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밖 청소년들이 꿈과 재능을 펼치는’ 온라인 꿈드림 축제 열려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8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0-10

□ 전국 학교 밖 청소년들과 꿈드림센터 선생님들이 함께 참여하는 2023년「꿈드림 축제」10월 10일(화)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ㅇ 여성가족부가 주최하고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주관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소통의 장, 꿈드림 축제는 2019년에 시작해 올해로 5년째를 맞는다.


ㅇ 축제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KYCI’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며, 관심 있는 누구라도 참여할 수 있도록 실시간 댓글 남기기, 돌발 퀴즈쇼 등 다양한 참여 행사도 준비되었다.

* 검색창에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또는 ‘KYCI’ 검색

 


축제는 1부 ‘빛나는 나의 오늘’, 2부 ‘여전히 빛날 나의 내일’을 주제로 진행되며, 꿈드림센터 50개소의 276명(187팀)이 참여한 다양한 영상 공모전 및 진로 강연 순서도 마련되어 있다.


1부 ‘빛나는 나의 오늘’에서는 자작 가수(싱어송라이터), 아랍어 공부, 미용사(헤어디자이너), 야구 선수, 미디어 아트(Media art) 등 꿈을 향해 달려가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일상이 담긴 영상 공모전과 함께,

 

‘64만 구독 자기계발 창작자(크리에이터)이자 인기도서(베스트셀러) <럭키드로우>’로 알려진 유튜버(Youtuber) ‘드로우 앤드류’가 특별 출연하여 ‘좋아하는 일로 행복하게 일하는 법’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2부 ‘여전히 빛날 나의 내일’에서는 청소년의 권리, 자신의 꿈,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 바라는 것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청소년들의 당찬 포부와 생각을 세상에 외치는 영상을 함께 보고, 꿈드림센터 선생님의 끼와 재능을 발휘하는 시간도 갖는다.

 

ㅇ 또한, 노래, 자체 제작 뮤직비디오, 악기 연주, 자작곡, 춤(댄스) 등 자유분방하고 다양한 영상들과 함께, 자기 인생사진을 소개하고 어떤 의미가 담겨있는지 공유하는 인생사진 경연대회 본선 진출작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ㅇ 사전 투표와 현장 전문가 평가를 통해 우수 영상을 제작한 학교 밖 청소년들과 꿈드림센터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이사장상 총 35점(부상 포함)을 시상한다.

 


박난숙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우리 학교 밖 청소년들의 빛나는 미래를 응원한다.”라며,

   

“여성가족부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검정고시, 대입 설명회 등 학업지원, 맞춤형 직업체험 및 인턴십 기회 확대 등을 통해 청소년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1. 2023 「온라인 꿈드림 축제」홍보 포스터

2. 2023 「온라인 꿈드림 축제」행사 개요

3. 2023 「온라인 꿈드림 축제」공모전 출품작 미리보기

4. 2023 「온라인 꿈드림 축제」실시간 이벤트 카드뉴스



(고용노동부, 2023.10.0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3366&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0-10&endDate=2023-10-10&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525 수서생물 정보 제공으로 수돗물 관리 역량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3
1524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 재구축 운영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1
1523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 이행을 위한 추진전략 등 현안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9
1522 보건복지부 장관,동절기 대비 경로당 현장방문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9
1521 ’23~’24년 동절기 노숙인 보호 대책 수립, 시·도 담당자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0
1520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분만·소아 수가 개선에 연 3천억 원 투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2
1519 멸종위기 야생생물 나팔고둥, 혼획·유통 등 위법 행위 특별점검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32
1518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 이행을 위한 의사인력 확대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1
1517 지역 주도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환경교육도시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0
1516 녹색기후기금(GCF) 인증기구로 SK증권 승인, 기후사업에 총 7.4억불 지원 결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7
1515 환경부·중기부, 소상공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손잡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5
1514 국립재활원, 세계보건기구(WHO) 협력 재활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4
1513 자연방사성물질(우라늄, 라돈) 기준을 초과한 개인지하수관정 이용자 저감장치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2
1512 환경부-유엔 아·태경제사회위원회, 지속가능발전 및 환경 협력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0
1511 (설명) 환경부는 골프장 농약사용량 조사 검증을 강화하는 등 업무 수행에 철저를 기하겠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37
1510 국가산단 용수공급을 위해 발전용댐 활용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31
1509 아·태 지역의 기후 동행을 위한 서울 이니셔티브 정책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3
1508 환경부 차관, 초미세먼지 관리에도 ‘선택과 집중’ 필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05
1507 장애인학대보도 권고기준 수립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5
1506 「노인복지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10.24.)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