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부산물 재활용 활성화 의견 듣는다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2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27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2023년 11월 23일(목)부터 24일(금)까지 경남 통영시 스탠포드호텔앤리조트에서 지자체, 유관기관 및 관련 업계와 함께 ‘수산부산물* 재활용 활성화 연수회(워크숍)’를 진행한다.

 

* 수산물의 포획·채취·양식·가공·판매 등의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한 물질(껍질, 뼈 등)

 

2022년 7월부터 ?수산부산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그간 폐기물로 취급되었던 조개류의 껍데기(굴, 바지락, 전복, 키조개, 홍합, 꼬막의 껍데기)를 석회석 대체재, 의약품의 원료, 화장품 원료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굴 껍데기를 원료로 한 자기, 세안제, 슬리퍼, 타일, 반려동물 영양제 등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면서 수산부산물 재활용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이번 연수회(워크숍)에서는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수산부산물 재활용 산업’이라는 주제 아래, 수산부산물 재활용과 관련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해양수산부, 지자체 등 정책 담당자 외에도 양식어업인, 수산부산물 처리업계 등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여 현장에서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함께 이야기할 계획이다. 아울러, 참석자들은 굴 껍데기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인 통영의 굴 양식어가와 재활용 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수산부산물 재활용 관계자들이 처음으로 함께 모이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된 만큼, 이번 연수회(워크숍)에서 더욱 의미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길 바란다.”라며,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수산부산물 재활용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들을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 2023.11.2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1059&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01,A00023&startDate=2022-11-27&endDate=2023-11-27&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55 환경기술개발 미래전략 논의를 위한 첫걸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2
1654 복지부 제1차관, 약자 복지강화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9
1653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보건의료수요자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3
1652 정부-지자체-민간이 함께 ‘탄소중립도시’ 최적지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2
1651 소방안전교부세, 과학기술 활용한 신종재난 예측 등 재난안전 투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1
1650 실내환경관리센터 최초로 문 연다… 관리 및 정책 지원 전문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7
1649 현 정부, 첫 번째 새만금 관광개발 1,443억 민간투자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5
1648 2024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 원 자치단체별 차등배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6
1647 공공데이터 기반 사회현안 해결 아이디어 발굴 「오픈데이터포럼 해커톤」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8
1646 시민참여 전국자연환경조사 화보집 배포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4
1645 3국 환경장관, 황사개선 협력 등 공동합의문 서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5
1644 보건복지부 제1차관, 동절기 대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및 경로당 현장방문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6
1643 가을 숲에서 진행된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캠페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3
1642 환경부 장관 “소상공인도 활짝 웃는 일회용품 정책 모색하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1
1641 한국형 환경정책을 바탕으로 녹색산업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2
1640 환경·사회·투명 경영(ESG)는 경제의 `덫`아닌 성장의 `발판` 인식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6
1639 2023년 장애인 건강보건 통합성과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2
1638 3국 환경장관, 동북아지역 환경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7
1637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유공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9
1636 규제혁신으로 지방의 미래를 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