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복지사업 업무 편의 증진을 위한 오픈마켓 플랫폼 확대 운영 추진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0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30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 시행하는 복지사업* 업무 편의 증진을 위해 2024년부터 오픈마켓 플랫폼 확대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 (지자체 복지사업지방자치단체 조례에 근거하여 자체 예산으로 운영하는 사회보장제도

 

  '오픈마켓 플랫폼'은 지자체 복지사업 신청소득재산 조사급여 지급 등 행정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2010년 최초 개통 이후 현재까지 325개* 지자체 복지사업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 오픈마켓 플랫폼 지원사업 수(누적) : (2019) 186개 → (2021) 255개 → (2023.11) 325

 ** 지자체 복지사업 특성에 따라, 8가지 업무 유형으로 구분하여 운영 중(?붙임1?)

 

  이번 '오픈마켓 플랫폼확대 운영 주요 내용은 업무 유형 확대(810)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업무지원 기능 및 지자체 복지사업 압류방지계좌 도입이다.

 

 ① 표준 업무 유형 확대(810)

  별도 신청 절차 없이 자격 요건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지원할 수 있도록 표준업무 유형 2종을 추가 구축하여 명절 위문금난방비 지원금 등 수기로 처리하던 일회성 사업도 시스템을 통해 지급하게 된다.

 

 ②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업무 지원

  지역·사업별 특성에 따라 지자체 담당자가 신청 항목이나 대상자 지원기준* 등 사업 세부 항목을 유연하게 추가·변경 및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오픈마켓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사업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

  * (지원기준 예시) 성별, 나이, 거주기간, 거주지, 가구원 수 및 동거 자녀 유무 등

 

 

 

 

 ③ 지자체 복지사업 압류방지계좌 도입

  경제적 어려움으로 계좌가 압류된 경우에도 지자체에서 수급자에게 급여를 지급할 수 있도록 지자체 복지사업에도 압류방지계좌 입금 기능 신설한다. 이를 통해 주민센터로 방문 수령하던 지원금을 별도 서류제출 없이 압류방지계좌로 직접 수령이 가능하게 된다.

 

 * 압류방지계좌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등 개별법에 근거가 있는 경우에 한해 사용 가능

 

< 오픈마켓 플랫폼 확대 후 달라지는 점 >

 

구분

 

현  행

 

개  선

 

 

 

 

 

공무원

 

▶ 명절위문금, 난방비 지원 등 일회성 사업 수기 처리

 

▶ 획일화된 사업 운영

 

▶ 일회성 사업도 시스템을 통한 지급 처리로 신속?정확한 집행

 

▶ 지역?사업별 특성 고려한 맞춤형 사업 운영 가능

 

 

 

 

 

수급자

 

▶ 지원금 주민센터 방문 수령

▶ 압류방지계좌로 신속 수령

 

  보건복지부 임을기 복지행정지원관은“이번 오픈마켓 플랫폼 확대 운영을 통해 지자체는 더욱 유연하고 정확하게 사업을 기획·관리할 수 있고 수급자는 압류방지계좌 도입 등을 통해 빠르게 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라고 언급하며,

 

보건복지부도 지역 균형발전 정책 흐름에 발맞춰 지자체 복지사업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오픈마켓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개편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오픈마켓 플랫폼 개요
2. 오픈마켓 플랫폼 확대운영 적용사례(예시)


(보건복지부, 2023.11.27.)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1662&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01&endDate=2023-11-27&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55 외교부, 환인도양 공동체와 해양재난 관리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 세미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8
2054 보건복지부, 필수의료 강화 위한 국립대학병원 제도개선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51
2053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제2차 환자안전종합계획(’23~’27) 수립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41
2052 국립정신건강센터,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평가 ‘5년 연속 최우수기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9
2051 보건복지부, 어르신돌봄종사자 종합지원센터 방문하여 돌봄 현장의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9
2050 보건복지부, 소아의료체계 강화를 위한 현장 의견 청취 비회원 2023-12-21 352
2049 2024년 보건복지 규제혁신 과제 발굴, 지방자치단체와 머리 맞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45
2048 보건복지부, 의료급여 우수기관 및 유공자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2
2047 민·관이 함께하는 어르신 돌봄, ‘2023년 사랑 나눔의 장’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6
2046 자활사업이 만들어 준 더 높은 행복의 날갯짓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5
2045 2023년 탄소중립 생활 실천 국민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6
2044 제8기 환경협력국 수료식… 외국 공무원 환경정책 전수로 해외진출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5
2043 소양강댐 준공 50주년 기념… 기후위기 시대, 댐 역할을 재조명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4
2042 학교 환경교육, 함께 미래를 그리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4
2041 이산화탄소 자원화 기술 혁신으로 온실가스 감축 속도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8
2040 2023 인도?태평양 지역 보건협력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2
2039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의료 성과공유를 통한 발전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8
2038 보건복지부, 보육 현장의 애로사항 청취 및 건의사항 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8
2037 환경부 장관, 야생동물 복지 공감대를 시작으로 미래세대 소통 광폭 행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9
2036 국민비서 ‘구삐’에 14종 서비스가 추가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