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회 서울 ODA(공적개발원조) 국제회의」 개최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3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26

외교부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는 「제16회 서울 ODA* 국제회의」를 9월 7 개최할 예정이며미국일본튀르키예 등의 개발전담기관국제기구, 학계, 주한 외교단 등 주요인사들이 참석할 계획이다.

 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tance) : 공공기관이 개도국의 발전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제공하는 양자간·다자간 개발협력

 

 ※ 2007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서울 ODA 국제회의?는 정부민간학계 등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다양한 주체가 모여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회의체

 ※ 제16회 서울 ODA 국제회의 개요

    일시 및 장소 : 2023.9.7.() 09:00 ?17:20, 서울 롯데호텔(소공동)

    주제 ‘국제개발협력의 미래위기의 세계에서 글로벌 연대와 다각적 접근’

    주요 참석자 미국일본튀르키예 등의 개발전담기관국제기구학계주한 외교단 등

 

   △장원삼 코이카 이사장의 개회사△오영주 외교부 제2차관의 환영사△카스텐 스타우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의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인도-태평양 전략과 국제개발협력(세션1), △지역적 복합위기와 혁신적 파트너십(세션2), △상생과 번영을 위한 개발협력의 미래(세션3)를 핵심 주제로 3개 세션이 진행된다. 

 

   금번 회의에서는 코로나 팬데믹의 여파지정학적 긴장 고조기후변화 악화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달성을 위한 전략적·혁신적 개발협력 방법론을 논의하고이를 통해 국제개발협력의 미래 비전과 역할을 모색할 예정이다.

 

 

   ‘국제개발협력의 미래 위기의 세계에서 글로벌 연대와 다각적 접근’을 주제로세션1에서는 「인도-태평양 전략」과 국제개발협력의 연계에 관한 역내 동향이 논의되며, 세션2에서는 지역적 복합위기 대응을 위한 혼합금융혁신적 파트너십 등의 방안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마지막으로 세션3에서는 개발협력 지형 변화에 따른 공여 기관의 역할 및 전략 등이 논의된다.

 특히금번 회의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최초의 포괄적 지역 전략인 「자유평화, 번의 인도-태평양 전략」(22.12)을 설명하고이와 연계한 개발협력 이행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 9월 7일 KOICA 유튜브 공식 채널을 통해 생중계(·영 동시통역수어 통역 제공되며외교부 유튜브 공식 채널로도 홍보될 예정

 

붙임 : 제16회 서울 ODA 국제회의 프로그램.  끝.


(외교부, 2023.09.0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8392&pageIndex=19&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9-02&endDate=2023-09-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165 대규모 지진 대비, 내진보강 활성화 방안 등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73
1164 미래 이동수단 교통 안전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39
1163 보건복지부, 한의 의료기관 현장방문 비회원 2023-09-22 333
1162 김효은 기후변화대사, 유엔환경계획 사무총장 면담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337
1161 한-에스와티니 외교장관회담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324
1160 “국민 품속 청와대, 장애인 프렌들리 정책은 계속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303
1159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지역과 함께 본격 추진에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365
1158 “신속한 장기 이송”, 이스타항공 동참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400
1157 환경부-유엔환경계획, 환경 협력 강화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300
1156 중소벤처기업부 노조, 황금녘 동행축제 동참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309
1155 인공지능(AI) 기술 활용 재난관리를 위한 국내·외 정책과 선진사례 공유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418
1154 한국인정기구, 공인기관 자율성·책임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314
1153 수소경제 시대 성큼 글로벌 수소기업 한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341
1152 모든 지목의 태양광설비에 대해 주기적인 안전관리를 실시중이며, 취약지역에 대해서는 특별점검 대상으로 관리중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335
1151 국제사회 재난위험경감을 위해 한국의 우수 정책·기술 전파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308
1150 우수한 재난안전 기술과 연구개발 25건 표창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310
1149 한-우즈벡 공급망 협력 토대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2 291
1148 고용노동부, 추석 명절 집중지도기간 중 체불사업주 두 번째 구속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1 315
1147 농식품부,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양곡 판매가격 한시 인하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1 290
1146 추석 연휴 전후에 「노사 합동 자체안전점검」 꼭 실시해 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1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