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 발전으로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구현한다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7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26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이하 문체부)는 지역신문의 발전과 신문산업으로서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9월 15일(금), ‘지역신문발전 3개년 지원계획(2023~2025)’을 발표했다.

 

  문체부는 「지역신문발전지원 특별법」(이하 지역신문법) 제6조에 의해 2005년 첫 번째 지원계획을 수립·시행한 이래 3년마다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동안 지역신문 역량 강화를 위해 한시법이었던 「지역신문법」이 상시법으로 전환(2022년)되었고, 언론진흥기금 재원을 확보하는 등 지역신문에 대한 안정적인 지원 기반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최근 급격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 생태계 전반에 디지털 기술의 이용이 보편화되고, 뉴스에 대한 관심도가 하락*하면서 종이신문의 이용률과 매출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 지역신문은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위기 속에 지역뉴스에 대한 정보의 깊이와 다양성을 높이고 지역 텐츠 가치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수익모델 창출이 요구되고 있다.

  * ‘뉴스에 관심없다’ 응답 : 35세 미만 21%, 35세 이상 10%(디지털뉴스리포트 2022)

 

  이에 문체부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와 지역신문 발행인언론학계 등 다양한 현장 목소리를 바탕으로 이번 지원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지원계획은 지역신문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 ‘지역 맞춤형 지원을 통한 지속가능한 글로컬 저널리즘 구현’이라는 비전 아래 ?글로컬 저널리즘 기능 제고, ?신기술 기반 외연 확대, ?지역사회 연대·상생 강화, ?지역신문발전 기반 정비 등 4개 전략, 21개 세부과제로 구성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역 고유의 글로컬 저널리즘 기능 제고

 

  문체부는 지역신문이 지역 고유의 현안을 발굴하고 취재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한다. ’22년 지역신문 구독자(2,858명)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구독자들은 공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부분을 ‘지역밀착형 기획콘텐츠의 생산’(89.1%)이라고 응답했다.

 

  문체부는 2024년부터 재해·재난경제 등 공동 관심사 관련 지역의 기관리 대처법에 대한 취재를 새롭게 지원해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전국의 관심도를 높이고 문제해결을 유도한다공동 기획 주제를 선정 후 취재참가를 희망하는 지역신문사를 선발하고국내외 취재지원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도 지원한다또한 지역신문사에 우수인력을 확하고 전문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MZ세대 지역인재 인턴프로그램과 지역언론인 교육을 지원한다.

 

 인공지능 등 신기술 기반의 경쟁력 강화로 지역신문 외연 확대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이 사회 전반에 적용되고 이를 활용하는 뉴스텐츠 소비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뉴스저작권 사업 활성화 등 지역신문사의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한다.

 

  뉴스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인 ‘빅카인즈’에 뉴스기사를 제공하는 지역신문 협약사를 2024년에 50개사까지 확대하고 뉴스 이용에 대한 보상기준을 15~25% 상향한다. 빅카인즈에 수집된 다양한 지역 뉴스데이터는 분석을 통해 스타트업지자체 등에 맞춤형 정보로 제공된다또한 디지털·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뉴스 제작·유통을 지원하기 위해 뉴스 자동 생성사 관련 뉴스소스, 팩트체크 등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뉴스콘텐츠를 수집·편집·생성, 송고·출고 등 관리하는 공용인프라(통합CMS)를 확대 보급한다. 지역신문사가 인공지능 기술(AI)에 대응하는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자체 미디어서비스 개발도 지원한다.

 

 지역대학 협업 등 지역사회 연대·상생 강화

 

 

  지역대학과 연구소단체 등 지역 주체 및 MZ세대와의 공론의 장을 마련해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는 아젠다를 지속 생산하고 지역 여론을 활성화한다지역대학과 신문사가 협업해 팩트체크 모델을 구축가짜뉴스나 허위 정보로부터 지역민을 보호하고지역의 MZ세대가 직접 지역의 현안을 발굴하고 문제해결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익광고 공모전도 추진한다공모전 수상작은 지역신문사 광고로 게재하고 기획기사를 연계 지원하여 실질적인 문제해결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정보 취약계층의 뉴스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 소외계층 구독료를 지원하는 한편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미래 독자를 확보하기 위해 초·중·고교 대상 지역신문 활용 교육을 지원한다.

 

 안정적인 지역신문발전 기반 조성

 

  지역신문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기반을 정비한다. 문체부는 지역신문 관련 법·제도 개선을 검토하고 안정적인 기금을 확보하는 데 계속 노력할 계획이다지역신문발전기금이 상설화됨에 따라 우선지원 대상사를 선정할 때 투명성을 높이고, 평가·환류체계를 구축하는 등 기금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문체부 강수상 미디어정책국장은 “2024년은 「지역신문법」이 시행된 지 20주년이 되는 해이다. 지역신문 발전을 위해 그동안 들인 노력과 성과를 발판으로 새로운 미래를 준비해야 할 시점이다.”라며“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국정 목표를 구현하고 지원계획의 강력한 추진력을 담보하기 위해 지역신문발전 기금 외에도 언론진흥기금, 한국언론진흥재단 법인회계 등 다양한 재원을 확보하고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 2023.09.15.)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0358&pageIndex=10&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9-02&endDate=2023-09-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495 (설명) 정부는 플라스틱 오염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 노력에 적극 동참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8
1494 (설명) 상습·고의적 위반사업장에 대해서는 단속을 보다 강화하는 등 중점 관리하겠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1
1493 대한민국, 2024년 세계보건기구(WHO) 집행이사국으로 내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34
1492 (설명) 지자체 지역화학사고대응계획 수립 지원을 강화하겠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28
1491 정부, 이스라엘-하마스 무력충돌 상황에 대한 인도적 지원 제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9
1490 지역,필수의료 살리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공백없는 필수의료 보장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84
1489 관 합동으로 유엔 플라스틱 협약 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5
1488 에너지 탈탄소화를 위한 무탄소에너지 확산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8
1487 (설명) 지하역사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을 지속 강화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8
1486 장애인 재활운동 및 체육 활성화를 위한 학술 세미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1
1485 국가생태탐방로 7곳, 생태관광지역 6곳 신규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8
1484 노인 의료·요양·돌봄 현장에서 발전방안을 논의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80
1483 (정정) 올해 보급된 전기화물차 중 94.5%가 국산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2
1482 (설명) 불소의 토양오염기준을 인체 및 환경에 위해가 없는 범위 내에서 합리적으로 조정할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0
1481 지역에 숨어 있는 100가지 매력 ‘로컬100’, 키크니 작가와 함께 알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35
1480 환경부·조달청·한국수자원공사, 수입의존 활성탄 안정적 공급위해 힘 모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5
1479 중앙아시아 국가에 수자원 분야 진출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374
1478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경쟁력 강화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3
1477 경로당 등 소규모 취약시설이 보다 안전해집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32
1476 담수 미생물로 수목 물 사용량 줄여 탄소중립 실천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