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19개국 대상으로 파리협정 투명성체계 역량 키운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8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26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정은해)는 9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중구에 소재한 라마다 서울 동대문호텔에서 아시아 19개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파리협정 투명성체계 역량배양 연찬회(워크숍)를 연다.

 

  이번 행사는 △파리협정 투명성체계 파트너십(PATPA*),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투명성 역량배양 이니셔티브-글로벌 지원 프로그램(CBIT-GSP)**과 공동으로 마련됐다.

 

 * (Partnership on Transparency in the Paris Agreement): 독일·한국·남아공 정부가 공동 설립(’10.5월, 제1차 피터스버그 기후각료대화)한 국제 파트너십으로, 투명성체계 이행 촉진 및 관련 기후협상의 선진국-개발도상국 간 의견 공유를 목적으로 함

** (The Capacity-building Initiative for Transparency-Global Support Programme): 개발도상국의 투명성체계(국가 보고 및 검토이행 관련 역량배양 지원을 위해지구환경기금(GEF)이 자금을 지원하고유엔환경계획(UNEP) 코펜하겐 기후센터(UNEP-CCC)에서 실행하는 국제적인 사업

 

  지난 2015년 11월 파리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통해 파리협정이 체결됨에 따라모든 당사국은 내년부터 2년마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흡수량감축목표 이행·달성 현황 등의 정보를 담은 보고서(격년투명성보고서)를 유엔에 보고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뿐 아니라대다수 개발도상국은 이러한 정보를 국제사회에 보고한 경험이 부족해 사전적인 준비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이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독일 정부와 함께 아시아 지역 담당자들의 보고 역량배양을 위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이번 행사에는 베트남일본중국 등 아시아 19개국에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점검 담당자 40명이 참가한다.

 

  이들은 △파리협정 아래 강화된 투명성체계에 따른 보고·검토 체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의 이행 현황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격년투명성보고서의 보고 준비를 위한 공통 과제 및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다.

 

  한편,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이번 행사 기간에 제공될 모든 식사를 채식 식단으로 구성해 저탄소 생활을 몸소 실천할 계획이며, 참가자들에게 우리나라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기회도 제공할 예정이다.

 

  정은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격년투명성보고서 제출이 1년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국제사회에 보고 경험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의 역량배양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며“앞으로도 여러 국제기구와 함께 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투명성체계 이행 및 기후변화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한 역량배양 과정을 제공하여 전지구적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참가국 명단.

      2. 행사 개요.

      3. 전문용어 설명.  끝.


(환경부, 2023.09.1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9245&pageIndex=1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9-02&endDate=2023-09-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185 국립공원에서 저탄소?친환경 탐방 함께해요…탄소중립 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6
1184 구상나무 뿌리 미생물 군집 연구로 자생지 복원 실마리 찾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88
1183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 폐막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2
1182 전동킥보드, 유모차 등 77개 제품 리콜명령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320
1181 윤 대통령, UN에서 ‘CF(무탄소) 연합’ 결성 제안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96
1180 한·일 산학연, 그린 철강에 힘 모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78
1179 알톤스포츠 니모 FD 전기자전거, 즉시 수리 받아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80
1178 프랑스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 최종안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64
1177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성장하는 예비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을 모집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83
1176 납품대금 연동제 시행을 위한 상생협력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68
1175 유럽연합(EU) 배터리규제 강화에 대한 우리 기업 대응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65
1174 규제혁신으로 그린 수소 국내 생산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90
1173 「2023 대한민국 양성평등 토론회(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74
1172 새일센터를 통한 “경력단절 극복” 우수사례 공모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53
1171 내년부터 에어컨 냉매물질 감축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63
1170 세계 최대규모 「이차전지 화재시험센터」 개소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43
1169 바이오선박유(Bio Marine Fuel) 첫 시범 운항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57
1168 11월, 국내 최대 「에너지 신산업 투자·일자리 박람회」 열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53
1167 대중교통에서 나오는 전자파, 안전기준 충족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50
1166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 이행절차 안내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