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적응, 지방정부가 이끈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0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31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8월 30일 오후 송도컨벤시아(인천 연수구 소재)에서 ‘대한민국 지방정부 기후적응 선언식’을 개최한.

 

  최근 들어 기후위기로 인해 전 세계에서 피해가 커지고 있고우리나라도 집중호우가뭄폭염 등 기후위기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기후위기 피해는 역량사회기반시설 수준 등 지역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역에 맞는 적응 대책을 수립하고 적기에 이를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선언식은 기후위기 피해로부터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지방정부의 의지를 모으고지역 중심의 적응을 실천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특히 전국의 지자체가 기후위기 적응의 실천 의지 최초로 표명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번 행사에는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임상준 환경부 차관정복 인천광역시장권익현 부안군수를 비롯한 각 지역의 기초 지자체장, 지역별 탄소중립지원센터장 등이 참석하며이번 기후위기 적응 선언에는 전국의 거의 모든 지자체장(광역 17기초 217)이 동참한다.

 

  지방정부는 기후적응 실천 선언문 낭독을 통해 △기후위기 적응 정책 우선 추진 및 이행체계 구축△기후위기 취약계층 보호△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모색△시민참여 등 기후위기 적응 사회 구축을 위한 실천을 다짐한다.

 

  이어서 용인(경기), 김해(경남), 광명(경기), 당진(충남등 4개 지자체장이 관할 지역의 기후위기 적응정책 추진현황을 소개한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폭염한파 등 기후위기 취약계층 방문 간호 서비스와 집중호우에 대한 용인시 긴급대응체계 등을 소개한다홍태용 김해시장은 홍수  예방을 위해 유수지로 빗물이 모여 유량 조절이 되도록 투수 블록식생체류지 등 저영향개발기법(Low Impact Development) 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을 알려준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도심 내 정원조성 사업 등을 중점 추진하여 광명시를 정원도시로 탈바꿈하겠다는 목표를 밝힌다오성환 당진시장은 탄소를 흡수하는 해조류로 바다숲을 조성하고탄소흡수량이 높은 수목을 많이 심는 등 탄소를 감축하면서 열섬 현상을 해소하는 등 기후위기 적응을 동시에 달성하는 당진시의 전략을 발표한다.

 

  환경부도 지방정부의 기후위기 적응 대책의 수립과 이행을 지원하고지역 맞춤형 적응 우수사례를 널리 알릴 예정이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지역에서 기후위기 적응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국민의 안전을 최전선에서 책임지고 있는 지자체장들의 의지가 중요하다”라며, “이번 지방정부의 기후위기 적응 실천 선언으로 관련 적응정책이 지역사회에 뿌리 깊게 박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1. 대한민국 지방정부 기후적응 선언식 개요.

     2. 선언식 참석 지자체장 명단.

     3. 기후적응 실천 선언 참여 지자체 명단.
4. 기후적응 공동 실천선언문.
5. 포스터.  끝.


(환경부, 2023.08.3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7637&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8-30&endDate=2023-08-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031 이 세상 가장 뿌듯한 나눔 “장기기증, 뿌듯함을 예약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10
1030 환경부 소속·산하기관, 생물소재 활용 특허기술 산업계에 알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59
1029 멸종위기 야생생물 282종, 한눈에 봅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49
1028 가습기살균제 폐암 피해 구제는 차기 피해구제위원회에서 논의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37
1027 2024년 보건복지부 예산 올해보다 12.2% 높여 122.5조 편성…약자복지와 미래투자 중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25
1026 2024년도 환경부 예산안, 국민 안전을 최우선하고,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댐?하천 관리 및 녹색산업 …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61
1025 민·관 협력으로 사회서비스를 확충하는 ‘사회서비스형 선도모델’ 노인일자리 확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30
1024 일과 휴가를 동시에, 워케이션으로 지역관광 활성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13
1023 한-슬로베니아 외교장관회담(8.28) 결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66
1022 녹색 새싹기업들이 겪는 병목규제 없앤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69
1021 바이오·디지털 기업과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매칭하여 신약·인공지능 개발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97
1020 오만과 녹색전환 협력 양해각서 체결, 중동에 녹색전환 바람 일으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86
1019 인천지역 탄소중립·녹색성장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75
1018 규제 혁신을 위한 ‘신의료기술 선진입-후평가 제도개선’ 공청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73
1017 아시아 대기질 공동 조사를 위해 미항공우주국과 양해각서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87
1016 포장 화려하다고 좋은 과일 아닙니다… 친환경 농산물 포장 지침서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309
1015 에콰도르 생물다양성 보전 위해 우리나라 생물자원 관리기술 전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330
1014 우수사례 발굴로 지자체 공간환경계획 활용 확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324
1013 우수사례 발굴로 지자체 공간환경계획 활용 확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85
1012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