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총리, SK지오센트릭 재활용 클러스터 기공식 참석 열분해유 등 폐플라스틱의 고품질 재활용 활성화 주문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3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27

□ 한덕수 국무총리는 11월 15(오후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 내 부곡용연지구에서 개최된 SK지오센트릭의 ARC(Advanced Recycling Cluster) 기공식에 참석했다.

 

 ㅇ 한 총리의 이번 방문은 순환경제로의 전환이 탄소중립의 핵심 수단임을 부각하고대표적 순환자원인 폐플라스틱 재활용의 중요성을 환기하기 위함이다.

 

 ㅇ ARC는 세계 최초로 폐플라스틱의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열분해 및 후처리해중합초임계 용매 추출)을 집약한 플라스틱 재활용 클러스터로 총투자비 약 1.8조원 규모이며 연간 약 32만톤의 폐플라스틱이 처리될 전망이다.

 

□ 한 총리는 기공식 축사에서 “순환경제는 새로운 경제질서이며 플라스틱은 순환경제 전환의 핵심 가운데 하나”라며“정부는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탈플라스틱 사회의 기반을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ㅇ 또한 “정부는 R&D와 산업 육성을 지원하여 플라스틱이 화학산업의 원료로 재활용되기 위한 환경을 마련하고순환경제 구축에 앞장서는 기업에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이라 밝혔다.

 

 

 

□ 기공식 후에는 환경부산업부울산시한국환경연구원그리고 SK지오센트릭을 비롯한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 관련 기업들이 참석하는 간담회를 열고정부?지자체의 정책지원 현황과 업계 관계자들의 애로사항을 논의했다. 

 

【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기업 간담회 

 

 

 

시간/장소: 11. 15.(), 16:10~ / SK 울산 Complex

 

참석국무총리국무2차장울산시장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산업부 산업정책실장한국환경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 SK지오센트릭, LG화학롯데케미칼(), GS칼텍스, HD현대오일뱅크㈜한화㈜에코비트㈜삼양패키징 등

 

 ㅇ 이날 기업 간담회에서 SK지오센트릭, LG화학롯데케미칼(), GS칼텍스HD현대오일뱅크, ㈜한화, ㈜에코비트, ㈜삼양패키징 등 관련기업들 대부분이 폐플라스틱 원료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고그 수단으로서 수거?선별체계의 개선 및 고도화 필요성을 제시했다.

 

 ㅇ 그 밖에도 설비투자에 대한 정부 예산?융자 지원 및 투자세액공제 연장전주기 평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산정 및 인증 기준 마련폐플라스틱 재활용 신기술?신사업 관련 규제 완화와 인허가 간소화영세업체에서 선별 후 잔재물로부터 폐플라스틱 추가 선별시 보조금 지급 등을 건의했다.

 

 ㅇ 이에 환경부와 산업부는 선별시설을 고도화하고, R&D를 적극 지원하며폐플라스틱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관계부처-산업계 협의체를 구성?운영하는 등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수단을 마련하고 관련 제도와 규제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했다.

 

□ 한 총리는“앞으로 플라스틱의 지속가능한 선순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화학적 재활용의 비중을 계속해서 높여가야 할 것”이라며,“오늘 제기된 여러 의견을 토대로 탈플라스틱 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ㅇ 또한 폐플라스틱 활용이 순환경제로의 전환에 핵심 수단으로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지자체 및 기업?연구기관들의 노력과 선도적 실천을 당부했다


(환경부, 2023.11.15.)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9926&pageIndex=1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01&endDate=2023-11-26&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71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 키운다…우수 녹색 새싹기업 성과 발표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2
1770 보건복지부,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중소병원협회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86
1769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으로 국민건강 보호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76
1768 보건복지부, 효과적 재난 및 다수사상자 사고 대응 위한 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매뉴얼 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86
1767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사회공헌 일환 문화예술 행사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67
1766 중부·남부 지역 한파특보에 따른 살얼음 대비 등 안전관리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73
1765 2023년 노숙인 복지 종사자 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99
1764 필수약제 공급 지원을 위한 약가 인상 및 중증질환 치료제 보장성 강화 비회원 2023-11-30 191
1763 두바이에서 우리 녹색기술과 기후대응 노력 알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91
1762 동물실험 연구자 보호를 위한 안전 가이드 나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0
1761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녹색 신산업 육성을 통해 대한민국 신성장 동력을 창출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0
1760 과기정통부, 디지털 중심 탄소중립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91
1759 겨울철 복지 위기가구 발굴을 위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17
1758 물분야 전문가 모여 기후위기 적응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1
1757 재정융자·대환대출·채무조정·신용보증 등 소상공인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충분한 정보제공·안내도 병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40
1756 국립소록도병원, 문화소외계층 지원을 위한 한센병박물관 운영 활성화 협력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97
1755 환경부 장관 “김포 거물대리, 환경재생단지로 주민건강과 지역발전 함께 해결하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7
1754 촘촘한 위기가구 발굴과 두터운 지원으로 우리 이웃의 따뜻한 겨울나기를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15
1753 일상 속 현장에서 국민과 함께 민생규제 혁파와 민생안정 대책을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93
1752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대국민 공청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