 사회복지시설 등 소관시설 피해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53
917 어린이집 교사의 보육활동 보호를 위한 맞춤형 방안을 논의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79
916 박진 외교부장관, 잠비아 물렌가 산업통상장관 면담 (8.10)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31
915 국민연금, 소상공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53
914 노키즈존 철폐 등 아동총회 결의문 14개 항 채택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54
913 박진 외교부 장관, 하와이 산불 피해 관련 재외국민 안전 조치 지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68
912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공급 혁신 위한 복지기술 보유기업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70
911 국립재활원, 세계 장애인을 대상으로 재활운동체육 스마트 기기를 선보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72
910 환경부는 전국 1,654개 읍면동에 대한 도시침수지도 제작을 내년까지 조기 완료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70
909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소각시설 과다처리 제재기준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84
908 가상현실 활용 교육으로 무공해차 핵심인력 양성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78
907 보건복지부, 출산·양육 친화적 환경 조성에 기업 역할의 중요성 강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24
906 보건복지부, 태풍 ‘카눈’ 대비 사회복지시설, 의료기관 긴급안전점검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40
905 기재부부담금심의위, 출국납부금 면제대상 확대 등 ?부담금 제도개선 방안?(5.17.) 후속조치에 속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57
904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의무화 대비, 환경정보 측정·관리 체계적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87
903 위기임산부 등 한부모 지원 강화를 위한제도 개선을 위한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1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