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황사 등 동북아 환경문제 대응을 위한 역내 국가들간 협력을 가속화한다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2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30

지난 30년간 동북아 지역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해온 동북아 6개국 정부간 협의체인 동북아환경협력계획(NEASPEC) 26차 고위급회의(SOM)가 11월 23일과 24일 이틀간 의장국인 우리나라의 주재(윤현수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하에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 NEASPEC(North-East Asian Subregional Programme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은 우리나라 주도로 1993년 출범한(북한 등 6개 회원국동북아 지역 환경 문제 관련 협력을 위한 역내 유일의 포괄적 정부간 환경 협의체 

 

  코로나19로 인해 2019년 이후 처음으로 대면 방식으로 개최된 금번 회의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등 5개국 대표단과 유엔 아태경제사회위원회(UN ESCAP) 본부 및 동북아지역사무소(동북아환경협력계획 사무국 역할 수행) 등 국제기구 관계자 40여명이 참석하였다.

 

  의장 자격으로 금번 회의를 주재한 윤현수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은 동북아환경협력계획이 대기오염 등 5대 협력 분야에서 포괄적인 동북아 환경 협력체로서 발전해 왔음을 평가하고회원국들이 새로운 협력 분야를 적극 모색하고기여를 확대하여 동북아환경협력계획이 더욱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

 

 

  회원국들은 △대기오염△자연보전 및 생물다양성△해양보호구역△저탄소도시△사막화 및 토지 황폐화 등 5대 협력 분야별로 진행 중인 동북아환경협력계획 사업·활동을 점검하고분야별 발전 방안과 각 회원국의 기여 확대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특히 동북아환경협력계획 출범 30주년을 기념하여 회원국들은 금번 회의에서 ‘동북아시아 환경협력 촉진을 위한 기념 선언문(NEASPEC Commemorative Statement on Promoting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을 채택하였다동 선언문에서 회원국들은 기존 협력 사업?활동?플랫폼의 진전을 가속화 하기 위해 동북아환경협력계획의 조정 및 의사 결정 과정을 최적화하고과학과 정책간 연계를 촉진하기로 하였다또한동북아환경협력계획의 역내 환경 문제에 대한 기여를 강화하기 위해 이해관계자와의 파트너십을 확대하고효과적인 대응이 필요한 새로운 협력 분야를 모색해 나가기로 하였다아울러동북아환경협력계획 사업?활동의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해 SOM 체계를 더욱 강화하고회원국들의 자발적 기여를 독려하기로 하였다

 

  우리 정부 대표단은 우리나라의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내적 노력을 소개하고지난 10월 출범한 무탄소연합(Carbon Free Alliance)를 통해 원전수소 등 무탄소 에너지의 활용을 촉진하여 국제사회의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하였다또한 동북아청정대기파트너십(NEACAP)*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역내 대기오염 대응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재 진행 중인 정책?기술 협력 활동의 성과를 평가하고조속한 시일 내 과학 분야 협력으로 발전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North-East Asia Clean Air Partnership : 동북아 역내 대기오염 공동 대응 협력체로 2018.10월 공식 출범, NEASPEC 틀 안에서 정책?기술?과학 협력 활동 수행

 

  한편금번 회의에 앞서 개최된 동북아환경협력계획 30주년 기념 행사에서 회원국 정부 대표와 협력 분야별 전문가들은 동북아환경협력계획이 역내 유일한 포괄적 환경 협의체로서 지난 30년간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고 평가하고향후 동북아환경협력계획의 발전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였다.   

 

 

  금번 회의를 통해 미세먼지와 황사 등 월경성 환경 문제에 대한 동북아 역내 대응 노력을 주도해온 우리 정부의 리더십을 재확인하였으며그간 코로나19 등으로 진전에 어려움이 있었던 동북아 환경협력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붙 임 : 1. 26차 동북아환경협력계획 고위급회의/30주년 기념행사 프로그램

        2. 26차 동북아환경협력계획 고위급회의/30주년 기념행사 사진

        3. 동북아환경협력계획 30주년 기념 선언문.  .


(외교부, 2023.11.2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1569&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01&endDate=2023-11-27&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90 약자보호, 법치확립으로 노동개혁을 뒷받침하는 근로감독을 추진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321
1889 사업장 비상상황에 미리 대비하여 자신과 동료의 생명을 지키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311
1888 한국고용정보원, 지역 사회공헌 선도 기관으로 도약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97
1887 원전 중소·중견 기업 ‘돈 걱정’ 사라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7
1886 부산항 인근 바닷속 쓰레기 수거로 깨끗한 항만과 바다를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64
1885 고용노동부, 고용허가제 주요 정책사항 공유 및 협력을 위한 주한송출국 대사관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92
1884 공정한 노동시장, 차별없는 일터 조성 비정규직 근로자 차별 예방 가이드라인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92
1883 (설명자료)‘한국식 무탄소에너지’는 없습니다. 세계 주요국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322
1882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상생결제 확산의 날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76
1881 산재 근로자 최고의 복지는 ‘보다 빠른 사회복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90
1880 중소규모 사업장, 안전일터 조성 우리도 할 수 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73
1879 개방형 혁신 확산을 위한 성과공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57
1878 ’23년 불공정거래신고센터 운영협의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91
1877 항만 내 탈탄소를 위한 기술기준 등 마련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86
1876 하천으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 줄이기 위해 관계부처-공공기관 함께 대책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309
1875 대전환의 시대, 북극 협력의 새로운 길 모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36
1874 전기이륜차! 충전 대기시간 없이 달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73
1873 이주배경청소년의 촘촘한 사회안전망 함께 만들어 가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65
1872 다양한 노무제공자를 위한 공정하고, 안전한 일터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39
1871 (참고자료)수소 저장·운송 산업 생태계 기반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