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복지공단, 경상남도에 푸른씨앗 확산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2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16

근로복지공단(이사장 박종길, 이하 ‘공단’)은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 경남중소기업중앙회(회장 노현태)와 14일(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업무협약식을 개최하고 도내 중소기업의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제도(이하 ‘푸른씨앗’) 가입 확산에 적극 나서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세 기관이 유기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공단에서 운영하는 푸른씨앗이 경상남도 도내 중소기업에 보다 쉽게 스며들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근로자의 노후생활 보장을 강화한다는 취지에서 추진되었다.

 

오늘 협약에 따라 경상남도는 관내 시군, 관련 단체를 통한 행정정보 공유 및 홍보, 경남중소기업중앙회는 소속 회원사를 대상으로 교육 및 자료 제공, 공단은 교육 지원 등 현장 밀착형 확산 활동 진행 등으로 푸른씨앗이 도내 중소기업에 확산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공단이 작년 9월부터 운영하는 푸른씨앗은 대-중소기업 근로자의 노후소득 격차를 줄이고자 시행된 국내 최초의 공적 퇴직급여제도로, 공단이 운영하고 전담 자산운용기관(미래에셋증권, 삼성자산운용)이 전문성을 바탕으로 적립금을 안전하게 운용하고 있다.

 

특히, 시행 1년 만에 1만여 사업장, 6만여 근로자와 3천 6백억원의 적립금을 돌파하는 등 30인 이하 중소기업의 큰 관심과 사랑을 받으면서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사업주에게 근로자(최저임금 120% 미만 근로자) 퇴직연금 부담금 납입분의 10%를 국가 지원금으로 3년간 지원하고, 올해 푸른씨앗에 가입하는 경우 5년간 운영 수수료를 100% 면제되는 등 민간 퇴직연금사업자와는 차별화된 파격적인 지원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박종길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은 “경상남도는 K방산, 우주항공산업 등 미래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고, 관련 산업이 활성화된 지역으로 이번 협력을 통해 도내 30인 이하 중소기업 근로자의 푸른씨앗 도입이 확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면서 “앞으로도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푸른씨앗의 가입을 희망하거나 기존 퇴직연금에서 푸른씨앗으로 전환을 원하는 30인 이하 중소기업은 퇴직연금 고객센터(1644-0083, 1661-0075) 또는 가까운 근로복지공단에 문의하거나, 근로복지공단 퇴직연금 누리집(https://pension.comwel.or.kr)을 통해 가입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 2023.11.1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9641&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01,A00023&startDate=2022-11-16&endDate=2023-11-16&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52 정부-지자체-민간이 함께 ‘탄소중립도시’ 최적지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2
1651 소방안전교부세, 과학기술 활용한 신종재난 예측 등 재난안전 투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2
1650 실내환경관리센터 최초로 문 연다… 관리 및 정책 지원 전문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7
1649 현 정부, 첫 번째 새만금 관광개발 1,443억 민간투자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2
1648 2024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 원 자치단체별 차등배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4
1647 공공데이터 기반 사회현안 해결 아이디어 발굴 「오픈데이터포럼 해커톤」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
1646 시민참여 전국자연환경조사 화보집 배포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4
1645 3국 환경장관, 황사개선 협력 등 공동합의문 서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6
1644 보건복지부 제1차관, 동절기 대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및 경로당 현장방문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6
1643 가을 숲에서 진행된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캠페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75
1642 환경부 장관 “소상공인도 활짝 웃는 일회용품 정책 모색하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3
1641 한국형 환경정책을 바탕으로 녹색산업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3
1640 환경·사회·투명 경영(ESG)는 경제의 `덫`아닌 성장의 `발판` 인식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8
1639 2023년 장애인 건강보건 통합성과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4
1638 3국 환경장관, 동북아지역 환경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9
1637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유공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8
1636 규제혁신으로 지방의 미래를 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1
1635 일과 휴가를 동시에, 지역에서 답을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8
1634 중소기업기술마켓, 통합 플랫폼을 통해 중소기업 패키지 지원 등 제2의 도약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9
1633 「제14차 한-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 파트너십 세미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