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중기부, 다회용품 사용문화 한뜻… 소상공인과 토론회 개최

담당부서 : 환경부


  • 비회원
  • 0
  • 22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30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11월 20일 서울 강남구에 소재한 한 커피전문점에서 양부처가 힘을 모아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고 다회용품 사용문화를 안착시키는 방안을 논의하는 ‘도시락 토론회(브라운백 미팅*)’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간단한 점심 식사를 곁들인 토론모임을 뜻하며 샌드위치와 같은 음식을 싼 종이가 갈색(Brown)이라는 데서 유래함

 

  이날 자리에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과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비롯해 오세희 소상공인연합회장강석우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상근부회장고장수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 이사장 등 소상공인 협·단체장과 음식점이나 카페를 경영하는 소상공인들도 함께 참여한다소상공인 관계자들은 이날 회의에서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지난 11월 7일 소상공인들의 경영부담을 해소하고 국민의 자발적 참여로 일회용품을 감량하는 방향의 ‘일회용품 관리방안’을 발표하고이를 위한 소상공인 매장 지원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업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앞으로 현장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기 위한 구체적인 혜택(인센티브방안과 대체품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방안 도출 등 해결과제들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에 환경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환경보호와 소상공인 경영부담 완화’라는 두 정책목표를 조화롭게 추진하기 위해 함께 손잡고 정책과제들을 해결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날 회의에서는 먼저 일회용품을 성실히 감축한 우수매장들에 각종 혜택(인센티브) 부여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환경부가 다회용품 사용 우수매장을 지정하고중소벤처기업부가 소상공인 정책자금상 우대금리를 적용하는 등 금융지원을 연계하는 방안이 제시될 예정이다. 또한 환경부는 다회용기 보급 지원사업으로 다회용기와 식기세척기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어서 대체품 제조업체들이 안정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들도 논의된다. 환경부는 종이빨대 업계 등의 요청사항인 판로 유지를 위해 기존에 대체품을 사용하던 매장들의 안정적인 수요 확보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중소벤처기업부는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매출이 감소한 대체품 제조업체들에게 내년도 경영애로자금을 지원하고·장기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판로개척, 공정효율화, 기술개발 등을 연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소상공인과 대체품 제조업체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도 추가로 이뤄질 예정이다소상공인연합회(회장 오세희)는 보다 많은 소상공인들이 일회용품 절감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공동구매 확산 등을 유도하기로 하였으며,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이사장 고장수)은 이번 주부터 순차적으로 대체품빨대의 업체별 공동구매를 실시하고다음 달 구축될 ‘협동조합 쇼핑몰’에 별도 수수료 없이 다회용품 생산업체를 입점시킬 계획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양부처가 힘을 모은 이번 개선방안 논의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소상공인들의 상황을 해소하고자 마련한 것”이며“일회용품 감량이라는 환경정책의 목표를 달성하면서 소상공인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의 부담을 해소하고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소상공인 경영부담 완화와 환경보호가 서로 배척되는 목표가 아니라, 조화롭게 추진할 수 있는 정책목표임을 확인한 뜻깊은 자리”라며“환경부에서 어려운 결정을 내린 만큼중기부도 가용한 정책수단을 동원하여 소상공인의 자발적인 일회용품 감축을 이끌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환경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자리를 부처 간 협업의 첫 발걸음으로 삼아이날 논의된 과제들을 구체화하여 다회용품 사용문화 정착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붙임  행사(브라운백 미팅개요.  .


(환경부, 2023.11.2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0573&pageIndex=10&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01&endDate=2023-11-27&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75 대전환의 시대, 북극 협력의 새로운 길 모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0
1874 전기이륜차! 충전 대기시간 없이 달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77
1873 이주배경청소년의 촘촘한 사회안전망 함께 만들어 가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69
1872 다양한 노무제공자를 위한 공정하고, 안전한 일터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3
1871 (참고자료)수소 저장·운송 산업 생태계 기반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74
1870 새싹삼 지능형 농장(스마트팜) 통해 발달장애인과 가족의 경제적 자립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356
1869 청년 일경험, 올 한해 소중한 결실 한데 모아 「미래내일 일경험 콘퍼런스」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74
1868 울산 신항배후단지 친환경에너지 특화구역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9
1867 세계에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 알리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0
1866 공공기관 태양광 겸직비위자, 최대 해임 등 엄정조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1
1865 수소업계와 정부, 소통을 위해 한 자리에 모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32
1864 중소벤처기업의 탄소중립(GX*)을 위한 금융권 민-관 협력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27
1863 “다시 시작하는 중장년을 응원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24
1862 고용노동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가 지역 청년 취업 여정에 동행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21
1861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53
1860 「장애인기업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66
1859 119조원 규모 공공구매 실효성 제고방안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1
1858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계기, 녹색해운 및 블루카본 관련 국제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54
1857 취약계층 따뜻한 겨울나기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800
1856 유럽연합(EU) 환경규제 대응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