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총리, SK지오센트릭 재활용 클러스터 기공식 참석 열분해유 등 폐플라스틱의 고품질 재활용 활성화 주문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4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27

□ 한덕수 국무총리는 11월 15(오후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 내 부곡용연지구에서 개최된 SK지오센트릭의 ARC(Advanced Recycling Cluster) 기공식에 참석했다.

 

 ㅇ 한 총리의 이번 방문은 순환경제로의 전환이 탄소중립의 핵심 수단임을 부각하고대표적 순환자원인 폐플라스틱 재활용의 중요성을 환기하기 위함이다.

 

 ㅇ ARC는 세계 최초로 폐플라스틱의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열분해 및 후처리해중합초임계 용매 추출)을 집약한 플라스틱 재활용 클러스터로 총투자비 약 1.8조원 규모이며 연간 약 32만톤의 폐플라스틱이 처리될 전망이다.

 

□ 한 총리는 기공식 축사에서 “순환경제는 새로운 경제질서이며 플라스틱은 순환경제 전환의 핵심 가운데 하나”라며“정부는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탈플라스틱 사회의 기반을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ㅇ 또한 “정부는 R&D와 산업 육성을 지원하여 플라스틱이 화학산업의 원료로 재활용되기 위한 환경을 마련하고순환경제 구축에 앞장서는 기업에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이라 밝혔다.

 

 

 

□ 기공식 후에는 환경부산업부울산시한국환경연구원그리고 SK지오센트릭을 비롯한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 관련 기업들이 참석하는 간담회를 열고정부?지자체의 정책지원 현황과 업계 관계자들의 애로사항을 논의했다. 

 

【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기업 간담회 

 

 

 

시간/장소: 11. 15.(), 16:10~ / SK 울산 Complex

 

참석국무총리국무2차장울산시장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산업부 산업정책실장한국환경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 SK지오센트릭, LG화학롯데케미칼(), GS칼텍스, HD현대오일뱅크㈜한화㈜에코비트㈜삼양패키징 등

 

 ㅇ 이날 기업 간담회에서 SK지오센트릭, LG화학롯데케미칼(), GS칼텍스HD현대오일뱅크, ㈜한화, ㈜에코비트, ㈜삼양패키징 등 관련기업들 대부분이 폐플라스틱 원료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고그 수단으로서 수거?선별체계의 개선 및 고도화 필요성을 제시했다.

 

 ㅇ 그 밖에도 설비투자에 대한 정부 예산?융자 지원 및 투자세액공제 연장전주기 평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산정 및 인증 기준 마련폐플라스틱 재활용 신기술?신사업 관련 규제 완화와 인허가 간소화영세업체에서 선별 후 잔재물로부터 폐플라스틱 추가 선별시 보조금 지급 등을 건의했다.

 

 ㅇ 이에 환경부와 산업부는 선별시설을 고도화하고, R&D를 적극 지원하며폐플라스틱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관계부처-산업계 협의체를 구성?운영하는 등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수단을 마련하고 관련 제도와 규제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했다.

 

□ 한 총리는“앞으로 플라스틱의 지속가능한 선순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화학적 재활용의 비중을 계속해서 높여가야 할 것”이라며,“오늘 제기된 여러 의견을 토대로 탈플라스틱 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ㅇ 또한 폐플라스틱 활용이 순환경제로의 전환에 핵심 수단으로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지자체 및 기업?연구기관들의 노력과 선도적 실천을 당부했다


(환경부, 2023.11.15.)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9926&pageIndex=1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01&endDate=2023-11-26&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49 현 정부, 첫 번째 새만금 관광개발 1,443억 민간투자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5
1648 2024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 원 자치단체별 차등배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7
1647 공공데이터 기반 사회현안 해결 아이디어 발굴 「오픈데이터포럼 해커톤」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8
1646 시민참여 전국자연환경조사 화보집 배포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4
1645 3국 환경장관, 황사개선 협력 등 공동합의문 서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5
1644 보건복지부 제1차관, 동절기 대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및 경로당 현장방문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6
1643 가을 숲에서 진행된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캠페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3
1642 환경부 장관 “소상공인도 활짝 웃는 일회용품 정책 모색하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1
1641 한국형 환경정책을 바탕으로 녹색산업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2
1640 환경·사회·투명 경영(ESG)는 경제의 `덫`아닌 성장의 `발판` 인식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6
1639 2023년 장애인 건강보건 통합성과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2
1638 3국 환경장관, 동북아지역 환경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7
1637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유공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9
1636 규제혁신으로 지방의 미래를 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
1635 일과 휴가를 동시에, 지역에서 답을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7
1634 중소기업기술마켓, 통합 플랫폼을 통해 중소기업 패키지 지원 등 제2의 도약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2
1633 「제14차 한-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 파트너십 세미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79
1632 소아의료체계 강화를 위한 지원대책 설명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9
1631 서울대학교병원 넥슨어린이통합케어센터 개소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79
1630 지역사회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민·관 논의의 장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