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명) 25.2명, 전년 대비 0.8명(3.2%) 감소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1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26

<요약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2년 자살사망자 수가 지난해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하여 자살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발표(23.9.21.)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2022 자살사망자 12,906으로2021년보다 446명 감소(3.3%)하였으며자살사망률(인구 10만 명당 명, 이하 자살률) 25.2으로 지난해 대비 3.2% 감소(21년 26.0)한 것으로 나타났다2022년도 자살사망자 12,906자살률 25.2명은 2018년 이후 제일 낮은 수치**이다. 

 

   고의적 자해(자살등을 포함매년 9월경 전년도 통계 발표(통계청)

 

  ** (자살률) (18) 26.6, (19) 26.9, (20) 25.7, (21) 26.0, (22) 25.2

 

  성별로 살펴보면지난해 대비 남성과 여성 자살률 모두 감소하였다.

 

   * (남성) (21자살사망자 9,193자살률 35.9명 → (22자살사망자 9,019자살률 35.3

     (여성) (21자살사망자 4,159자살률 16.2명 → (22자살사망자 3,887자살률 15.1

 

  연령대별로 살펴보면자살률이 대부분 연령대에서 지난해 대비 감소였으며특히 70(-9.6%)20(-9.2%), 30(-7.2%)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40(2.5%), 10(0.6%)는 전년 대비 다소 증가하였다자살률은 80세 이상(60.6) 가장 높았, 뒤이어 70(37.8), 50(29.0), 40(28.9), 60(27.0) 순으로 높았다.

 

   * (연령대별 자살률) 80(60.6〉 70(37.8〉 50(29.040(28.9〉 60(27.0〉 30(25.3〉 20(21.4〉 10(7.2)

 

 

  은 사회구조적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자살률 증감의 원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렵다정부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증가 등에 따른 자살 증가 우려에 대응하여 자살예방 정책을 강화해 왔으며2022에는 자살시도자자살유족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상담?치료지원* 확대한 바 있다.

 

   살시도자?유족 정보를 자살예방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하여 상담?치료 (22.8~), 자살 유족 맞춤형 지원을 위한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확대(22.6~, 3개 시도 → 9개 시도

 

  지난해 자살률 감소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등교출근영업시간 정상화 등 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일상회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20대 자살률 감소(-9.2%)는 사회적 고립감 완화30대 여성 감소(-19.6%)는 부양부담 완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곽숙영 정신건강정책관은 “지난해 자살률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해부터 코로나19 이후 상대적 발탁감정신건강문제 등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살률 증가 우려에 적극 대응 필요하다”라며 , 자살의 가장 큰 동기가 정신적인 부분임을 고려하여 정신건강혁신방안 연내 마련하여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사회안전망 더욱 강화겠다”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23.09.2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1575&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9-02&endDate=2023-09-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535 안전한 일상을 위한 5대 폭력 피해자 지원 개선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8
1534 4대강별 유역물관리종합계획 최초 수립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88
1533 교통·시설 등의 공공표지판 정비로 모두가 안전한 사회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8
1532 국내 최초 수소 청소차, 수도권을 누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85
1531 깨끗한 동북아 위해 한·일·중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83
1530 전기차 폐배터리 등 폐기물 7종 규제면제 대상으로 지정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302
1529 독일과 첨단산업, 탄소중립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6
1528 장관, 중남미와의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위해 칠레 등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95
1527 민관협력으로 국외 다문화가족 지원 확대 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0
1526 국제사회 기후공시 의무화 대비, 환경정보공개제도 개편안 공청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9
1525 수서생물 정보 제공으로 수돗물 관리 역량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5
1524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 재구축 운영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3
1523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 이행을 위한 추진전략 등 현안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2
1522 보건복지부 장관,동절기 대비 경로당 현장방문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2
1521 ’23~’24년 동절기 노숙인 보호 대책 수립, 시·도 담당자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3
1520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분만·소아 수가 개선에 연 3천억 원 투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7
1519 멸종위기 야생생물 나팔고둥, 혼획·유통 등 위법 행위 특별점검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34
1518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 이행을 위한 의사인력 확대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4
1517 지역 주도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환경교육도시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7
1516 녹색기후기금(GCF) 인증기구로 SK증권 승인, 기후사업에 총 7.4억불 지원 결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