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빈곤율, 전체 가구 대비 17.8%p 높아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5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01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11월 28일(화) 오전 10시 이비스 앰배서더 (서울 소재)에서 제2차 통계행정데이터 전문위원회(이하 ‘전문위원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전문위원회에서는 사회보장 행정데이터의 내·외부 활용사례를 공유하고, 입수정보의 포괄성 확보를 위한 데이터 품질관리 방안에 대해 사회보장통계 및 행정데이터 전문가 그룹의 논의가 이뤄졌다.

 

  사회보장 행정데이터는 「사회보장기본법」개정(21.12월 시행)으로 부처별·제도별 분산되어있는 개인단위 자료를 연계한 통합데이터*로써 ‘22년 1기 구축(2020년자료)을 시작하여 분석활용 1년 차에 접어들고 있다.

 

    * 전 국민의 20%에 해당하는 표본(약 1,000만 명)을 추출하고 33개 자료 제공기관(‘23년 기준)의 행정데이터를 가명처리하여 개인단위로 결합한 통합데이터

 

   사회보장 행정데이터의 대상 및 정보의 포괄성이 확보됨에 따라 이날 발표된 1인 가구 사회보장 수급 실태분석’에서는 ▲전체 가구와 1인 가구의 비교1인 가구 내 특성별 사회?경제적 환경, ▲사회보장 수급 실태 등 세부 항목별로 분석이 가능할 수 있었다.

 

  1인 가구 전체가구 대비 연평균 시장소득(가구균등화)이 약 1천만 원 가량 낮았으며자산수준이 가장 낮은 자산1분위에 1인 가구의 40% 이상이 분포하여 소득과 자산 모두 전체 가구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수급률(1인 6.5%) 전체 가구(3.2%)보다 2배가량 높았으며, 노인의 경우 수급률이 높으나 수급액은 오히려 청년이 높게 나타났다*

  

 * (1인가구 생계급여 수급)  청년  0.9%, 중장년 6.9%, 노인 14.2% 

   (1인가구 생계급여 평균수급)  청년 61.6만 원, 중장년 51.5만 원, 노인 24.5만 원

 

  한 1인 가구의 빈곤율(중위50%미만가처분소득)은 47.8%로 전체 가구(30%)보다 17.8%p  나타났으며, 특히 1인 가구 내 노인 빈곤율은 70% 이상으로 하나 국가 개입을 통한 빈곤 감소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 

 

 빈곤 감소효과 : (1인 청년) 1.7%p, (1인 중장년) 5.1%p, (1인 노인18.6%p

 

  보건복지부 이상원 사회보장위원회 사무국장은 “객관적 근거에 기반한 사회보장정책의 설계 및 운영 지원을 위해 사회보장 행정데이터의 활용을 권장한다”라며, “근거에 기반한 정책이 설계될 때 국민들의 사회보장 체감도는 제고되며 정책의 효과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23.11.28.)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2026&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28&endDate=2023-11-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35 2021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44
2034 발달장애인 돌봄지원 강화를 위한 우수사례 공유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47
2033 토사재해 원인분석 및 인명피해 방지대책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4
2032 2023년 지역복지사업 평가 우수기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4
2031 보건복지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추진현황 점검 및 현장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4
2030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폐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41
2029 보건복지부, 홀몸 어르신에 요구르트 전달하며 안부 확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3
2028 소상공인 민생부담 완화를 위한 「혁신금융서비스(‘셀러월렛 빠른정산’ 서비스) 업무 협약식」 참석·격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5
2027 연탄나눔으로 사랑의 온기를 더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5
2026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 및 사용 후 배터리 산업생태계 체계적 육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9
2025 국내기업 오만 그린수소 사업 추가 진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4
2024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789개 기관, 기준배출량 대비 29.4% 감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6
2023 취약계층 보호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국가 미래상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3
2022 사회서비스제공기관 10곳 중 6곳(59.4%) 10인 미만 사업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4
2021 국민 누구나 필요할 때 누리는 질 높은 사회서비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5
2020 성공적인 복지국가 이행 위한 범정부 5개년 전략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1
2019 일하는 저소득층 자립 돕는 자활 장인 이야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9
2018 근로자 건강이 곧 기업 경쟁력! 2023년 27개 건강친화기업 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9
2017 보건복지부, 종교시설과 지역사회 협업 통한 돌봄시설 확충 사례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9
2016 지속가능 경영과 녹색금융 빛냈다… 2023년 녹색경영·금융 우수기업 시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