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숲에서 진행된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캠페인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7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27

외교부와 산림청은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캠페인Plant Our Planet (POP)환으로 숲 체험 행사를 11월 3일 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에서 개최하였다이번 행사는 주한외교단과 외교부 코리아즈(KOREAZ) 명예기자단대한민국 알리미주한미국대사관 아카데미(ADHA), 국내 대학생 등 국내외 청년들이 참가하였다.

  ※「POP」캠페인 : 참가자들이 메타버스 가상공간에 나무를 심으면 현실 세계와 연계하여 실제로   나무가 심어지는 창의적인 방식으로 기후위기 대응 메시지 전파. 동 캠페인을 통해 한국, 몽골, 인도네시아, 베트남, 타지키스탄, 파라과이 등의 나라에서 약 5천 그루의 나무가 심어짐.

 

  홍석인 외교부 공공외교대사는 개회사에서 올해는 한국전쟁 정전 70주년이며, 70년전 ‘민둥산’ 투성이였던 대한민국은 이제 전국에 울창한 숲이 가득한산림조성과 기후위기 대응 선진국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외교부는 가상세계(메타버스)에서 전세계 2억 명이 참여한 이번「POP」캠페인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보편적 가치와 국제사회의 연대를 위한 공공외교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 하였다.

 

  한편, 박은식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환영사에서 올해는 산림녹화 50주년이 되는 해로서 산림청은 숲으로 잘사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또한오늘 참가한 각국 주한 대사와 외교단대학생 들이 숲 해설목공예 등 숲을 활용한 체험활동을 통해 산림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펭에란 하자 누리야(Pengiran Hajah Nooriyah) 주한브루나이대사는  참석 외교단을 대표하여 답사에서 외교부가 진행하는「POP」캠페인에  대해 공감을 표하였다.

 

 

  외교부와 산림청은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캠페인을 연중 진행하고 있다. 봄에는 지난 4월 파주에서 나무심기 행사를, 가을을 맞아 이번 행사를 개최하고 기후위기 대응 노력은 나무심기에서 끝나지 않고 계속적인 숲 가꾸기가 뒤따라야 한다는 점을 알리고자 한다.

 

 

 

 붙임 : 1. 행사 사진

        2. 참고 사진(4월 파주).  .


(외교부, 2023.11.0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7866&pageIndex=27&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01&endDate=2023-11-26&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49 현 정부, 첫 번째 새만금 관광개발 1,443억 민간투자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2
1648 2024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 원 자치단체별 차등배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3
1647 공공데이터 기반 사회현안 해결 아이디어 발굴 「오픈데이터포럼 해커톤」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
1646 시민참여 전국자연환경조사 화보집 배포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4
1645 3국 환경장관, 황사개선 협력 등 공동합의문 서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6
1644 보건복지부 제1차관, 동절기 대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및 경로당 현장방문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6
1643 가을 숲에서 진행된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캠페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75
1642 환경부 장관 “소상공인도 활짝 웃는 일회용품 정책 모색하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3
1641 한국형 환경정책을 바탕으로 녹색산업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2
1640 환경·사회·투명 경영(ESG)는 경제의 `덫`아닌 성장의 `발판` 인식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8
1639 2023년 장애인 건강보건 통합성과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4
1638 3국 환경장관, 동북아지역 환경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9
1637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유공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4
1636 규제혁신으로 지방의 미래를 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0
1635 일과 휴가를 동시에, 지역에서 답을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7
1634 중소기업기술마켓, 통합 플랫폼을 통해 중소기업 패키지 지원 등 제2의 도약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7
1633 「제14차 한-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 파트너십 세미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70
1632 소아의료체계 강화를 위한 지원대책 설명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76
1631 서울대학교병원 넥슨어린이통합케어센터 개소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68
1630 지역사회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민·관 논의의 장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