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취약지역 안전하게, 기후위기 적응시설 설치지원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6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01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지자체 공모사업 평가를 통해 2024년도 기후위기 취약지역에 적응시설 설치를 위한 지원 대상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 대상은 전국 61곳 기초 지자체에서 계획 중인 82건의 기후위기 적응시설 설치 사업으로 국고 95억 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적응시설 설치 사업은 폭염한파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취약계층이 밀집한 지역의 건물 옥상이나 주변 공원, 광장 등에 차열페인트, 벽면녹화, 물입자 분무결빙지 보행로 열선 등의 설치를 지원하는 것이다.  

 

<폭염 대응 기반시설 종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08c001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9pixel, 세로 29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08c000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5pixel, 세로 28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08c001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0pixel, 세로 32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08c001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50pixel, 세로 24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08c001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5pixel, 세로 32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08c001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23pixel, 세로 122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08c000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3pixel, 세로 38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08c001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57pixel, 세로 556pixel

 차열페인트

(건물 옥상)

 차열페인트

(건물 외벽)

 차열페인트

(어린이체험장)

 벽면녹화

  (아동시설)

 벽면녹화

(다중시설)

  차열페인트

(시민광장)

 물입자 분무

  (전통시장)

 물입자 분무

(버스정류장)

 

  지원 유형으로는 △전통시장공원 등에 물입자를 분사하거나 그늘막을 조성하는 폭염대응 쉼터 조성(43.4억 원)△취약계층 밀집지역의 노후주택이나 경로당, 아동복지시설 등 공동 이용 건축물에 차열페인트 도장(17.4억 원)△결빙취약지 개선(12억 원)△소규모 공장 주변지역 적응시설 개선(8억 원)야외에서 이동하면서 일하는 근로자를 위한 이동식 폭염쉼터(2.2억 원)△물순환 회복사업 등(12억 원) 있다.

 

 

  특히이번 지원에는 폭설 및 결빙에 취약한 오르막길계단 등의 보행로에 열선이나 발열섬유를 설치하는 사업 유형이 시범적으로 추가된다.

 

  환경부는 결빙취약지 개선 효과분석을 통해 관련 사업 지원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이를 통해 겨울철 한파·결빙에 취약한 골목길 등에서 어린이나 어르신 등 취약계층 낙상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영석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취약계층은 폭염 및 한파와 같은 기후위기에 상대적으로 더 큰 피해를 입는 경향이 있다”라며“이번 지원사업이 취약계층에게 기후위기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여줄 수 있기 바라, 앞으로도 기후위기 취약계층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국가지원사업 유형을 지속적으로 찾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2024년 기후위기 취약계층?지역 지원사업 개요.

      2. 기후위기 취약계층·지역 지원사업 선정 현황.

      3. 기후위기 취약계층·지역 지원사업 설치 사례.  끝.


(환경부, 2023.10.2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5510&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0-22&endDate=2023-10-28&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35 한 총리, SK지오센트릭 재활용 클러스터 기공식 참석 열분해유 등 폐플라스틱의 고품질 재활용 활성화 주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6
1734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전문병원협회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8
1733 탄소중립 앞장서는 환경교육도시의 미래를 논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3
1732 촘촘한 홍수예보…지방하천 홍수특보지점 10배 이상 늘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3
1731 (참고자료)중부지역 수소충전소 현장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5
1730 국내 기후기술과 개도국 수요 연계(매칭)를 통해 한-개도국간 기후협력사업 기회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7
1729 아랍에미리트(UAE), 윤석열 정부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에 동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9
1728 보건복지부 제2차관, 보건의료 현안에 대해 의학계 전문학회 만나 의견 들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8
1727 중부지역 수소충전소 수급 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4
1726 기후 위기로 잦아지는 산림재난, 정부혁신으로 대응방법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7
1725 거동불편 노인 찾아가는 의료서비스,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1
1724 열에너지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새는 열에너지 ‘확’ 잡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9
1723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합동 지진해일 대응훈련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2
1722 타이어 마모입자 등 자동차 비배기 오염물질 관리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1
1721 (참고자료)영국과 무탄소에너지(CFE) 협력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4
1720 올 겨울철 대설·한파 대비 민생안전 챙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8
1719 다회용품 사용문화 정착을 위한 도시락 모임(브라운백 미팅)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8
1718 취약계층 통신요금 감면 혜택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7
1717 사회적 약자 돕는 따뜻한 문화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빛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7
1716 디지털 기술로 장애인의 전시 감상, 안무 창작 도와… 2023 문화 디지털혁신 최우수상 수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