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달간 비대면진료 15만 건 시행, 향후 접근성 더 높인다.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0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26

<요약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9월 14(), 2023년 6월 1일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실시 이후  6~7월 두 달간의 실시현황을 발표했다. 6월 기준 총 14만 명 환자가 15만 3천 건을 이용하였으며, 이는 진료 건수 기준으로 한시적 비대면 진료(월평균 222,404건) 69% 수준이다.

 

  6월 기준 총 비대면진료 건수 153,339건 중 재진은 126,765(82.7%), 초진은 26,511(17.3%)이었다*의원급 의료기관 153,221(99.9%)이었으며, 의원급 재진 환자 중 만성질환자가 61,514(48.6%), 그 외 질환자가 65,134(51.4%)이었총 건수 중 연령별 진료 건수 60~69가 가장 많았다. 지역별 진료 건수는 서울경기가 많았으며, 인구수 대비 이용 비율은  가장 높았다.

 

   * 진찰료 청구 누락 등으로 초,재진 건수 합계(153,276건)보다 총 비대면진료 건수(비대면진료 시범사업 관리료 청구건수, 153,339건)가 63건 많음

 

  감염병예방법에 근거, 의료기관 내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하여 제한 없이  허용되었던 한시적 비대면진료와는 달리, 시범사업에서는 재진환자, 의료약자로 대상환자를 제한하여 이전에 비해 실시 건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

 

  한편, 보건복지부는 9월 14일(목) 14시 서울가든호텔(서울특별시 마포구)에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개선 방향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보건복지부는 시범사업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시범사업 문단 5차 회의(8.29.)에서 보완계획을 논의하였다이번 공청회는 시범사업의 개선 에 대해 전문가와 국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고자 마련되었다.

 

  이날 공청회에 참석한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의료접근성 제고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시범사업 개선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히며,“현의견을 신속하게 검토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비대면진료 제도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도를 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2023.09.1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0250&pageIndex=1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9-02&endDate=2023-09-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235 복지멤버십 가입자 1,000만 명 돌파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09
1234 환경부 차관, 베트남 녹색성장 경제포럼 참가, 한국의 녹색성장 본보기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17
1233 온실가스 배출권 이월 가능물량 확대로 시장기능 개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4
1232 더 나은 환경을 만드는 우수기술 20선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0
1231 사각지대 발굴 위해 다가구주택 상세주소 등 연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9
1230 제2의 강남역, 신림동 도시침수피해 막기 위해 국가역할 강화할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2
1229 지방소멸 완화 및 지역균형발전 등 ‘어디서나 살기좋은 지방시대’ 구현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9
1228 한국과 아프리카, 보건의료 협력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1
1227 김효은 기후변화대사, ?모래먼지폭풍 대응 국제회의?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54
1226 정부는 관련 법령 및 절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제도를 차질없이 운영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58
1225 장기요양급여비용 자율점검 시범사업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93
1224 장애인 프렌들리, 화면해설 영상으로 장애와 비장애 장벽 허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00
1223 녹색기후기금, 한국의 기후행동 의지에 감사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22
1222 아시아 19개국 대상으로 파리협정 투명성체계 역량 키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85
1221 통합환경관리제도 2.0시대 개편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3
1220 국경 없는 대기오염 문제, 동북아 지역 공동 대응 모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95
1219 교육부-보건복지부, 공동 전담팀(T/F) 만들어 교원의 마음건강 치유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89
1218 고품질 사회서비스 공급자 육성을 위한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7
1217 보건복지부, 노인예산 확대 관련 시·도 협의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6
1216 중증장애인생산품 국회 박람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