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터혁신, 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직무·성과 중심 인사제도 도입 지원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1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27

노사발전재단(사무총장 김대환)은 11월 16일(목) 14시 R.ENA 컨벤션(서울 중구)에서 「2023년 제12차 일터혁신 사례 공유 포럼」을 개최했다.


일터혁신 사례공유 포럼은 고용노동부와 노사발전재단이 수행하는 ‘일터혁신 컨설팅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매월 다양한 주제로 일터혁신을 지원받고 성과가 우수한 사업장의 사례를 기업과 전문가, 컨설턴트가 함께 공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기업이 스스로 혁신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장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직무·성과 중심의 인사관리 방안’을 주제로 두 기업의 컨설팅 사례가 발표되었으며, 이후 동국대학교 김승용 교수와 건국대학교 홍운기 교수의 토론이 진행됐다.


첫 번째 사례를 발표한 ㈜아라리오(대표 김문수, 충남 천안시 소재)는 1986년 고속·시외버스 터미널 운영을 시작으로 현재는 백화점, 갤러리 등 도소매업과 문화예술까지 다방면의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근로자 절반이 30대이다. 최근 성과관리가 중요시되는 분위기 속에서 조직 내부의 임금·평가체계의 공정성에 대한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내부 진단 결과, 평가 공정성의 가장 큰 저해 요소는 업적평가였다. 스스로 업적을 기술하고 평가받는 ‘자기 기술 평가’ 방식 아래에서는 개인이 성과를 과장하는 등 주관적 요소가 크게 개입할 수 있다. 임금체계도 직급별 초임이 존재하지 않는 등 승진과 채용 시 임금 결정에 애로사항이 발생했다.

 

우선 평가체계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인 목표관리(MBO)제도를 설계했다. 팀 목표와 개인 직무 등 객관적 지표를 기반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면담 및 이의신청 제도를 마련하고, 피평가자가 평가 요소별 구체적인 근거를 기술하고 점수를 부여하는 ‘중요 사건 기술법’을 설계하여 절차적 공정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임금체계 또한 승진 규정과 연한을 고려한 직급별 페이밴드를 마련하고 임금구성 항목을 간소화하여 원활한 임금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아라리오는 올해 12월에 평가자 교육 및 임금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종 점검하고, 내년 1월부터 새롭게 설계된 인사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다.


두 번째 사례인 ㈜에스디에이(대표 심상범, 경기 안양시 소재)는 반도체 제조 업체로 고용노동부 강소기업과 경기도 유망 중소기업에 선정되는 등 해당 분야의 경쟁력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기업이다. 업종 특성상 품질향상을 위한 끊임없는 경쟁과 다변화하는 기술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사업확장이 매우 중요하지만, 기존 연공급 성격의 일률적 보상 제도로 인해 성과 달성과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동기부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일터혁신 컨설팅을 통해 직무별 가치에 따라 공정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직무 기반의 인사제도를 도입하고자 했다.

 

먼저 직무조사를 통해 직무별 역할과 책임에 대한 정의와 단위 업무를 명확히 하였다. 그리고 직무별 필요역량을 기준으로 직무 수준을 정의하고 등급을 4개로 분류한 뒤, 직무별 가치를 임금체계에 반영했다. 또한 직무조사를 토대로 파악한 세부 역량을 근거로 공통교육과 직무 전문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전문 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체계까지 수립했다. ㈜에스디에이는 올해 12월부터 제도 도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후에도 정기 직무분석 및 사내 강사 제도 등 직무 기반의 인사관리가 정교화될 수 있도록 변화관리를 지원할 예정이다.

?

?재단 김대환 사무총장은 “저성장과 산업 경쟁의 심화, 엠제트(MZ) 세대 및 전문인력 확보 등 다양한 내·외부적 요인으로 직무와 성과 중심 인사관리는 중소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대한 과제이다”라면서, “재단은 일터혁신 컨설팅을 통해 노사협력을 기반으로 일의 가치, 그리고 능력과 성과에 따른 공정한 인사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고용노동부, 2023.11.1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0140&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01,A00023&startDate=2022-11-27&endDate=2023-11-27&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02 화학사고로 인한 주민 건강영향조사 10년간의 경험, 세계에 알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4
2001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실현하는 관광 미래전략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6
2000 미세먼지법 등 5개 환경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62
1999 장기요양 재가수급자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IP) 지원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47
1998 하천사업 추진시 환경영향을 충실히 검토하여 진행할 계획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8
1997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유엔개발계획(UNDP)과의 전략적 협력 강화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0
1996 2023년 장애인복지사업 우수지자체·유공자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1
1995 보건복지부, 일선 현장 사회복지종사자 격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0
1994 보건복지부,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현황 점검 및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3
1993 지역사회공헌 인정 기업?기관 531개소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64
1992 대전 대덕구, 제주 서귀포시, 부산 기장군 ‘2023년 보육정책 우수 지자체’ 대상 영예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65
1991 겨울철 건설현장 양생작업 중 3대 안전보건 수칙 준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27
1990 전기자동차 사용후 배터리 전주기 표준화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39
1989 장애인 고용의무 불이행 기관·기업 457개소 명단공표 비회원 2023-12-20 339
1988 해상풍력 보급 대폭 확대, 가격경쟁도 본격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9
1987 대·중소기업의 함께 성장 대한민국에 울려 퍼지는 납품대금 연동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48
1986 민간과 지역주도로 지속가능한 상권 조성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9
1985 장애인고용공단, ‘직무개발 성과공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97
1984 개도국 소재 섬유·의류 기업, 글로벌 노동·통상 규범 동향 면밀 모니터링 및 선제적 대응 필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30
1983 소규모 재생에너지 계통접속제도 개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