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사회·투명 경영 의무공시 대응지원…국내외 전문가 초청 교육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0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01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은 11월 1일부터 이틀간 한국프레스센터(서울 중구 소재)에서 주요 수출기업들이 국제사회의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기업 대상 교육을 진행한다.

 

  이번 교육 주제는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중대성(Materiality)* 평가를 비롯해 온실가스 간접배출(스코프 3)** 산정의 기준과 방법 등이다반도체자동차 부품 등 공시 의무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 실무자 및 관리자 약 80명이 참석한다.

 

 *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주요 이슈를 선별하는 과정

 ** 기업의 가치사슬에서 배출되는 모든 온실가스(제품의 사용?폐기, 직원 출퇴근 등)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관한 국제표준(ISO 14064) 제정을 주도한 존 쉬들러(John C. Shideler) 퓨처패스트 대표유럽 지속가능성 공시의 중대성 평가 지침을 설계하고 있는 젬마 산체스 데인즈(Gemma Sanchez Danes)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 위원, 온실가스 간접배출(스코프 3) 표준 및 산정 전문가인 위킨퐁(Wee Kean Fong) 온실가스 프로토콜(GHG Protocol) 이사 등이 강사로 참여한다.

 

  교육 과정은 △국제사회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정보공시에서 요구하는 중대성 평가방법 이해, △재무가치 평가결과의 지속가능성 보고 활용, △유럽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 이해, △온실가스 간접배출(스코프 3) 산정방법 및 조직경계 이해 등이다‘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기회?위험 영향의 재무가치 평가와 온실가스 간접배출(스코프 3) 산정의 실제 사례를 이용한 실습 기회도 갖는다.

 

 

  최흥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환경·사회·투명 경영(ESG)과 관련한 규제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업계와 소통하면서 내실있는 교육을 제공하는 등 기업들이 규제 속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찾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글로벌 지속가능성 공시 교육’ 개요.  끝.


(환경부, 2023.10.3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7076&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5,A00012,A00019,A00013,A00032&startDate=2023-10-29&endDate=2023-10-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15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아랍에미리트에서 개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81
1814 사회복지시설 재생에너지 설치 지원을 통해 에너지 복지 구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19
1813 공공서비스부터 정책까지 국민의 더 나은 삶을 ‘디자인’ 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3
1812 한-인니, 핵심광물 연구개발 협력 가속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34
1811 보건복지부, 청년마음건강 지원사업 운영현황 점검 및 현장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9
1810 노인일자리 참여자 모집 독려 및 수행기관 종사자 격려 위한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3
1809 핵심광물 재자원화산업 육성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66
1808 1인 가구 빈곤율, 전체 가구 대비 17.8%p 높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7
1807 (참고) 고용노동부 장관, 경주시 소재 ‘교량 공사’ 붕괴 사망사고 현장에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 지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38
1806 우리나라 보건의료 질, 지속적인 개선 및 향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39
1805 ‘약자부터 촘촘하게, 지속가능한 복지국가’ 청사진 마련, 국민 의견을 듣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49
1804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 위한 노인일자리 사업 신청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42
1803 정황근 장관, 엠제트(MZ) 혁신모임 ‘농벤져스’와 만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4
1802 정지궤도 환경위성 영상으로 대기오염물질-온실가스 특성비율 비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3
1801 불가항력 분만 의료사고 보상에 대해 전액 국가 부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14
1800 인체유래물, 의료정보를 활용한 생명공학(바이오)건강(헬스) 사업화 가능성 더욱 높아집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12
1799 노인학대 관련 범죄자 취 업 실태 등 공개, 노인학대 대응체계 실효성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0
1798 국립환경과학원-태국 라차팟 대학, 대기질 연구분야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12
1797 한-영, 해사분야 상호협력 의향서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0
1796 인공지능(AI)이 안전보건연구를 도와드립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