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개최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0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01

 외교부가 주최한 ‘제5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가 11.30.(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는 여성·평화·안보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에 기여하기 위해 외교부가 2018년에 출범한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구상’의 일환으로 다섯 번째로 개최되었다여성·평화·안보 관련 주요국 정부국제기구시민사회 관계자 등 40여명의 연사 및 300여명의 참석자들이 참여하여 안보리 내 여성·평화·안보 의제 증진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누었다.

 

      박진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세계 곳곳에서 분쟁이 빈발하는 가운데 지속가능한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여성에 대한 보호와 여성의 평화 활동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우리 정부가 여성·평화·안보 의제의 실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를 위해 우리 정부가 2024-25년간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안보리 내 여성·평화·안보 의제의 강화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안보리를 넘어 분쟁 현장에서의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내년에 출범하는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기금’을 통해 분쟁 하 여성들의 보호뿐 아니라여성들의 평화 활동 참여를 지원해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또한박진 장관은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활동하는 북한을 비롯한 전 세계 여성 인권 운동가들의 용기를 평가하였다.

 

      박진 장관의 개회사에 이어?방글라데시캐나다인도네시아본, 몽골노르웨이카타르슬로베니아아랍에미리트미국 등 주요국 및 ?유럽연합(EU),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유엔난민기구(UNHCR) 등 주요 기구의 고위급 인사들이 축사를 통해 전 세계 평화 구축을 위해 여성의 참여가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분쟁하 여성의 보호 및 여성의 정치 참여 증진에 앞장서 온 저명인사인 그라사 마셀(Gra?a Machel) 디엘더스(The Elders) 부의장(전 넬슨 만델라 대통령 배우자)은 축사를 통해 2000년 유엔 안보리 결의 1325호 채택 이후 20여 년이 지났음에도여전히 분쟁 해결 및 평화 협상 정에서 여성의 역할이 제한적임을 지적했다. 2011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예멘 여성 언론인 타와쿨 카르만(Tawakkol Karman)도 축사를 통해 여성·평화·안보 의제를 이행에 옮길 수 있도록 국제사회의 의지 결집 필요성을 강조했다.

 

      개회식에 이어?제1세션안보리의 여성·평화·안보 의제 증진 ?제2세션여성의 평화 프로세스 참여 증진 및 보호 ?특별세션여성·평화·안보 의제에 기반한 북한 인권 논의 ?청년세션여성·평화에 대한 온라인 성 기반 폭력의 영향 등 4개 세션별 다채로운 논의가 이어졌다.

 

      제1세션에서는 김은미 이화여대 총장의 주재 하에 유엔여성기구(UN Women), 유엔인구기금(UNFPA),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아프리카연합(AU) 등 주요 기구 및 국제평화연구소(IPI), 여성평화안보 비정부기구 워킹그룹 등 학계 및 시민사회의 연사들이 참여하여 안보리 이사국들이 각국 분쟁 상황에 있어 여·평화·안보 의제의 적용을 강화하는 등 안보리 규범의 이행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다.

 

      제2세션에서는 자스민 갈라스 여성평화활동가 글로벌 네트워크(GNWP) 임 프로그램 디렉터의 주재 하에, 여성의 평화 활동 참여 및 증진을 위해 현장에서 기여해 온 필리핀, 말레이시아, 케냐, 라이베리아, 인도네시아한국 시민사회 인사들의 참여 하에안보리의 여성·평화·안보 의제가 분쟁 현장의 최일선에서 활동하는 여성들의 현장 목소리를 토대로 발전해나가도록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할 필요성을 논의했다.

 

 

      특히올해에는 북한 여성의 인권 상황을 여성·평화·안보의 관점에서 논의하는 특별 세션이 마련되어, 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의 기조 발표에 이어제임스 히난(James Heenan) 울 유엔인권사무소장의 주재 하에 림 알살렘(Reem Alsalem) 유엔 여성폭력특별보고관시오반 홉스(Siobhan Hobbs)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 젠더자문관채세린 「가려진 세계를 넘어」 저자진 리(Jean Lee) 전 AP통신 평양지국장이 연사로 나서 북한 내 여성 및 탈북 여성들의 목소리를 전하였다.

 

      또한이번 회의에서는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최초로 여성·평화·안보 의제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청년의 시각을 청취하는 청년 세션이 개최되었다. 이번 세션에서는 필리핀, 베트남 등 인태 지역 청년활동가뿐만 아니라 “2023 국제 청년 영상 공모전” 수상자를 연사로 초청여성과 평화에 대한 온라인 성 기반 폭력의 영향과 청년의 성 기반 폭력 대응 노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외교부 주최 ‘2023 국제 청년 영상 공모전’을 통해 3편의 수상작 선정 및 동 회의  청년세션 시작 전 공모전 시상식 개최

 

      내년 우리나라의 안보리 이사국 수임을 앞두고 개최된 이번 회의는 우리 정부의 여성·평화·안보 의제에 대한 기여 의지를 국제사회에 알리고, 청년 등 우리 국민들의 여성·평화·안보 의제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붙임 : 제5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포스터 및 사진.  끝.


(외교부, 2023.11.3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2746&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28&endDate=2023-11-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05 요소 추가 수입계약으로 4.3개월분 물량 확보... 공급망 위험(리스크) 대응 본격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60
2004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위기 “관심” 단계 발령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0
2003 우울증, 디지털 기술로 편리하게 돌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2
2002 화학사고로 인한 주민 건강영향조사 10년간의 경험, 세계에 알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67
2001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실현하는 관광 미래전략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2
2000 미세먼지법 등 5개 환경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56
1999 장기요양 재가수급자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IP) 지원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43
1998 하천사업 추진시 환경영향을 충실히 검토하여 진행할 계획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5
1997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유엔개발계획(UNDP)과의 전략적 협력 강화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7
1996 2023년 장애인복지사업 우수지자체·유공자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63
1995 보건복지부, 일선 현장 사회복지종사자 격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7
1994 보건복지부,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현황 점검 및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9
1993 지역사회공헌 인정 기업?기관 531개소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60
1992 대전 대덕구, 제주 서귀포시, 부산 기장군 ‘2023년 보육정책 우수 지자체’ 대상 영예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58
1991 겨울철 건설현장 양생작업 중 3대 안전보건 수칙 준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22
1990 전기자동차 사용후 배터리 전주기 표준화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36
1989 장애인 고용의무 불이행 기관·기업 457개소 명단공표 비회원 2023-12-20 332
1988 해상풍력 보급 대폭 확대, 가격경쟁도 본격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4
1987 대·중소기업의 함께 성장 대한민국에 울려 퍼지는 납품대금 연동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43
1986 민간과 지역주도로 지속가능한 상권 조성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5