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대한민국 양성평등 토론회(포럼)」 개최

담당부서 : 여성가족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7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25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는 9월 21일(목), ‘저출산 시대, 함께 일하고 함께 돌보는 사회’를 주제로 「2023 대한민국 양성평등 토론회(포럼)(Korea Gender Equality Forum : KGEF)」(이하 토론회(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포럼)은 각국 정부와 학계, 시민사회가 함께 저출산 문제를 겪고 있는 각국의 경험과 정책 사례를 나누고, 노동시장에서의 성 격차 해소와 양성평등한 일터 만들기, 가족 돌봄 지원 및 사회적 돌봄 확대 등 저출산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기조연사로는 시마 사미 바후스(Sima Sami Bahous) 유엔 여성기구(UN Women) 사무총장이 영상으로 참여해 저출산 대응을 위한 돌봄 분야 투자, 여성 경제활동 참여 확대 및 직장에서의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의 중요성에 대해 발표하며, 김영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저출산 시대, 인구정책이 나아갈 길’을 주제로 대한민국 정부 인구정책의 목표와 추진전략, 핵심 분야별 정책, 사회적 인식과 문화 변화의 필요성 등에 대해 발표한다.

?

토론회(포럼)은 총 3개의 주제로 진행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제 1] 저출산 극복과 양성평등, 각국의 경험과 사례’에서는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좌장을 맡아 진행하며 주한 5개국 대사 또는 부대사가 각국의 저출산 경험과 정책 사례를 발표한다. 발표와 토론에는 다니엘 볼벤(Daniel Wolv?n) 주한 스웨덴 대사, 안네 카리 한센 오빈(Anne Kari Hansen Ovind) 주한 노르웨이 대사, 타마라 모휘니(Tamara Mawhinney) 주한 캐나다 대사, 알렉산드라 씨들(Alexandra Siddall) 주한 호주대사관 공사 및 공관차석, 개러스 위어(Gareth Weir) 주한 영국대사관 공관차석 등이 참여한다.


‘[주제 2] 양성평등한 일터, 함께 일하는 사회’에서는 백희영 전 여성가족부 장관이 좌장을 맡고 리차드 라머스(Richard Lammers) 에이에스엠엘 코리아(ASML Korea) 부사장, 엘렌 에른스트 코섹(Ellen Ernst Kossek) 미국 퍼듀대학교 석좌교수의 발제를 중심으로, 윤자영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최슬기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하여 노동시장의 성 격차 해소와 양성평등한 기업 문화 조성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주제 3] 돌봄 걱정 없도록, 함께 돌보는 사회’에서는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이 좌장을 맡고 김인경 한국개발연구원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 전영호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의 발제를 중심으로, 최윤경 육아정책연구소 기획조정본부장, 서동민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하여 가족 돌봄 등 양육 지원체계의 발전 방향, 사회적 돌봄의 역할 확대 및 질 제고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토론회(포럼)은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대면 회의로 개최되며,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으로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참가를 희망하는 사람은 토론회(포럼) 공식 누리집에서 사전 신청하면 된다. 한편 토론회(포럼) 영상은 토론회(포럼) 공식 누리집과 여성가족부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한국어·영어로 생중계된다.
* 토론회(포럼) 공식 누리집(www.kgef.kr) 및 여성가족부 유튜브(www.youtube.com/mogefamily) 통해 누구나 시청 가능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들이 저출산·고령화 문제로 국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저출산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라며, “2023 대한민국 양성평등 토론회(포럼)이 ‘함께 일하고 함께 돌보는 양성평등 사회’,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이 행복인 나라’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적 지혜를 함께 나눌 수 있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여성가족부, 2023.09.1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0908&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33,A00031,A00015,A00013,A00032&startDate=2023-09-14&endDate=2023-09-24&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082 근로시간면제 한도 위반 63개소(13.1%) 다수의 위법·부당사례 확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6
1081 추석 명절 앞두고 항만건설현장 대금 및 노임 지급 실태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12
1080 ‘미(美)아름다운 래(來)돌아오는 농촌’을 위한 재생 아이디어 발굴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5
1079 산업안전보건본부장, 대형 건설사의 적극적인 안전관리 역할 재차 당부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39
1078 근로복지공단, 직장어린이집 ESG 확산 위해 유니세프와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99
1077 농식품부, 소비자단체와 정책협의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4
1076 ‘중대재해 사이렌’의 모든 자료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홈페이지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25
1075 제4차 사회적기업 기본계획(’23~’27)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7 379
1074 외국인근로자 고용 한도 확대 등 ‘외국인력 고용 관련 규제개혁 방안’ 현장 의견 청취, 산업안전·보건 철저 …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55
1073 조선산업 현장애로 해소 속도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58
1072 한-아르헨티나 경제?통상협력 강화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55
1071 케이(K)-디자인으로 사회문제 해결, 넛지디자인 첫발 내딛어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84
1070 8.30일부터 황금녘 동행축제 본격 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67
1069 새일여성인턴 사업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에 도전해보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567
1068 성별영향평가를 통한 일·생활 균형 등 제도개선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81
1067 재생에너지도 가격순으로 급전순위 정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27
1066 2023년 제16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개최(8.31.)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70
1065 규제뽀개기 제3탄 이동 수단(모빌리티) 분야 제도의 바람직한 방향, 모의재판으로 밝힌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41
1064 전문가 중심의 “필수?지역의료 강화를 위한 의사인력 확충 정책” 논의 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52
1063 환경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와 전기차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련 업계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09-01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