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터혁신 컨설팅, 연공급 완화를 통한 중소기업의 핵심인력 확보 지원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8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0-25

노사발전재단(사무총장 김대환)과 한국능률협회컨설팅(대표 한수희)10월 19일(목) 케이더블유(KW)컨벤션(대전)에서 「2023년 제11차 일터혁신 사례공유 포럼을 개최했다.

 

일터혁신 사례공유 포럼은 고용노동부와 노사발전재단이 수행하는 일터혁신 컨설팅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매월 다양한 주제로 일터혁신을 지원받고 성과가 우수한 사업장의 사례를 기업과 전문가, 컨설턴트가 함께 공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기업이 스스로 혁신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장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연공급 완화 기반의 임금체계 구축’을 주제로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수행한 두 개의 컨설팅 사례가 발표되었으며, 이후 한국노동연구원 오계택 노사관계연구본부장과 서울여자대학교 임효창 경영학과 교수, 한국표준협회 김창현 수석컨설턴트의 토론이 진행됐다.

 

정보기술(IT) 컨설팅 전문기업인 웅진(대표 윤새봄·이수영, 서울 중구 소재)은 최근 SAP ERP, 클라우드, Web/SI 분야 등 적극적으로 사업을 확장 중이지만, 연공급 기반의 임금체계로 인해 핵심 인재에 대한 동기부여 및 탄력적 보상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일터혁신 컨설팅을 통해 연공성을 완화하고 정보기술(IT) 업종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하고자 했다.

 

먼저 컨설팅팀은 직무분류 및 평가를 통해 내부 직무별 가치와 정보기술(IT) 업종 특성에 따른 임금 이슈를 파악하고, 개인별 역량향상 동기부여를 위해 직무수행 능력 수준까지 종합적으로 임금체계에 반영하여 직무 기반의 직능급 제도를 설계했다. 더 나아가 프로젝트 성과에 따라 보상을 연계하는 성과급 제도까지 마련하여 개인과 조직의 성과가 보상에 반영될 수 있도록 . 컨설팅 이후 제도 이행을 위해 노사가 함께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차년도 인건비에 반영할 예정이다.

 

전산 유지보수 및 보안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는 정보기술(IT) 기업인 유니디아(대표 이성중·이경중, 서울 영등포구 소재)2022년 일터혁신 컨설팅을 통해 호봉 테이블 중심의 임금체계를 직급별 기본급 상, 하한 범위를 설정하는 페이밴드(Pay-band)형으로 개편하여 임금 연공성을 완화한 바 있다. 이후 2023년에는 제도의 안정적인 실행을 위해 이행 컨설팅 유형을 추가로 진행했다. 근속연한에 따른 자동 승진에서 최소연한을 기준으로 평가에 따라 승진이 이루어지도록 개편하고, 직군·직무별 특성이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성과급제의 목표 달성 기준을 구체화. ㈜유니디아는 이행 컨설팅을 통해 기존 컨설팅의 충실한 실행뿐 아니라 승진과 평가 등 임금과 연계될 수 있는 다양한 이슈를 보완할 수 있었다.

 

노사발전재단 김대환 사무총장은 “최근 사회적 이슈인 중소기업의 구인난, 조용한 사직 등의 해소를 위해 임금체계의 연공성 완화는 시급하고 필수적인 과제이다라고 강조하면서, “재단은 일터혁신 컨설팅을 통해 노사협력을 기반으로 일의 가치, 능력과 성과에 따른 공정한 인사체계가 기업 내 구축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강조.

 

한국능률협회컨설팅 한수희 대표임금체계 연공성 완화한 두 사례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다른 기업들에게 좋은 모델이 되길 바라며, 임금이 기업 경쟁력에 중요한 요소인 만큼 앞으로도 이를 희망하는 기업들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고용노동부, 2023.10.1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5214&pageIndex=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0-25&endDate=2023-10-25&srchWord=&period=year

?

?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535 안전한 일상을 위한 5대 폭력 피해자 지원 개선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8
1534 4대강별 유역물관리종합계획 최초 수립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8
1533 교통·시설 등의 공공표지판 정비로 모두가 안전한 사회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1
1532 국내 최초 수소 청소차, 수도권을 누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8
1531 깨끗한 동북아 위해 한·일·중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5
1530 전기차 폐배터리 등 폐기물 7종 규제면제 대상으로 지정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9
1529 독일과 첨단산업, 탄소중립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9
1528 장관, 중남미와의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위해 칠레 등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87
1527 민관협력으로 국외 다문화가족 지원 확대 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2
1526 국제사회 기후공시 의무화 대비, 환경정보공개제도 개편안 공청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0
1525 수서생물 정보 제공으로 수돗물 관리 역량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8
1524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 재구축 운영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6
1523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 이행을 위한 추진전략 등 현안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4
1522 보건복지부 장관,동절기 대비 경로당 현장방문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3
1521 ’23~’24년 동절기 노숙인 보호 대책 수립, 시·도 담당자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3
1520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분만·소아 수가 개선에 연 3천억 원 투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36
1519 멸종위기 야생생물 나팔고둥, 혼획·유통 등 위법 행위 특별점검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27
1518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 이행을 위한 의사인력 확대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46
1517 지역 주도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환경교육도시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50
1516 녹색기후기금(GCF) 인증기구로 SK증권 승인, 기후사업에 총 7.4억불 지원 결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