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일여성인턴 사업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에 도전해보세요

담당부서 : 여성가족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5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01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새일센터) 새일여성인턴 사업 활성화를 통해 경력단절여성의 정규취업과 장기고용을 지원하는 등 사업운영에 내실을 다질 계획이다. 새일여성인턴 사업은 취업이 어려운 경력단절여성*에게 일경험(인턴십)을 통한 직장적응과 정규취업 및 고용유지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새일센터 운영 초기부터 중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 경력단절 기간 : 평균 8.9년(‘22년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동 사업은 코로나19 당시 충격이 컸던 여성고용 상황을 고려하여 사업규모를 대폭 확대*한 바 있으며, 정부 재정지원일자리 사업 평가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새일센터의 대표적인 취업지원 사업이다.
* (‘20년) 62백명, 국비 148억원 → (’23년) 78백명, 국비 236억원
** (‘23년 일자리사업 평가 결과) 취업률 95.1%, 6개월 고용유지율 79.0%


새일센터는 여성구직자 대상 다양한 역량개발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지역 내 우수기업의 구인수요를 상시 파악하여 적정 일자리**로 연계하고 있다. 인턴기간 중에는 직장적응을 위한 고충상담과 현장점검을 통하여 일자리 안착을 지원하며 추가적인 역량개발 프로그램도 지원한다. 기업에는 일경험(인턴십) 제공(직장적응, 직장내 훈련)을 고려하여 인턴채용지원금*을 지원하고, 정규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유지하는 경우 장려금***을 지급한다.
* 진로지도?설계, 직업심리검사, 집단상담, 새일역량교육, 동아리활동, 선배 특강 등
** 주요 취업직종 : 사무?회계?관리, 제조?생산, 보건?의료, 사회?복지 분야
*** 80만원×3개월, ** 고용장려금 80만원(기업), 근속장려금 60만원(근로자)


금년에는 8월 현재까지 6천800여 명의 경력단절여성이 새일여성인턴으로 참여하였고, 일경험(인턴십) 수료자 3,784명 중 3,680명이 정규?상용직으로 취업(97.3%)에 성공했다. 사업에 관심있는 구직여성이나 기업은 연중 언제든 가까운 새일센터와 상담할 수 있으며, 새일센터 누리집(saeil.mogef.go.kr)이나 전화(1544-1199)로도 신청 가능하다.


김종미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은 “새일여성인턴은 경력단절로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구직여성과 일손이 부족한 기업 모두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라며, “경력단절여성이 원하는 일자리에 취업하여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여성가족부, 2023.08.2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7368&pageIndex=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33,A00031,A00015,A00013,A00032&startDate=2023-08-28&endDate=2023-08-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035 이달의 협동조합 ? 「아이티로 시각장애인 사회적협동조합」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1 361
1034 계도기간 종료,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본격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469
1033 화학규제 혁신으로 의약품제조 등 기업 투자 촉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36
1032 복지부·고용부·삼성 등, 자립준비청년 취업 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54
1031 이 세상 가장 뿌듯한 나눔 “장기기증, 뿌듯함을 예약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20
1030 환경부 소속·산하기관, 생물소재 활용 특허기술 산업계에 알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73
1029 멸종위기 야생생물 282종, 한눈에 봅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94
1028 가습기살균제 폐암 피해 구제는 차기 피해구제위원회에서 논의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47
1027 2024년 보건복지부 예산 올해보다 12.2% 높여 122.5조 편성…약자복지와 미래투자 중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42
1026 2024년도 환경부 예산안, 국민 안전을 최우선하고,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댐?하천 관리 및 녹색산업 …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79
1025 민·관 협력으로 사회서비스를 확충하는 ‘사회서비스형 선도모델’ 노인일자리 확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40
1024 일과 휴가를 동시에, 워케이션으로 지역관광 활성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30 327
1023 한-슬로베니아 외교장관회담(8.28) 결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77
1022 녹색 새싹기업들이 겪는 병목규제 없앤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79
1021 바이오·디지털 기업과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매칭하여 신약·인공지능 개발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307
1020 오만과 녹색전환 협력 양해각서 체결, 중동에 녹색전환 바람 일으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97
1019 인천지역 탄소중립·녹색성장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85
1018 규제 혁신을 위한 ‘신의료기술 선진입-후평가 제도개선’ 공청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283
1017 아시아 대기질 공동 조사를 위해 미항공우주국과 양해각서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302
1016 포장 화려하다고 좋은 과일 아닙니다… 친환경 농산물 포장 지침서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29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