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남부 지역 한파특보에 따른 살얼음 대비 등 안전관리 강화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7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30

 행정안전부는 오늘(23) 21시를 기해 중부·남부 일부 지역에 한파특보가 발표될 예정임에 따라 한파 위기관리 매뉴얼에 따라 위기경보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에서는 되도록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부득이 외출시에는 방한용품을 착용하며동파사고 예방을 위해 수도계량기·수도관·보일러 배관 등을 보온토록 당부했다.

 

 ○ 또한 기온 급강하에 따른 농·수산물 냉해 방지를 위해 비닐하우스·양식장을 보온 조치하고, 축사·양식장에 대해 방풍시설을 설치하도록 안내했다.

 

  

■ (한파경보, 2개 구역) : 강원특별자치도(태백시, 정선군평지)

 

■ (한파주의보, 42개 구역) : 서울특별시(동남권동북권서남권서북권), 부산광역시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 강화군), 울산광역시경기도(광명시과천시안산시시흥시부천시김포시동두천시, 포천시고양시양주시의정부시파주시수원시성남시안양시구리시남양주시오산시평택시군포시의왕시하남시용인시안성시화성시광주시), 강원특별자치도(횡성군화천군춘천시), 경상북도(영덕군, 울진군평지, 포항시, 경주시)

 

□ 한편, 기상청 전망에 따르면 내일(24일) 새벽부터 아침 사이 전국에 5㎜ 이하의 비가 내리고, 충청·전라권에는 1~3㎝ 내외의 눈이 내릴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행정안전부는 국토교통부한국도로공사지자체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대책회의를 오늘(23일) 16시에 개최하였다.

 

 

 

 ○ 새벽 전국적으로 영하권으로 기온이 급감함이 예상됨에 따라 밤과 새벽 사이에 내린 비와 눈이 얼어붙어 도로살얼음 위험성이 크므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할 것을 지시하였다.

 

 ○ 또한, 적은 양의 눈에도 출근길 혼잡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설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황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였다.

 

□ 김광용 자연재난실장은 “급감하는 온도로 비와 눈이 내릴 경우 출근길 교통혼란이 예상된다”라고 우려하면서,

 

  ○ “정부는 관계기관 간 긴밀히 협조하여 한파와 대설로 인한 국민 불편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설작업과 취약계층 안전관리를 철저히 조치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파시 국민행동요령 >

 

 

 

 

- 노약자, 영유아 등을 위해 난방과 온도관리에 유의합니다.

- 외출 시에는 동상에 걸리지 않도록 보온에 유의합니다.

- 동상에 걸리면따뜻한 물에 30분 가량 담그고 온도를 유지하며 즉시 병원으로 갑니다.

- 수도계량기, 보일러 배관 등은 헌 옷 등으로 보온합니다.

- 장기간 외출 시 온수를 약하게 틀어 동파를 방지합니다.

- 양식장에 월동장을 설치하고, 방풍망을 준비합니다.

 

(행정안전부, 2023.11.2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1395&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01&endDate=2023-11-27&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51 산업계 화학물질 분류표시 이행 돕는다… 표시정보 자동 작성 프로그램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0
1750 과학관과 수목원 등에도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의무 적용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87
1749 「장애인건강권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11. 21.)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17
1748 제10회 대학생 물환경 공모전 최종 발표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95
1747 바이오서밋 계기 보건의료분야 국제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8
1746 보건복지부,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의학계 의견 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8
1745 환경부-중기부, 다회용품 사용문화 한뜻… 소상공인과 토론회 개최 비회원 2023-11-30 219
1744 온 국민이 체감하는 사회서비스, 국민 의견에서 시작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89
1743 환경부 장관, “현장 목소리 귀담아듣고 어린이 환경보건정책 세심히 살피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352
1742 유망 환경기업 13개사 우수환경산업체로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93
1741 자립장애인 입주 주택과 일자리 연계 상황 점검 및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5
1740 「2023 개발협력주간(11.20.-11.24.)」 행사 개최 미래를 위한 나눔, 함께하는 대한민국 : 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52
1739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전주기 관리 발전 방향 모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334
1738 생물분류 전문성 높인다… 현장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수료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6
1737 2023년 장기요양사업 평가 우수기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2
1736 문화관광축제에서 지역균형발전의 열쇠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9
1735 한 총리, SK지오센트릭 재활용 클러스터 기공식 참석 열분해유 등 폐플라스틱의 고품질 재활용 활성화 주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7
1734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전문병원협회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7
1733 탄소중립 앞장서는 환경교육도시의 미래를 논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9
1732 촘촘한 홍수예보…지방하천 홍수특보지점 10배 이상 늘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