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 부총리, 노인복지 현장 방문, 어르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 강화 약속

담당부서 : 기획재정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3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26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추석 명절을 앞두고 9.22() 10시 30분 서울시 서대문구 소재 독거어르신 가정과 서대문노인종합복지관 방문하였습니다. 

 

< 현장 방문 개요 >

 

 

 

 

일시 : ’23.9.22(금) 10:30~11:40

 

장소 : 독거어르신 가정(서울 서대문구), 서대문노인종합복지관

참석 부총리서대문노인종합복지관장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장 등

 

  이번 현장방문은 정부의 지원 확대가 실질적인 노인복지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 수혜자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이를 향후 정책개선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추 부총리는 먼저 고령의 생계급여 수급자인 독거어르신 가정을 방문하여 생활과 관련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노인 맞춤돌봄서비스가 어르신의 상황에 맞추어 제대로 지원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그리고 독거노인의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응급안전안심ICT 시스템을 점검하고 추석선물을 전달하였습니다. 이어서 추 부총리는 서대문노인종합복지관 방문하여 어르신들을 위한 취미여가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참관하고복지관을 찾으신 어르신들께 점심 배식 봉사를 하며 추석 선물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추 부총리는 어려운 재정여건 하에서도 내년도 노인 관련 예산을 23.2조원에서 25.6조원으로 대폭 확대 편성(+10.3%)하는 등 노인복지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임을 강조하였습니다. 기초연금 지속 인상(‘22 30.8 → ‘23 32.3 → ‘24 예산안 33.4만원), 노인 일자리 역대 최대 규모 확대(‘24 예산안 +14.7만명, 88.3→103.0만명) 및 6년만의 일자리 수당 인상 등을 통해 노후소득 보장성을 더욱 강화 나갈 계획임을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의 어르신들의 삶의 질과 안전을 제고하기 위해 돌봄시간을 확대(’24 예산안 月 16시간 → 20시간, 중점관리군)하고, 응급안전안심ICT 시스템도 지속 확충하는 등 노인 맞춤 돌봄서비스도 적극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약속하였습니다.

 

 

  이와 함께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액을 13.2% 인상하여지난 5년간(17~22) 총 인상액(+19.6만원) 보다 큰 +21.3만원을 인상(162.0183.4만원, 4인 기준)하는 등 우리 사회의 가장 취약계층인 생계급여 수급자 지원을 대폭 확대(6.0→7.5조원, +1.5조원)해 나갈 것임을 강조하였습니다.

 

  추 부총리는 우리나라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어르신들이 건강하고 안전한 노후를 보내실 수 있도록 더욱 각별히 살필 것이라고 밝히며앞으로도 노인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약자복지를 적극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임을 강조하였습니다.


(기획재정부, 2023.09.2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1825&pageIndex=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9-02&endDate=2023-09-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209 부산·경남 지역에 장애친화 산부인과 서비스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49
1208 미래 사회보장 대응 강화를 위한 논의의 장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0
1207 환경부-경제협력개발기구, 대기오염저감대책 영향 연구 중간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96
1206 전국 9개 시멘트공장 주변 주민 건강영향조사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58
1205 “촘촘하고 두터운 약자복지 확충” 제24회 사회복지의 날 기념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48
1204 경북지역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 총력 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3
1203 제2차 한-메콩 5개국 국제 물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0
1202 전남지역 장애인의 건강권과 의료접근성 보장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83
1201 2022년도 녹색제품 구매 우수 공공기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6
1200 푸른 하늘의 날, ‘맑은 공기를 위한 동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316
1199 대기오염물질 배출정보관리 국제교류 첫걸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57
1198 전기차와 충전기의 화재 예방?대응 이행력 높인다…소통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80
1197 제1차 한-키르기스스탄 국장급 정책협의회(9.5.)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0
1196 외교부, 반기문 재단 및 스탠포드 대학과 청정 에너지 전환의 길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43
1195 김효은 기후변화대사, ?아프리카 기후정상회의(ACS 2023)?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86
1194 비급여 보고제도 시행으로 국민의 알권리를 두텁게 보호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78
1193 환경위성 국제 공동연구 교류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46
1192 모두가 함께하는 탈플라스틱 실천, 제15회 자원순환의 날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62
1191 「의료급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9.5.)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36
1190 「아동수당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9.5.)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6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