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고 행복한 노후 위한 노인일자리 사업 신청하세요”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4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01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11월 29()부터 12월 29()까지 2024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공익활동형사회서비스형시장형사업단)참여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지자체 여건에 따라 기간 중 모집 시기 등은 상이할 수 있음

 

 2024년 노인일자리 사업은 초고령사회와 신노년세대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역대 최대 폭인 14.7만 개를 확대한 103만 개가 제공된다.

 

  이번에 모집하는 사업은 공익활동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사업단으로,  공익활동형은 65세 이상 어르신이면 신청 가능하고사회서비스형 및 시장형사업단은 60세 이상 일자리 필요한 어르신이면 신청 가능하다.

   세부 자격 조건 및 활동 내용은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유형별로 상이

 

  2024년 노인일자리 사업은 11월 29()부터 방문 또는 온라인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노인일자리 참여를 희망하는 어르신이 노인일자리 상담 대표전화☏(1544-3388)로 문의하면 발신자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수행기관으로 전화를 연결하여 상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방문 신청은 주소지 시군구 내의 가까운 행정복지센터(동사무소)노인복지관대한노인회시니어클럽 등 노인일자리 사업 수행기관에서 가능하다.

  온라인 신청은 노인일자리 여기(www.seniorro.or.kr)복지로(www.bokjiro.go.kr), 정부24(www.gov.kr)를 통해 가능하다.

 

 

  참여자 선정은 소득 수준활동 역량 및 경력 등 선발기준에 따라 고득점자순으로 선발되며최종 선발 여부는 접수한 기관이 올해 12월 중순부터 2024년 1월 초에 개별 통보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이기일 1차관은 “노인일자리는 어르신들의 노년기 소득 큰 보탬이 될 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도 증가우울감 개선의료비 절감 등 측면에서 성과가 있어 사회적으로도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아울러“보건복지부는 역대 최대폭으로 확대된 103만 개의 노인일자리를 2024년 제공하고 예산도 1조 5,400억 원에서 2조 262억 원으로 대폭 확대하여, 더 많은 어르신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많은 분들이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시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23.11.28.)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2028&pageIndex=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28&endDate=2023-11-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03 “그동안 고마웠어, 그리고 안녕.” 녹색여권, 국민들의 주머니 사정을 헤아리고 역사가 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64
2102 대기·수질 측정대행업체 302곳 이행능력평가… 상위등급 3년 연속 향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69
2101 국가 전체 환경보호 활동 지속 증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59
2100 외교부, 지방 민생 활성화를 위한 외교적 지원 강화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40
2099 한파 취약계층의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나기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13
2098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제공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57
2097 미세먼지 고농도 대비 공공사업장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10
2096 차량용 요소수 재고 7개월 이상으로 증가 전망 전국 요소수 판매량 감소 추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27
2095 “태어난 모든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철저히 준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21
2094 침수·산불 재난위험분석 자동화 기술, 전력설비 피해 예측에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28
2093 장애인 지원, 초고령사회 대응에 앞장선 문화체육관광형 예비사회적기업 51개 신규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00
2092 필수약제 공급 지원을 위한 약가 인상 및 중증질환 치료제 보장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25
2091 내년부터 경로당에 냉·난방비 19만 원 추가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66
2090 2024년도 환경부 예산 및 기금 14조 3,493억 원 확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82
2089 산업계-환경부 협업… 녹색산업 수주·수출 20조 4,966억 원 달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70
2088 노인일자리 사업의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공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47
2087 한국환경보전원, 환경보전 전문 공공기관으로 새롭게 출발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75
2086 체계적인 고령화 대응을 위한 ‘고령친화도시’ 제도 도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69
2085 야생생물법 등 6개 환경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79
2084 자립준비청년의 일을 통한 자립,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가 함께 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