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문화 변화의 바람, 일하고 싶은 농림축산식품부!

담당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0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0-10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활기찬 직장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조직문화 개선의 일환으로 9월부터 유연근무제를 확대하고 매주 금요일마다 캐주얼 데이 등을 지정하여 시행 중이다.

 

지난 7월 「농식품부 조직문화 및 일하는 방식 개선을 위한 관행 격파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하고, 직원들의 직접 투표를 통해 최종 우수 아이디어로 선정된 캐주얼 데이 지정·운영 등으로 공직문화에 유연하고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유연근무제*는 개인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 중이나, 특히 금요일에 상사나 동료보다 빨리 퇴근하면 주변의 눈치를 보게 된다는 의견에 따라 대국민서비스 등 업무에 차질이 없는 범위 내에서 특정 요일에 집단(과(科)·국(局) 단위)으로 조기 퇴근하는 ‘집단유연근무제’를 도입하였다.

 

* 근무형태를 개인, 업무, 기관별 특성에 맞게 다양화하여 9∼18시의 획일화된 근무 대신, 주 40시간의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근무하는 제도.

 

유연근무제도 중 근무시간선택제를 활용하여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기본근무 초과시간을 금요일에 활용하여 집단으로 2시간 조기퇴근하는 방식을 적용 중인데 일과 삶의 양립을 통한 조화로운 근무문화를 조성하여 업무집중도 등의 효율성 제고에 도움이 된다는 반응이다.

 

또한 편안한 복장으로 업무 집중도를 향상시키고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자유롭고 창의적인 조직문화 조성을 위하여 매주 금요일을 ‘캐주얼 데이’로 지정하고, 캐주얼 데이 활성화를 위하여 장관을 비롯한 간부진들이 적극 동참하고 있고, 인증 이벤트(무엇이든 입어보살)를 통하여 개인과 과별로 포상도 실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일하는 방식 개선의 디지털 혁신과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선제적으로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를 도입하여 11개 업무에 운영중이다.

 

*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 데이터 수집, 입력, 비교 검증 등 반복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단순업무를 컴퓨터가 대신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화 하는 것

 

현재 민원 배정, 농축산물 도매가격 동향 및 친환경 인증식품 점검 등 직원들이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시간을 과다 소요하는 업무에 적용하여 운영 중이며, 자동화를 통한 업무 경감 등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적용 분야는 계속해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그 외에도 ‘24년부터 건강검진과 동호회 활동 등에 대한 비용 지원을 확대하여 직원들의 복지 증진을 위한 노력에도 힘쓰고 있다.

 

농식품부 강형석 기획조정실장은 “활기차고 유연한 직장 분위기 조성을 통해 직원들의 근무 만족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말하며 “청년세대를 포함한 직원들과의 소통의 장을 확대해 효율적인 조직문화 조성에 적극 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붙임 1. 조직문화 개선(행복한 일터 조성) 인포그래픽

       2. 캐주얼데이 등 홍보 및 참여 사진



(농림축산식품부, 2023.10.0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3434&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0-10&endDate=2023-10-10&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470 (설명) 정부는 천연방사성제품폐기물로 인한 주민건강 피해가 없도록 안전하게 관리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37
1469 장애친화 보건의료기관 2곳 운영 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24
1468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세계보건기구(WHO) 제74차 서태평양 지역위원회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37
1467 우리 공적개발원조(ODA)의 성장과 현황을 세계와 나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0
1466 민관이 모여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28
1465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35
1464 2024년 장애인식개선교육기관 지정 계획 공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4
1463 인도네시아에 물 산업 현지 진단팀 파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1
1462 제방 등 전국 73개 국가하천 시설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2
1461 백범석 교수, 유엔 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 위원 재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2
1460 (설명) 신축 공동주택 실내 라돈 측정 신뢰도를 제고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8
1459 (설명) 대기 자가측정 허위·부실방지를 위한 전수조사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06
1458 (설명)환경부는 마포 소각장 환경영향평가를 관련 절차에 따라 면밀히 수행해 나갈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05
1457 (설명) 저소득층 대상, 2024년 가정용 친환경보일러 지원 규모 2배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07
1456 인공지능 홍수예보체계 조기에 구축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21
1455 정부, 아프가니스탄 지진 피해자를 위해 100만불 규모의 인도적 지원 제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23
1454 사회보장제도 사전협의 기본방향 심의,의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7
1453 기업의 환경·사회·투명 경영 경쟁력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06
1452 범정부 공동활용 데이터 플랫폼 구축으로, 사회보장통계 칸막이 해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19
1451 담수식물 하늘지기에서 피부개선 효능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