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사회·투명 경영(ESG)는 경제의 `덫`아닌 성장의 `발판` 인식해야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8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27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회장 이경호)는 11 2일 오후 인터컨티넨탈서울코엑스(서울 강남구 소재)에서 제5회 지속가능기업혁신 토론회(포럼)’을 공동으로 개최한다.

 

  2019년부터 시작된 이 행사는 매년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시의적절한 주제를 선정하여 민간과 정부가 창의적 해법을 논의하는 자리가 되어 왔다.

 

  올해는 환경·사회·투명 경(ESG) 공시,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국제적인 환경·사회·투명 경(ESG) 규제 도입에 따라, 온실가스 간접배출(스코프 3)*, 탄소포집저장(CCS) 등 국제사회의 선도 사례를 중심으로 해외 연사를 초청하여 토론회(포럼)를 마련했다.

기업의 가치사슬에서 배출되는 모든 온실가스(제품의 사용 및 폐기직원 출퇴근 등)

 

  특히 해외 선진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환경·사회·투명 경(ESG) 경영에 나서고자 하는 국내 기업들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여 토론회를 구성했다.

 

  이러한 기업들의 관심을 반영하듯 김상협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장을 비롯해 국내외 기업 대표이사국제기구 관계자주한외국공관 대사 등 500여 명이 행사에 참여할 예정이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개회사에서 경제의 새로운 언어가 ‘기후와 탄소’로 바뀌고 있다고 전제하고앞으로 기업들은 “돈을 얼마나 벌었는지에서 어떻게 벌었는지가 중요해지는 시대가 되었다”라며,

 

 

  “환경·사회·투명 경(ESG)가 더 이상 기업 경영의 덫이 아니라 성장의 발판이라는 새로운 사고로 무장해야 한다”라고 강조할 예정이다.

 

  아울러 임상준 차관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강제하는 규제의 방식으로는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라며“기존의 판에 박힌 관행적 지원이 아니라 정부의 어떤 행동(액션), 어떤 지원들이 우리 기업에 도움이 될지를 더욱 치열하게 고민할 것”이라고 밝힐 예정이다.

 

붙임  1. 행사 개요.

      2. 주요 참석자 명단.  .


(환경부, 2023.11.0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7678&pageIndex=2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01&endDate=2023-11-26&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52 정부-지자체-민간이 함께 ‘탄소중립도시’ 최적지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2
1651 소방안전교부세, 과학기술 활용한 신종재난 예측 등 재난안전 투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2
1650 실내환경관리센터 최초로 문 연다… 관리 및 정책 지원 전문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7
1649 현 정부, 첫 번째 새만금 관광개발 1,443억 민간투자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2
1648 2024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 원 자치단체별 차등배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4
1647 공공데이터 기반 사회현안 해결 아이디어 발굴 「오픈데이터포럼 해커톤」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
1646 시민참여 전국자연환경조사 화보집 배포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4
1645 3국 환경장관, 황사개선 협력 등 공동합의문 서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6
1644 보건복지부 제1차관, 동절기 대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및 경로당 현장방문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7
1643 가을 숲에서 진행된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캠페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75
1642 환경부 장관 “소상공인도 활짝 웃는 일회용품 정책 모색하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3
1641 한국형 환경정책을 바탕으로 녹색산업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4
1640 환경·사회·투명 경영(ESG)는 경제의 `덫`아닌 성장의 `발판` 인식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8
1639 2023년 장애인 건강보건 통합성과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4
1638 3국 환경장관, 동북아지역 환경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9
1637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유공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9
1636 규제혁신으로 지방의 미래를 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2
1635 일과 휴가를 동시에, 지역에서 답을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8
1634 중소기업기술마켓, 통합 플랫폼을 통해 중소기업 패키지 지원 등 제2의 도약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9
1633 「제14차 한-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 파트너십 세미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