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개최 예정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4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30

외교부는 11.30.(),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제5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외교부가 여성·평화·안보 의제 관련 국제적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출범한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구상’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다섯 번째 회의이다.

 

  ※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구상(Action with Women and Peace Initiative)

     ?연례 국제회의(2019.7, 2020.11, 2021.11, 2022.12월 등 4차례 개최및 ?분쟁하 성폭력 예방·대응 관련 개발협력사업의 양 축으로 구성

 

      올해 회의의 주제는 ‘안보리 내 여성·평화·안보 의제 증진’으로·평화·안보 의제가 안보리 규범을 넘어 분쟁 현장에서의 이행으로 이어지도록 분쟁 하 여성의 보호 및 여성의 평화 활동 참여를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금번 회의에서는 북한 내 여성 및 탈북 여성 등 인권 상황을 논의하는 특별 세션도 개최된다.

 

      이번 회의에는 여성·평화·안보 의제와 관련하여 활발히 활동해 온 정부, 국제기구 및 시민사회 주요 인사가 연사로 나설 예정이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우리나라가 2024-2025년간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여성·평화·안보 의제의 발전에 기여해나갈 계획임을 밝힐 예정이다.

 

      박진 장관의 개회사에 이어?방글라데시캐나다인도네시아본, 몽골노르웨이카타르슬로베니아아랍에미리트미국 등 주요국 및 ?유럽연합(EU),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유엔난민기구(UNHCR) 등 주요 기구의 고위급 인사들이 축사에 나설 예정이다.

 

      또한분쟁 하 여성 보호 및 여성의 정치 참여 증진에 앞장서 온 세계적인 인물로 ?그라사 마셀(Gra?a Machel) 디엘더스 부의장(전 넬슨 만델라 대통령 배우자)과 ?예멘 여성 언론인으로 2011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타와쿨 카르만(Tawakkol Karman)도 축사를 할 예정이다.

 

      개회식에 이어, ?제1세션: 안보리의 여성·평화·안보 의제 증진 ?제2세션: 여성의 평화 프로세스 참여 증진 및 보호 ?특별세션: 여성·평화·안보 의제에 기반한 북한 인권 논의 ?청년세션: 여성·평화에 대한 온라인 성 기반 폭력의 영향 등 4개 세션별 다채로운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특히, 북한 여성의 인권 상황에 대한 특별 세션에는 ?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 ?제임스 히난(James Heenan)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장, ?림 알살렘(Reem Alsalem) 유엔 여성폭력특별보고관, ?시오반 홉스(Siobhan Hobbs)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 젠더자문관?채세린 「가려진 세계를 넘어」 저자, ?진 리(Jean Lee) 전 AP통신 평양지국장 등 저명한 인사들이 연사로 나서 북한 내 여성 및 탈북 여성들의 인권 상황을 여성·평화·안보의 관점에서 논의할 계획이다.

 

      아울러이번 회의에는 여성·평화·안보 의제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청들의 목소리를 듣는 세션도 개최되며동 세션에서는 국제 청년 영상 공모전 수상작들도 상영될 예정이다.

 

  ※ 외교부 주최 ‘2023 국제 청년 영상 공모전’을 통해 3편의 수상작 선정

 

 

      내년 우리나라의 안보리 이사국 수임을 앞두고 개최되는 이번 회의는 우리 정부의 여성·평화·안보 의제에 대한 기여 의지를 국제사회에 알리고, 청년 등 우리 국민들의 여성·평화·안보 의제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동 회의 프로그램 등 상세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2023awp.or.kr) 참조

  ※ 동 행사는 외교부 실시간 스트리밍 채널(youtube.com/@MOFAKorea)을 통해 송출 예정

 

붙임 : 제5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포스터.  끝.


(외교부, 2023.11.27.)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1860&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01&endDate=2023-11-27&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65 2023년 노숙인 복지 종사자 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8
1764 필수약제 공급 지원을 위한 약가 인상 및 중증질환 치료제 보장성 강화 비회원 2023-11-30 199
1763 두바이에서 우리 녹색기술과 기후대응 노력 알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98
1762 동물실험 연구자 보호를 위한 안전 가이드 나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7
1761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녹색 신산업 육성을 통해 대한민국 신성장 동력을 창출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6
1760 과기정통부, 디지털 중심 탄소중립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99
1759 겨울철 복지 위기가구 발굴을 위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5
1758 물분야 전문가 모여 기후위기 적응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41
1757 재정융자·대환대출·채무조정·신용보증 등 소상공인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충분한 정보제공·안내도 병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48
1756 국립소록도병원, 문화소외계층 지원을 위한 한센병박물관 운영 활성화 협력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6
1755 환경부 장관 “김포 거물대리, 환경재생단지로 주민건강과 지역발전 함께 해결하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45
1754 촘촘한 위기가구 발굴과 두터운 지원으로 우리 이웃의 따뜻한 겨울나기를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4
1753 일상 속 현장에서 국민과 함께 민생규제 혁파와 민생안정 대책을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2
1752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대국민 공청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0
1751 산업계 화학물질 분류표시 이행 돕는다… 표시정보 자동 작성 프로그램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9
1750 과학관과 수목원 등에도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의무 적용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97
1749 「장애인건강권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11. 21.)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8
1748 제10회 대학생 물환경 공모전 최종 발표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5
1747 바이오서밋 계기 보건의료분야 국제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19
1746 보건복지부,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의학계 의견 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