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재활원, ‘2023 돌봄로봇 네트워크 공개토론회’ 개최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4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26

<요약본>

  국립재활원(원장 강윤규)은 9월 14일(목) 돌봄로봇 관련 민-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돌봄로봇 네트워크 공개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공개토론회는 보건복지부 및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관계자와 과제수행연구자, 이해관계자가 참석하였다.

 

  이날 공개토론회는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협업하여 진행하는 스마트돌봄로봇 기술 및 실증 연구개발 사업 현황과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세부적인 과제 수행 계획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국립재활원은 이 사업을 통해 돌봄로봇에 대한 현장실증을 강화하고 스마트돌봄스페이스(스마트병실)를 구축·운용하여, 수요자 중심 돌봄로봇을 시설, 병원, 가정으로 확산하고 활용 방안 마련을 논의하였다.

 

  각 세션에서는 다부처 협업 사업으로 수행되는 스마트돌봄로봇 기술 및 실증 연구개발의 부처별 사업 소개를 다뤘다. 그리고 산업통상자원부의 사회적약자자립지원로봇기술개발의 4개 분야 과제수행계획 발표와 보건복지부 수요자 중심 돌봄로봇 및 서비스 실증연구개발의 15개 분야 과제수행계획을 발표하고 민-관-수요자가 함께 논의하였다.

 

  국립재활원 강윤규 원장은 “정부와 민간이 돌봄로봇 기술개발 사례 및 실증연구 결과를 서로 공유하고 토의함으로써 돌봄로봇 기술 발전 가능성과 시장 확대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시간이었다”라며, “국립재활원은 중증장애인 등 수요자 중심 돌봄로봇 실증 연구사업을 통해 실제적으로 장애인과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돌봄자의 돌봄 부담이 경감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협력하여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상세본>

  국립재활원(원장 강윤규)은 9월 14() 9 더케이호텔 서울(서울 서초구)에서 돌봄로봇 관련 이해관계자가 함께 참여하는 ‘2023 돌봄로봇 네트워크 공개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우리나라는 2025년에 전체 인구의 20.6%가 고령인구인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며,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로봇기술을 활용한 돌봄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공개토론회는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그간의 기술 개발 사례와 실증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총 7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다부처 협업 사업으로 수행되는 스마트돌봄로봇 기술 및 실증 연구개발의 각 부처별 사업 소개를 다뤘다.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우현수 로봇PD가 ‘산업부 기술개발사업 소개 및 추진계획’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이어 국립재활원 송원경 재활보조기술연구과장이 ‘복지부 사업 및 돌봄로봇 네트워크 공개토론회 소개’에 대해 발표하였다.

 

  두 번째 세션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사회적약자자립지원로봇기술개발 사업 소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발표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김영욱 수석연구원의 ‘사람의 일상행동을 이해하는 모바일 생활지원 로봇 개발’ ▲휠라인 조성현 차장의 ‘노약자ㆍ장애인ㆍ환자의 기립ㆍ자세변경 및 실내 이동지원을 위한 간이탑승형 로봇시스템 개발’ ▲큐라코 이호상 연구소장의 ‘배설돌봄로봇의 실증기반 유효성 검증 및 상용화 개발’ ▲맨엔텔 정광욱 대표의 ‘1단계 이승보조로봇의 실증 평가 및 고도화 개발’ 순으로 진행되었다.

 

  세 번째부터 여섯 번째 세션에서는 보건복지부가 수요자 중심 돌봄로봇 및 서비스 실증연구개발에 대해 다뤘다. 세 번째 세션은 ▲국립재활원 송원경 재활보조기술연구과장의 ‘장애인을 위한 돌봄로봇 서비스 실증 플랫폼 연구’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덕영 수석연구원의 ‘노인을 위한 돌봄로봇 서비스 실증 플랫폼 연구’ ▲재활공학연구소 육선우 센터장의 ‘돌봄로봇 안전성/성능평가/데이터기술 표준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용순 교수의 ‘돌봄로봇 현장적용 기반 돌봄부담분석 및 사회적/경제적 가치 연구’ 발표 순으로 진행되었다.

 

 

 

  네 번째 세션은 ▲Wintech 조민수 대표의 ‘화장실 왕복 및 자세유지를 포함한 100mm 단차를 극복할 수 있는 컴팩트한 실내용 이동 돌봄로봇 중개연구’ ▲대원인물 주식회사 최도현 대표의 ‘이동가능한 캡슐/부스를 가진 샤워체어 및 베드 가변형 목욕보조 돌봄로봇 중개연구’ ▲㈜하이제라네트웍스 이의철 대표의 ‘배뇨/배변 양상 관리 기능을 가지며 배설유도가 가능한 돌봄로봇 중개연구’ ▲주식회사 네오에이블 백승엽 대표의 ‘협소공간에서 사용가능한 이승 및 repositioning 보조 돌봄로봇 중개연구’ 발표 순으로 진행되었다.

 

  다섯 번째 세션은 ▲㈜리눅 이태영 연구소장의 ‘수면에 방해가 되지 않는 초저소음형, 타기기와 호환성이 높은 욕창 예방 및 자세 변환을 위한 돌봄로봇’ ▲㈜엔티로봇 김경환 대표의 ‘휴대가 편리한 융합형 식사보조 돌봄로봇 중개연구’ ▲주식회사 효돌 황미진 수석연구원의 ‘가정/병원 중심의 현장소통이 가능한 융합형 커뮤니케이션 돌봄로봇 중개연구’ ▲㈜로보케어 우승효 연구소장의 ‘요양시설중심으로 다수의 돌봄로봇 및 센서 정보 통합형 모니터링과 돌봄 업무지원 돌봄로봇 중개연구’ 발표 순으로 진행되었다.

 

  여섯 번째 세션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제성 교수의 ‘장애인을 위한 의복 또는 속옷 형태의 하이브리드 방식의 유연착용형 돌봄로봇 중개연구’ ▲서울대학교병원 정선근 교수의 ‘유연착용형 돌봄로봇의 근력보조에 대한 신체 영향성 분석’ ▲주식회사 유니메오 박상후 책임연구원의 ‘AI 기반 비대면 시니어 생활 건강관리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연구’ 발표순으로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돌봄로봇에 대한 공감(empathy)을 중심으로 분야별 공동창작(Cocreation workshop)워크숍을 통해 돌봄로봇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이해관계자 간의 패널 토의가 진행되었다.

 

  국립재활원 강윤규 원장은 “이번 공개토론회를 바탕으로 돌봄로봇 기술이 발전하고 돌봄로봇 시장이 활성화되길 기대하며, 돌봄현장에서 실제적으로 돌봄 부담이 감소하여 돌봄을 받는 자와 돌봄자 모두의 삶의 질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국립재활원은 생활 밀착형 돌봄로봇 확산을 위하여 돌봄로봇 서비스 모델 개발, 중개 연구, 제도 연계 등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앞으로도 수요자가 함께하는 연구를 바탕으로 돌봄로봇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여 궁극적으로 돌봄을 필요로 하는 장애인과 노약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2023.09.1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0203&pageIndex=1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9-02&endDate=2023-09-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249 국립재활원, ‘2023 돌봄로봇 네트워크 공개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45
1248 한 번의 회원가입으로 전국의 전기차 충전시설 이용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2
1247 기후변화, 자연재난, 식량안보... 외교부, 글로벌 위기 대응을 위해 적십자와 손잡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50
1246 박진 장관, 녹색기후기금(GCF) 사무총장 면담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34
1245 멸종위기종 소똥구리, 반세기 만에 우리 곁으로 돌아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1
1244 사회서비스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2023 소셜 인사이트 콘퍼런스’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87
1243 펠리세이드 2.2 디젤 등 3개 차종 배출가스 허용기준 초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02
1242 환경산업기술원, 아프리카 녹색성장 돕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93
1241 국내 최초 수력을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시설 준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99
1240 8월 고용률(63.1%)은 역대 최고 실업률(2.0%)은 역대 최저 기록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0
1239 8월 고용동향, 건설업 고용현안 등 점검, 지역별 빈일자리 해소방안 마련하여 10월중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23
1238 보건복지부, 보건산업 정책 외신 간담회 개최 비회원 2023-09-26 298
1237 환경부는 일회용컵 보증금제의 추진방향을 종합적으로 검토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53
1236 (설명) 정부는 적시적소에 전기차 충전기 보급 확대, 충전 편의 개선 및 고장관리 강화 등 추진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44
1235 복지멤버십 가입자 1,000만 명 돌파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00
1234 환경부 차관, 베트남 녹색성장 경제포럼 참가, 한국의 녹색성장 본보기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09
1233 온실가스 배출권 이월 가능물량 확대로 시장기능 개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6
1232 더 나은 환경을 만드는 우수기술 20선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2
1231 사각지대 발굴 위해 다가구주택 상세주소 등 연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1
1230 제2의 강남역, 신림동 도시침수피해 막기 위해 국가역할 강화할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