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성별 임금 격차 상장법인 30.7%, 공공기관 25.2%

담당부서 : 여성가족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5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08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는 「양성평등기본법」*에 따라 상장법인 및 공공기관 근로자의 성별 임금 격차 등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양성평등기본법 제38조 제3항 : 양성평등주간 중 하루를 양성평등 임금의 날로 하고, 같은 날에 성별 임금 통계 등을 공표한다.

이번 조사는 ’22년 기준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제출된 상장법인의 사업보고서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ALIO)’에 공개된 개별 공공기관의 성별 임금 관련 정보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 ’20년에는 공공기관 대상 시범 조사 결과 발표, ’21년부터는 상장법인으로 조사 대상 확대


2022년 성별 임금 현황을 공시한 2,716개 상장법인 성별 임금 관련 정보를 조사한 결과, 상장법인 전체의 남성 1인당 평균임금* 은 8,678만원, 여성 1인당 평균임금**은 6,015만원으로 상장법인 근로자 1인당 평균임금의 성별 임금 격차***는 30.7%로 나타났다.

* 남성 1인당 평균임금 : 상장법인 전체 남성 연간급여총액 / 상장법인 전체 남성 직원수

** 여성 1인당 평균임금 : 상장법인 전체 여성 연간급여총액 / 상장법인 전체 여성 직원수

*** 성별임금격차 산정 방식 : {1-(여성 1인당 평균임금(백만원)/ 남성 1인당 평균임금(백만원))}*100(%)

 

※ 본 조사의 1인당 평균임금은 고용형태, 직무?직급, 근속연수, 근로시간 등을 통제하지 않은 수치임

?

성별 임금 격차는 전년 대비 7.4%p(퍼센트포인트) 축소되었으며, ’19년 이래 상장법인의 남녀 평균 임금이 모두 대체로 상승해 왔고 여성평균 임금의 증가폭*이 더 커, 성별 임금 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 성별임금격차 : (’19) 36.7% → (’20) 35.9% → (’21) 38.1% → (’22) 30.7%
* ’19년 대비 ‘22년 기준, 남성 11.7%, 여성 22.3%

또한, 전체 상장법인의 남성 평균 근속연수는 11.9년, 여성 평균 근속연수는 8.9년으로, 성별 근속연수 격차*는 25.1%로 조사되었으며, 그 격차는 매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성별근속연수격차 산정 방식={1-(여성 평균근속연수(년)/남성 평균근속연수(년))}*100(%)

아울러, 성별 근속연수 격차와 성별 임금 격차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별 근속연수 격차가 작을수록 성별 임금 격차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22년 성별 근속연수 격차별 기업 및 성별 임금 격차>

구분

기업수(개)

임금 격차(%)

남성 근속연수>여성 근속연수

50%이상

323

43.6

30%이상~50%미만

586

40.4

0%초과~30%미만

1,077

26.5


산업별로 살펴보면, 성별 임금 격차가 가장 작은 산업은 예술, 스포츠, 여가 관련 서비스업(20.1%), 숙박 및 음식점업(22.9%), 교육서비스업(23.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26.0%) 순이며, 성별 임금 격차가 가장 큰 산업은 농업, 임업 및 어업(43.8%), 운수 및 창고업(43.0%), 도매 및 소매업(41.9%), 건설업(40.4%) 순으로 나타났다.
* 산업별 기업 수 5개 미만 제외


2022년 성별 임금 현황을 공시한 361개 공공기관의 성별임금 관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공공기관 전체의 남성 1인당 평균임금은 7,887만원, 여성 1인당 평균임금은 5,896만원으로 공공기관 근로자 1인당 평균임금의 성별격차는 25.2%이며 전년 대비 1.1%p(퍼센트포인트) 감소하였다. 또한, 전체 공공기관의 남성 평균 근속연수는 13.9년, 여성 평균 근속연수는 9.5년으로 성별 근속연수 격차는 31.5%로 나타났으며, 격차는 매년 줄어들고 있다.


자료를 분석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강민정 연구위원은 “상장법인과 공공기관의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별 임금 격차와 성별 근속연수 격차는 감소하는 추세이며, 이는 여성근로자 비중과 평균 근속기간이 꾸준히 늘어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여성가족부는 노동시장 성별 격차 개선을 위해 새일센터 직업훈련과정 확대 등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 및 양질의 일자리 진입을 지원하고 있으며, 기업 맞춤형 컨설팅 제공 및 인사담당자(HR)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기업 내 양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아이돌봄서비스 확대를 통한 돌봄 지원 강화와 가족친화인증제 지속 추진 등을 통하여 일·생활 균형 문화 정착도 지원하고 있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성별임금 격차의 주요 요인인 근속연수 격차 해소를 위해 경력단절 예방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미래유망 양질의 일자리 진입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여성인력 양성 및 활용 방안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여성가족부, 2023.09.0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8790&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33,A00031,A00015,A00013,A00032&startDate=2023-09-01&endDate=2023-09-07&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245 멸종위기종 소똥구리, 반세기 만에 우리 곁으로 돌아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2
1244 사회서비스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2023 소셜 인사이트 콘퍼런스’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96
1243 펠리세이드 2.2 디젤 등 3개 차종 배출가스 허용기준 초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11
1242 환경산업기술원, 아프리카 녹색성장 돕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05
1241 국내 최초 수력을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시설 준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18
1240 8월 고용률(63.1%)은 역대 최고 실업률(2.0%)은 역대 최저 기록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9
1239 8월 고용동향, 건설업 고용현안 등 점검, 지역별 빈일자리 해소방안 마련하여 10월중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32
1238 보건복지부, 보건산업 정책 외신 간담회 개최 비회원 2023-09-26 307
1237 환경부는 일회용컵 보증금제의 추진방향을 종합적으로 검토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62
1236 (설명) 정부는 적시적소에 전기차 충전기 보급 확대, 충전 편의 개선 및 고장관리 강화 등 추진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53
1235 복지멤버십 가입자 1,000만 명 돌파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10
1234 환경부 차관, 베트남 녹색성장 경제포럼 참가, 한국의 녹색성장 본보기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18
1233 온실가스 배출권 이월 가능물량 확대로 시장기능 개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5
1232 더 나은 환경을 만드는 우수기술 20선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1
1231 사각지대 발굴 위해 다가구주택 상세주소 등 연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0
1230 제2의 강남역, 신림동 도시침수피해 막기 위해 국가역할 강화할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3
1229 지방소멸 완화 및 지역균형발전 등 ‘어디서나 살기좋은 지방시대’ 구현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0
1228 한국과 아프리카, 보건의료 협력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2
1227 김효은 기후변화대사, ?모래먼지폭풍 대응 국제회의?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55
1226 정부는 관련 법령 및 절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를 차질없이 운영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