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때리는 그녀들’과 ‘젠더프리 캐스팅’의 연출가 이지나 씨 ‘올해의 양성평등문화상’ 수상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5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31

9월 1일(금)부터 7일(목)까지 문화·체육·관광 분야에서 양성평등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특별한 일주일이 시작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양성평등주간(9. 1.~7.)을 맞이해 문화·체육·관광 분야에서 양성평등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문화 분야에서 양성평등 환경을 조성하고 인식개선에 노력한 공자를 시상하고?관련 전시회와 영화상영회를 개최한다또한 ?문화·체육·관광 분야에서 성 역할 고정관념을 극복한 인물과 사례를 찾는 국민 참여 온라인 캠페인과 ?학교 운동부에서 양성평등 문화를 확산할 방안을 논의하는 지역 포럼 등을 마련했다.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9월 1일, ‘올해의 양성평등문화상’ 시상식에 참석해 “모든 문화예술은 성별에 대한 제약 없이 모두가 동등하게 누리고 즐길 수 있어야 한다. 문체부는 문화예술 및 체육,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차별적 관행을 개선하고 건강한 평등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여자축구 저변 확대한 프로그램 ‘골때리는 그녀들’성별에 얽매이지 않는 ‘젠더프리 캐스팅’의 연출가 이지나 씨에게 ‘올해의 양성평등문화상’ 수여

 

  먼저 문화 분야에서 양성평등 인식을 높이고 문화확산에 기여한 인물과 콘텐츠에 대해 상을 수여한다. 올해로 16회째를 맞이한 ‘올해의 양성평등문화상’ 시상식*이 9월 1(오후 3소극장 산울림에서 열리며 박보균 문체부 장관이 시상자로 나서 수상자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 (사)여성문화네트워크 주최, ㈜여성신문사 주관, 문체부 후원

 

  문체부 장관상인 ‘올해의 양성평등문화콘텐츠상’은 <골 때리는 그녀들(SBS, 메인연출 김화정)>‘올해의 양성평등문화인상’은 공연연출가 이지나 씨가 받는다. ?현재 네 번째 시즌을 방영할 정도로 대중의 관심과 호응이 높은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 <골 때리는 그녀들>은 모델배우개그맨가수유튜버까지 각 분야의 여성 방송인들이 축구 경기를 펼치는 내용으로지역 여자축구동호회가 증가하는 등 여자축구의 저변을 확대하고 성별에 대한 편견을 벗게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이지나 씨는 뮤지컬연극 등 다양한 공연을 연출하면서 성별보다는 그 배역만의 개성과 감수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배우에게 역할을 맡기는(젠더프리 캐스팅) 시도를 꾸준히 함으로써 다양한 작품 해석을 가능하게 하고 양성평등 인식을 높였다 

 

  이 밖에도 ‘올해의 양성평등문화지원상(문화체육관광위원장상)’은 극작가 안정민 씨가, ‘문화예술특별상(을주상*)’은 소극장 산울림이 수상하며, 애니메이션 감독 문수진 씨 등 7명이 ‘신진여성문화인상(여성신문사장상)’을 받는다. 한편 소극장 산울림에서는 이번 시상식과 연계해 ‘몸, 돌봄, 관계’를 주제로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전시(9. 1.~7.)도 진행한다.

 *을주상 : 고(故) 김을주(임성물산 대표이사)의 후원으로 여성의 인권신장에 기념할만한 업적을 남긴 문화예술단체에 수여하는 상 

 

 9. 1.~3. 2023 백델데이’양성평등 우수 영화 및 시리즈물 시상과 상영

 

  ‘2023 벡델데이*’는 9월 1()부터 3()까지 인디스페이스에서 열린다. ‘벡델데이’는 최근 1년 동안 공개된 한국 영화와 시리즈물에 벡델테스트**를 적용해 우수한 작품(‘벡델초이스’)과 탁월한 성과가 인정되는 감독배우작가, 제작자(‘벡델리안’)를 선정, 시상하고 선정된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이다. 2020년 영화 부문을 시작으로 2022년 시리즈물로 확대했다.

  * 한국영화진흥위원회와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주최, 문체부 후원

  ** 1985년 미국의 만화가 ‘앨리슨 벡델’이 고안한 성평등한 영화 기준을 기초로 한국영화의 양성평등 7개 기준(출연 여성의 주체성여성의 제작진 참여고정관념?혐오?차별 포함 등마련

 

 

  영화 부문에서 올해 ‘벡델초이스’로 선정된 10편은 <유령>, <정이>, <길복순>, <다음 소희>,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 <드림팰리스>, <외계+인 1>, <정직한 후보2>, <소울메이트>, <성적표의 김민영> 등이다. ‘벡델리안’은 정주리 감독(다음 소희), 김세인 작가(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 이진희 제작자(길복순), 이하늬 배우(유령)가 선정됐다.

  

  시리즈물 부문에서 ‘벡델초이스’로 선정된 10편은 <글리치>, <더글로리>, <마당이 있는 집>, <박하경 여행기>, <사랑의 이해>, <슈룹>, <어쩌다 마주친 그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작은 아씨들>, <퀸메이커등이다‘벡델리안’은 이종필 감독(박하경 여행기), 박바라 작가(슈룹), 조문주 제작자(작은 아씨들), 임지연 배우(더 글로리)가 선정됐다.

 

  시상식은 9월 2일(토) 인디스페이스에서 열리며, 시상식이 끝나면 ‘벡델리안’과의 만남 행사도 진행한다이번 행사에 대한 정보와 무료 영화관람 신청에 관한 사항은 ‘벡델데이’ 공식 누리소통망(트위터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성역할 고정관념 극복 위한 국민 참여 온라인 캠페인 ‘선을 넘은 사람들’ 

 

  아울러 문체부는 문화·체육·관광 분야에서 성역할 고정관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인물과 사례를 발굴, 소개하는 대국민 온라인 캠페인 ‘선을 넘은 사람들’을 9월 1일(금)부터 7일(목)까지 진행한다.

 

  캠페인 참가자는 문체부 누리소통망(SNS)에서 공개하는 정보무늬(QR코드) 접속해 특정 성별 중심인 직업군에서 성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인물 또는 업계 내 성 고정관념을 극복한 사례를 추천하면 된다참가자 중 100명을 추첨을 통해 선정하고 모바일 쿠폰을 선물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캠페인 참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성역할 고정관념을 극복한 인물 사례로 기상캐스터 김수현 씨플로리스트 에이든 씨씨름선수 이다현 씨공연연출가 이지나 씨패션디자이너 최문경 씨의 인터뷰 영상도 게시한다캠페인을 통해 추천받은 인물과 사례 중 사회적 파급력과 인지도 등을 기준으로 널리 알릴만한 인물과 사례를 선정하고 인터뷰 영상을 콘텐츠로 제작해 공개할 계획이다.

 

 

 9월부터 11월에 걸쳐 학교 운동부 양성평등 문화 확산 위한 권역별 지역 포럼 개최

 

  중?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학교 운동부에서 양성평등 문화확산 방안을 색하는 권역별 지역 포럼도 이어진다. 9월 7(), 충남대 세미나실에서 열리는 충청지역 포럼을 시작으로 11월까지 강원경기 등 권역별 지역포럼 7회와 종합포럼을 개최한다. 충청지역 포럼에서는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남상우 교수가 ‘학교 운동부 내 양성평등 문화조성’을 주제로 발표하고 충청지역 학교 운동부 지도자들이 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개선 방향을 토론한다.

 

  문체부는 지역포럼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운동부에 양성평등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발굴해 추진할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 2023.08.3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7482&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8-30&endDate=2023-08-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095 국내 최초의 성과공유 협력체계로 탄소중립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22
1094 하반기에는 교통약자·취약분야의 교통안전 중점적으로 챙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13
1093 "일상점검으로 연구실 안전 UP"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41
1092 모바일 기반 디지털 웰니스 콘텐츠로 군 장병 마음건강 돌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69
1091 전국 어린이 물놀이시설 안전점검으로 330건의 어린이안전 위험요인 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08
1090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폭염 취약계층 보호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32
1089 방위사업청과 '방산분야 상생협력 활성화'에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8 323
1088 중대재해가 급증하고 있는 50~800억 원 건설 현장 집중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04
1087 폴리텍대,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 참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0
1086 「2023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인증식 및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수여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30
1085 「농촌경제사회서비스법」 제정 관련 권역별 설명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0
1084 고용노동부, 최근 중대재해 증가에 따른 일제 「긴급 안전보건교육」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31
1083 (참고)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영 및 노동조합 운영비원조 현황 실태조사 결과 발표 관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55
1082 근로시간면제 한도 위반 63개소(13.1%) 다수의 위법·부당사례 확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6
1081 추석 명절 앞두고 항만건설현장 대금 및 노임 지급 실태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12
1080 ‘미(美)아름다운 래(來)돌아오는 농촌’을 위한 재생 아이디어 발굴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5
1079 산업안전보건본부장, 대형 건설사의 적극적인 안전관리 역할 재차 당부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37
1078 근로복지공단, 직장어린이집 ESG 확산 위해 유니세프와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96
1077 농식품부, 소비자단체와 정책협의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4
1076 ‘중대재해 사이렌’의 모든 자료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홈페이지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