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19개국 대상으로 파리협정 투명성체계 역량 키운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8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26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정은해)는 9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중구에 소재한 라마다 서울 동대문호텔에서 아시아 19개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파리협정 투명성체계 역량배양 연찬회(워크숍)를 연다.

 

  이번 행사는 △파리협정 투명성체계 파트너십(PATPA*),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투명성 역량배양 이니셔티브-글로벌 지원 프로그램(CBIT-GSP)**과 공동으로 마련됐다.

 

 * (Partnership on Transparency in the Paris Agreement): 독일·한국·남아공 정부가 공동 설립(’10.5월, 제1차 피터스버그 기후각료대화)한 국제 파트너십으로, 투명성체계 이행 촉진 및 관련 기후협상의 선진국-개발도상국 간 의견 공유를 목적으로 함

** (The Capacity-building Initiative for Transparency-Global Support Programme): 개발도상국의 투명성체계(국가 보고 및 검토이행 관련 역량배양 지원을 위해지구환경기금(GEF)이 자금을 지원하고유엔환경계획(UNEP) 코펜하겐 기후센터(UNEP-CCC)에서 실행하는 국제적인 사업

 

  지난 2015년 11월 파리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통해 파리협정이 체결됨에 따라모든 당사국은 내년부터 2년마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흡수량감축목표 이행·달성 현황 등의 정보를 담은 보고서(격년투명성보고서)를 유엔에 보고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뿐 아니라대다수 개발도상국은 이러한 정보를 국제사회에 보고한 경험이 부족해 사전적인 준비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이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독일 정부와 함께 아시아 지역 담당자들의 보고 역량배양을 위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이번 행사에는 베트남일본중국 등 아시아 19개국에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점검 담당자 40명이 참가한다.

 

  이들은 △파리협정 아래 강화된 투명성체계에 따른 보고·검토 체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의 이행 현황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격년투명성보고서의 보고 준비를 위한 공통 과제 및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다.

 

  한편,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이번 행사 기간에 제공될 모든 식사를 채식 식단으로 구성해 저탄소 생활을 몸소 실천할 계획이며, 참가자들에게 우리나라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기회도 제공할 예정이다.

 

  정은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격년투명성보고서 제출이 1년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국제사회에 보고 경험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의 역량배양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며“앞으로도 여러 국제기구와 함께 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투명성체계 이행 및 기후변화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한 역량배양 과정을 제공하여 전지구적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참가국 명단.

      2. 행사 개요.

      3. 전문용어 설명.  끝.


(환경부, 2023.09.1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9245&pageIndex=1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9-02&endDate=2023-09-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435 「제1차 한-말레이시아 기후변화 대화?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90
1434 환경과학원, 베트남에 통합환경관리 선진기술 전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39
1433 환경부 차관, 아·태지역 국가 위한 우리나라의 ‘녹색 사다리’ 역할 강조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54
1432 탄소국경조정제도 기업 지원, 도움창구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48
1431 탄소국경조정제도 기업 지원, 도움창구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32
1430 국립공원공단, 지역사회와 ‘마실생태밥상’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43
1429 고용노동부, 추락 사망사고 위기경보 발령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16
1428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91
1427 차량용 반도체 상생협력을 위한 교류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01
1426 산업부, 에너지의 미래와 소통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24
1425 첨단 신기술분야 훈련을 확대하고 취약계층에게 더 많은 훈련기회를 제공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08
1424 ‘전기차 화재폭발’, 중소벤처가 기술개발(R&D)로 해결한다. 「고(高)위험·고(高)성과 기술개발(R…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25
1423 수소버스, 제주에서 청정수소로 달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06
1422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전북 혁신도시 이전 후 10년 동안 교육과정 대상 확대, 지역상생 선도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16
1421 폐업 때만 받던 노란우산공제, 이제 재난·질병 때도 받도록 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285
1420 ‘중소기업 인재대학’ 미래와 지역을 연결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17
1419 (참고자료)한-사우디, 청정 수소 협력 확대 합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292
1418 고속도로를 타고 안전문화가 달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278
1417 석유화학 위기극복을 위한 ‘워룸’ 가동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287
1416 국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세부기준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