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과불화화합물 전면 규제 움직임 산업부, 유럽연합(EU) 측에 우려와 요구사항 전달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3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0-04

유럽연합(EU)의 유럽화학물질청(ECHA)이 제안한 모든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 제한 안에 대해 신중한 검토 필요 의견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 이하 산업부)는 유럽화학물질청(ECHA)에,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은 세계무역기구 무역기술장벽(WTO TBT) 질의처에 9월 25일(월) 각각 전달했다.


과불화화합물(PFAS)은 쉽게 분해되지 않는 특성상 인체·환경에 축적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물, 기름, 화학물질, 열 등에 반응치 않고 원래 분자구조를 유지해 방수성, 방유성, 내화학성, 내열성 등이 뛰어나 거의 모든 산업에서 활용된다.


국내 산업계는 과불화화합물(PFAS) 기능 대체물질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모든 부문(전면) 사용 제한이 우리 제품의 생산과 수출에 상당한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산업부는 그간 설명자료 배포, 간담회와 토론회(세미나) 개최, 의견제출 안내서(가이드) 배포와 상담(컨설팅) 지원을 통해 우리 업계의 적극적인 의견제출을 도왔다. 현재까지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자동차 협회 등이 의견을 제출했고, 산업부가 이번에 의견서를 제출한 건 정부와 업계의 공동 대응하기 위해서다.


의견서에는 우려와 요구사항이 함께 담겼다. 우려 사항으로 ▲규제 유예기간(5년 또는 12년) 내에 대체물질 개발이 쉽지 않아 세계(글로벌) 공급망에 큰 혼란과 충격 발생, ▲배터리와 반도체 생산,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에 문제가 생겨 전기차 보급 지연 등 탄소 중립과 순환경제 이행에 큰 차질 발생, ▲1만 종이 넘는 과불화화합물(PFAS) 물질 각각의 인체·환경에 대한 유해성 검증 없이 모든 부문(전면) 사용 제한은 과잉 규제, ▲산업계가 사용하는 과불화화합물(PFAS) 중에는 분자구조 정보가 없어 규제 대상인지 확인이 곤란한 경우가 다수라는 문제를 지적했다.


이런 이유로 ▲대체물질 개발 현황과 필요 기간 등을 정확히 파악해 현실성 있는 유예기간으로 재설정 필요, ▲과불화화합물(PFAS)이라도 그 사용이 의료기기, 전기차, 반도체 등 의료·사회·안전 기능에 중요하거나, 상당 기간 기술적·경제적 대체재가 없는 품목 등엔 규제 예외 적용 필요, ▲인체·환경 유해성 검증을 거쳐 해로운 과불화화합물(PFAS)만으로 규제 대상을 명확히 할 필요 등을 요구했다.


산업부는 앞으로 논의 현황을 계속 지켜보면서 유럽연합(EU)과의 통상협의를 통해 우리 정부와 산업계 의견을 지속해서 관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09.2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2374&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33,A00031,A00015,A00013,A00032&startDate=2023-09-25&endDate=2023-09-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435 「제1차 한-말레이시아 기후변화 대화?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84
1434 환경과학원, 베트남에 통합환경관리 선진기술 전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36
1433 환경부 차관, 아·태지역 국가 위한 우리나라의 ‘녹색 사다리’ 역할 강조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50
1432 탄소국경조정제도 기업 지원, 도움창구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45
1431 탄소국경조정제도 기업 지원, 도움창구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29
1430 국립공원공단, 지역사회와 ‘마실생태밥상’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10-31 238
1429 고용노동부, 추락 사망사고 위기경보 발령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09
1428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89
1427 차량용 반도체 상생협력을 위한 교류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295
1426 산업부, 에너지의 미래와 소통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20
1425 첨단 신기술분야 훈련을 확대하고 취약계층에게 더 많은 훈련기회를 제공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06
1424 ‘전기차 화재폭발’, 중소벤처가 기술개발(R&D)로 해결한다. 「고(高)위험·고(高)성과 기술개발(R…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20
1423 수소버스, 제주에서 청정수소로 달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297
1422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전북 혁신도시 이전 후 10년 동안 교육과정 대상 확대, 지역상생 선도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10
1421 폐업 때만 받던 노란우산공제, 이제 재난·질병 때도 받도록 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283
1420 ‘중소기업 인재대학’ 미래와 지역을 연결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15
1419 (참고자료)한-사우디, 청정 수소 협력 확대 합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287
1418 고속도로를 타고 안전문화가 달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274
1417 석유화학 위기극복을 위한 ‘워룸’ 가동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280
1416 국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세부기준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5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