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대응 결빙 취약지역 점검, 취약계층 따뜻한 겨울나기 지원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4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01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본격적인 한파에 대응하기 위해 결빙 취약지역을 점검하고올해 연말까지 한파에 취약한 계층을 대상으로 단열 개선 등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나기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2024년 대전 대덕구에 결빙방지 시설을 시범적으로 설치할 예정이다. 결빙방지 시설은 폭설 및 결빙에 취약한 오르막길, 계단 등의 보행로에 도로 열선을 설치하는 것이며어르신이나 어린이 등 취약계층의 결빙도로 낙상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환경부는 한파 대응 취약계층 지원사업을 실시한다. 지원 대상은 홀몸어르신, 쪽방촌 저소득주민, 장애인 등이며 지자체가 소득, 주거 형태, 연령,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전국 1,100개 가구를 선정했다.

 

  지원 방식은 기후변화 적응 상담사(온실가스 진단 컨설턴트)가 취약가구를 방문해 친환경 겨울용 이불(옥수수에서 추출한 천연원료로 제작), 생수 등을 전달하고 한파 대응 행동 요령을 안내한다.

 

  이번 한파 대응 취약계층 지원사업은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한국환경산업기술원우리은행제주개발공사㈜그린웨이브 등과 함께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환경부는 난방분야 미세먼지 저감과 연료비 절감을 위해 각 가정에서 노후보일러를 친환경 보일러로 교체할 경우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 친환경 보일러는 질소산화물이 약 87% 저감 되는 등 대기환경개선 효과가 크고, 열효율이 높아 연간 연료비를 최대 44만원까지 절약 가능

 

  환경부는 취약계층이 친환경보일러로 교체할 경우 6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하며, 내년에는 취약계층 지원물량을 올해 1만대 대비 2배 확대하여 미세먼지 저감과 취약계층의 난방비 절감에 힘쓸 계획이다.

 

  이번 결빙취약지 개선사업과 취약계층 지원사업과 관련하여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11월 29일 오후 최충규 대전 대덕구청장과 함께 이 지역의 개선사업 예정지를 점검한 후인근 취약계층을 방문하여 방한용품을 전달하고친환경 보일러 가동 상태를 점검할 예정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해마다 기승을 부리는 한파가 오면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저소득층 등 기후위기 취약계층이 상대적으로 더 큰 피해를 입는 경향이 있다”라며“이번 한파 대응 방한물품 지원사업으로 취약계층의 한파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기를 바라며향후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다양한 국가 지원사업을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발굴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1. 대전 대덕구 결빙취약지역 현장 관련 참고자료.

      2.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 설치 지원사업 개요.

      3. 한파 대응 취약계층 지원사업 개요.

      4. 환경부 장관 현장방문 개요.  끝.


(환경부, 2023.11.2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2307&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28&endDate=2023-11-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05 ‘약자부터 촘촘하게, 지속가능한 복지국가’ 청사진 마련, 국민 의견을 듣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46
1804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 위한 노인일자리 사업 신청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39
1803 정황근 장관, 엠제트(MZ) 혁신모임 ‘농벤져스’와 만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0
1802 정지궤도 환경위성 영상으로 대기오염물질-온실가스 특성비율 비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0
1801 불가항력 분만 의료사고 보상에 대해 전액 국가 부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10
1800 인체유래물, 의료정보를 활용한 생명공학(바이오)건강(헬스) 사업화 가능성 더욱 높아집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08
1799 노인학대 관련 범죄자 취 업 실태 등 공개, 노인학대 대응체계 실효성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17
1798 국립환경과학원-태국 라차팟 대학, 대기질 연구분야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09
1797 한-영, 해사분야 상호협력 의향서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47
1796 인공지능(AI)이 안전보건연구를 도와드립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41
1795 아세안 7개국 대상 한국-국제노동기구 고용·산재보험 초청 연수 실시 비회원 2023-12-01 241
1794 우리나라 대표단, 대서양 고래자원 보호 논의 주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70
1793 미국 해양포유류보호법(MMPA) 동등성 평가 대응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4
1792 분산법 하위법령(시행령·규칙) 제정안 공청회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8
1791 ‘제5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개최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44
1790 나눔과 봉사로 담근 172톤 김치가 올겨울 대한민국을 따뜻하게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3
1789 보건복지부, 태평양도서국과 보건의료 협력의 새장을 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0
1788 국민안전과 밀접한 우수 재난안전제품 발굴?보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3
1787 취약계층 대상 국립공원 생태나누리(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2
1786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자동차 만들자… 차량 업계 기반 마련 한뜻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